글로벌 스마트 홈 브랜드 TOP 10, 기술 혁신 특별상 등 2관왕 ‘쾌거’ 플래그십 모델 ‘디봇 X8 프로 옴니’도 함께 공개해 에코백스가 ‘제58회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에 참가해 두 개 부문을 석권했다. CES 2025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가 매년 주관하는 글로벌 IT 박람회로, 올해는 4500개사가 전시장을 메워 각종 혁신 기술을 선보였다. 에코백스는 ‘글로벌 스마트 홈 브랜드 TOP 10(Global Smart Home Brands TOP 10)’과 기술 혁신 관련 특별상을 수상했다. 특별상에는 잔디깎이 로봇 ‘고트(GOAT)’가 수상 주인공으로 선정됐다. 에코백스는 이와 함께 플래그십 로봇 청소기 신모델 ‘디봇 X8 프로 옴니(DEEBOT X8 PRO OMNI)’를 이 자리에서 공개했다. 이 제품은 해당 모델은 흡입력 1만8000Pa을 탑재한 모델이다. 특히 물걸레 자동 세척 기능 ‘오즈모(OZMO) 롤러 자동 세척 물걸레’, 물걸레 적응·확장형 모서리 청소 기능 ‘트루엣지 2.0(TruEdge 2.0)’, 스마트 청소 기능 ‘아이비(AIVI) 3D 3.0 옴니 어프로치’
스마트 기능 내장된 카메라 탑재...유연한 항공 촬영 지원해 애플리케이션·음성 기반 제어 기능도 적용 DJI가 일상 촬영에 특화된 브이로그용 카메라 드론 ‘DJI 플립(DJI Flip)’을 새롭게 선보였다. 이번 신제품은 249g의 무게를 기반으로, ‘접이식 풀 커버 프로펠러 가드’가 적용됐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안전한 활용과 안정적인 비행을 지원한다. DJI 관계자에 따르면, DJI Flip은 소형·경량화 모델 ‘DJI 네오(DJI NEO)’와 촬영 기능이 특화된 ‘DJI 미니(DJI MINI)’의 강점을 결합한 모델이다. 특히 12mm(1/1.3인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가 탑재돼 48메가픽셀(MP) 사진 및 4K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해당 센서는 두 개의 다른 ISO 감도를 지원하는 ‘듀얼 네이티브 ISO 퓨전’ 기능, f/1.7의 최대 조리개 개방, 2.4마이크로미터(μm)의 4 in 1 픽셀 등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드로니(Dronie), 서클(Circle), 로켓(Rocket), 스포트라이트(Spotlight), 힐릭스(Helix), 부메랑(Boomerang) 등 지
먼키, 무선올인원 테이블오더 눈길…교촌치킨과 협약 위베어소프트, API 오픈플랫폼 생태계 구축사업 참여 정부가 2025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1.8%로 전망하며, 국내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1월 발표했던 1.9% 전망치보다 0.1%포인트 낮춘 수치로, 작년 추정 성장률 2.1% 대비 하락세를 이어가는 상황이다. 정부는 수출 증가세 둔화와 내수 회복의 어려움을 주된 이유로 지목했다. 이러한 경제 환경 속에서 국내 IT산업은 새로운 도약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혁신적인 기술로 주목받는 IT 스타트업들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제시하며 산업 전반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푸드테크 선도기업 먼슬리키친의 무선올인원 테이블오더 시스템 ‘먼키’는 기술 혁신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별도 설치 없이 테이블 위에 배치해 사용할 수 있는 이 시스템은 매장 인건비 절감과 운영 효율화를 극대화하며 자영업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뉴욕의 600여개 레스토랑에서 성능이 검증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이 시스템은 5년간의 연구와 2년간의 집중 개발, 20,000번의 정밀 튜닝으로 완성되었으며, 테이블오더 분야의 새로운 표준으로
아이멕(Imec)이 2월 18일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Imec 테크놀로지 포럼 코리아(ITF 코리아)’를 개최한다. 2016년에 이어 9년 만에 한국에서 열리는 이번 ITF 코리아 행사는 국내 기술 분야 리더, 반도체 전문가, 업계 혁신 선도 기업들이 모여 최신 반도체 기술의 현황을 공유하고, 당면한 과제와 새로운 기회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다. 이번 행사에는 루크 반 덴 호브 아이멕 회장 겸 CEO가 직접 참석해 발표한다. 루크 반 덴 호브 회장 겸 CEO는 또한 2월 19일부터 2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펼쳐지는 국내 최대 반도체 산업 전문 전시회 ‘세미콘 코리아 2025’에서 ‘반도체 시스템의 다양한 미래’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한다. 반도체 기술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그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루크 반 덴 호브 회장 겸 CEO는 “2016년 ITF 코리아 이후 세상은 크게 변화했다. AI와 딥테크 산업의 급속한 발전은 전례 없는 수준의 컴퓨팅 수요를 촉발하고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딥테크 스타트업들이 헬스케어, 바이오테크, 나노테크 분야에서 혁신을 추구하려면 첨단
삼성SDS는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9111억 원으로 전년보다 12.7%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3일 공시했다. 매출은 13조8282억 원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 순이익은 7895억 원으로 12.6% 늘었다. 4분기 영업이익은 2115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4% 줄었다. 이 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3조6423억 원과 1963억 원이었다. 사업별로는 정보기술(IT) 서비스 사업 연간 매출액이 전년 대비 4.8% 증가한 6조4014억 원으로 집계됐다. 클라우드 사업이 전년 대비 23.5% 성장, 연 매출 2조3235억 원을 기록했다. 물류 부문 매출액은 글로벌 물류 시장의 영향을 받는 가운데에도 상대적으로 안정적 흐름을 보이며 전년 대비 3.6% 증가한 7조4268억 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삼성SDS는 이날 이사회 결의를 통해 배당안을 주당 2900원으로 결정했다. 이는 배당성향을 30% 수준으로 한다는 3개년 배당정책에 따른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반도체 공정에 적용되는 설비 제품 전시해 한즈모트롤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자사의 모션 컨트롤 기술을 선보였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넵콘 재팬은 기판, SMT, IC & 센서 패키징, 테스트 등 전자 산업을 세분화해 7개 전문 전시회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동시 개최되는 주요 전시회는 자동차, 스마트제조, 물류, 웨어러블 등 각광받는 산업을 다루며, 현장에 적용되는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인다. 한즈모트롤은 기존 수입에 의존하던 인덱스의 국산화로 국내 자동화 설비 제작 시 비용 절감 및 제품 생산의 생산량 증대 그리고 고정밀화를 위한 기술을 개발했다. 대표적으로, 롤러 기어 캠 간헐 할출 장치인 'INDXIA'는 자사의 독자적인 캠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이 장치는 고도의 생산성을 바탕으로 반도체를 비롯해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서보 감속기 'GTB', 'DSR'를 개발하였으며, 고정밀·고토크 사양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차체 용접 설비 등 다양한 분야
LG전자가 주력인 생활가전 사업과 기업간거래(B2B) 성장의 한 축인 전장(자동차 전기·전자 장비) 사업이 9년 연속 성장세를 보이며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LG전자는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매출이 87조7282억 원으로 전년 대비 6.6%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3일 공시했다. 2022년(82조5215억 원) 이후 2년 만에 최대 기록을 새로 썼다. 캐시카우(현금창출원)인 생활가전을 비롯한 모든 사업부가 전년 대비 매출액이 늘었다. 다만 지난해 영업이익은 3조4197억 원으로 전년보다 6.4% 감소했다. 글로벌 가전 수요 회복 지연과 하반기 물류비 상승 요인 등의 여파로 풀이된다. 순이익은 5914억 원으로 48.6% 줄었다. 하반기 실적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상고하저’ 흐름도 이어졌다.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1354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6.7% 줄었다. LG전자는 “연간 기준으로 보면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에 따른 질적 성장이 이어졌고 매출 규모 증가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효과로 안정적 수익구조를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사업부별로 보면 생활가전을 맡은 H&A사업본부의 경우 지난해 매출 33조2033억 원을 기록하며 두
옵토메카트로닉스 기술과 화상 처리 기술 기반으로 검사장비 생산해 고영테크놀러지(이하 고영)이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자사의 SPI 장비, AOI 장비, 반도체 검사장비 라인업을 전시했다. 고영은 고도의 옵토메카트로닉스 기술과 화상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세계 시장에 검사장비를 공급해 왔다. 독자적인 3D 측정기술을 구축한 고영은 현장에서 겪는 공정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 개발을 진행했다. 또한, 생산 현장에서 요구되는 품질 관리나 공정 최적화를 위한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다. 고영은 특허기술인 양방향 프로젝션으로 양쪽에서 광원을 제공함으로써 끝이 뾰족하거나, 골짜기와 같은 임의의 형상을 지닌 대상물의 모든 영역에 광이 도달해 솔더링 페이스트 전체 체적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한다. 이를 통해 그림자 효과 및 난반사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높은 측정 정밀도와 신뢰성 높은 검사 결과를 제공한다. 이처럼 고영은 의미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인쇄 공정의 최적화를 실현하고 있다. 고영은 이번 전시회에서 엔트리급 SPI 장비인 'KY8030 NOVA'를 공개했다. 이 장비는 중소기업이
소형 장구형(Globoid) 웜기어 기술로 집중 관심받아 “지속 가능한 발전 지원해...유지보수 비용↓ 설비 수명↑” 이스턴기어가 ‘제58회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 현장에 출격해 장구형(Globoid) 웜기어 기술을 전파했다. CES 2025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가 매년 주관하는 글로벌 IT 박람회로, 올해는 4500개사가 참가해 혁신 솔루션을 강조했다. 이스턴기어는 이 자리에서 자체 설계 기반 웜기어를 통해 고정밀 제조 기술을 선보였다. 이스턴기어 소형 장구형 웜기어는 기존 점·선 접촉 방식의 기어 설계를 탈피한 솔루션이다. 면 접촉 설계를 채택해 접촉 효율성을 극대화한 점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설비 간 마찰로 인한 마모 최소화와 기존 대비 10% 이상 동력 전달 효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 특히 이 웜기어는 내구성이 강화됐고, 크기 또한 30% 줄어들었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로봇·우주항공 등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스턴기어는 맞춤화(Customization)가 가능한 대형 기어에 대한 원천기술도 보유했다. 이번 CES에서는 이를 반영한 감속기·웜기어 융합 기술이 관심받았다.
유니티(Unity)가 오는 2월 17일과 20일 양일간 가산 휴넷캠퍼스와 판교 스타트업캠퍼스에서 ‘유니티 6 로드쇼’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유니티 6’의 주요 기능을 시연하고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참가자 공통으로 진행되는 ‘유니티 6 오버뷰’ 세션부터 유니티 엔지니어 팀이 최신 기능을 시연하는 ‘데모 딥다이브 세션’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각 세션 말미에는 유니티 기술 전문가 및 개발자들과의 심층적인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해 심도 있는 기술적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프로젝트에 필요한 맞춤형 조언을 구할 수 있어 유니티 6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니티 6 오버뷰는 양진석 유니티 리드 솔루션 엔지니어와 골드메탈 유니티 시니어 애드보킷(Advocate)이 연사로 나선다. 차세대 게임 엔진 유니티6의 새로운 기능을 비롯해 개발 효율성 및 성과를 극대화하는 실무 활용 노하우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데모 딥다이브 세션은 2개로 나뉘어 동시에 진행된다. 첫번째 세션은 ‘유니티 6의 GPU 기반 개선된 그래픽 성능’ 및 ‘UPR에 새롭게 추가된 렌더 그래프 및 쉐이더 그래프, VFX 그래프 최신 기능’을 주제로
로옴은 리튬이온 배터리 2셀 구동에 대응하는 8inch 서멀 프린트 헤드 ‘KA2008-B07N70A’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신제품은 A4 사이즈(가로 폭 210mm)의 프린터에 대응하는 제품으로, 높이를 기존품의 14mm에서 업계 최소 수준인 11.67mm로 약 16% 소형화해 프린터 전체의 스페이스 절약화에도 기여한다. 발열체 구조를 최적화한 드라이버 IC 및 배선 레이아웃을 개선함으로써 7.2V 구동에 대응해 기존의 12V 구동 대비, 인쇄를 위해 필요한 인가 에너지를 약 66% 저감했다. 또한 발열체의 개별 배선 조정을 통해 발열량을 균일화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안정화시켜, 최고 인쇄 속도 100mm/sec.의 고속 인쇄 시에도 해상도 203dpi로 선명한 인쇄 화질을 실현했다. 신제품은 감열 방식과 열전사 방식의 두가지 서멀 인쇄 방식에 대응해 다양한 용도에서의 인쇄가 가능하다. 온도 변화로 인한 팽창이나 수축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켜 메인 타겟인 A4 사이즈 프린터에 요구되는 높은 내구성에 기여한다. 서멀 프린트 헤드는 커넥터나 방열판을 세트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신제품은 기판 단품으로
델 테크놀로지스가 발표한 최근 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일반 PC 실사용자 중 68.2%가 현재 사용 중인 일반 업무용 PC에서 AI PC로 전환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는 한국IDG와 발간한 ‘업무용 PC 사용 현황 및 AI PC 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기업 환경에서 AI를 활용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에 따라 AI PC 및 업무용 PC·워크스테이션의 사용 현황과 향후 전망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으며, 2024년 11월 2주간 업무용 PC 실사용자 및 IT 구매 담당자 298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에 따르면 기업 환경에서 학습 데이터 가공, AI 모델 트레이닝,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 등 AI 관련 워크로드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 테크놀로지스가 지난 2023년 11월 진행한 ‘업무용 PC 및 워크스테이션 사용 현황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워크스테이션을 통해 AI 워크로드를 처리한다는 응답은 9.8%에서 13.1%로, 일반 PC는 3.2%에서 7.1%로 증가했다. 업무 환경에서 AI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반면 AI PC에 대한 최종 사용자와 기업 IT 관리자들의 인지도는 아직
3차원 정밀측정 및 비전 기술을 기반으로 반도체 검사장비 개발 및 공급 펨트론이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마이크로볼 범프 검사장비 '포세이돈 S'를 비롯한 장비 라인업을 소개했다. 펨트론은 3차원 정밀측정 및 비전 기술을 기반으로 SMT, 반도체, 전장, 이차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납도포 검사장비(3D SPI), 3차원 장착 검사 장비(3D AOI, MOI), 웨이퍼 범프 3D 검사장비, 와이어 본딩 3D 검사장비, 이차전지 리드탭 공정·검사장비를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코팅검사기(CI), Pin 검사기, 하부 검사기 등 시장이 필요로 하는 신규 장비를 지속해서 출시하며, 주사 전자현미경(SEM) 기술을 활용해 나노 및 바이오 등의 응용 분야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장비 라인업에는 3D 인라인 솔더 페이스트 검사장비 '새턴(SATURN)', 3D AOI '아테나(ATHENA Series)', '이글 3D 8800TH(EAGLE 3D 8800TH)', '이글 3D 8800TWIN(EAGLE 3D 8800TWIN)', '트로이 8800 CI 시리즈(TROI 8800
퀄컴 테크날러지스는 ‘갤럭시 언팩 2025(Galaxy Unpacked 2025)’에서 공개한 갤럭시 S25 시리즈에 맞춰 설계된 갤럭시용 스냅드래곤 8 엘리트 모바일 플랫폼을 발표했다. 갤럭시용 스냅드래곤 8 엘리트 플랫폼은 빠르고 강력한 2세대 맞춤형 퀄컴 오라이온 CPU, 퀄컴 아드레노 GPU와 퀄컴 헥사곤 NPU를 통해 독보적인 성능을 제공한다. 갤럭시용 스냅드래곤 8 엘리트는 갤럭시 S25 시리즈에서 강력한 온디바이스 AI 기능을 제공하며, 스냅드래곤 X80 5G 모뎀-RF 시스템과 퀄컴 패스트커넥트 7800 모바일 커넥티비티 시스템을 탑재해 초고속 5G 통신 및 Wi-Fi 7 속도를 구현한다. 퀄컴과 삼성전자는 갤럭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서 고품질 이미지와 뛰어난 전력 효율을 구현하기 위해 갤럭시용 스냅드래곤 8 엘리트를 개발하고자 긴밀한 협업을 이어왔다. 삼성전자는 특히 새로운 혁신의 기준을 세우기 위해 퀄컴과 협력해 갤럭시 S25 시리즈의 퀄컴 스펙트라 ISP에 시공간필터(STF)를 탑재했다. 이로써 갤럭시는 8K 30fps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의 전력 효율로 가장 선명한 저조도 영상 촬영 기능을 제공하게 됐다. 또한 양사는 최신 제미나이(Ge
IBM은 최근 ‘인공지능(AI)의 투자수익(ROI)’ 보고서를 발표하고 기업들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AI에 투자하고 있으며 향후 ROI와 혁신을 도모하기 위해 오픈소스 도구를 사용하는 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보고서는 글로벌 리서치 기업 모닝 컨설트와 로페즈 리서치가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2400명 이상의 IT 의사결정권자(ITDM)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응답자의 85%는 2024년에 계획한 AI 전략을 실행했다고 답했는데 거의 절반에 달하는 47%는 이미 AI 투자에서 긍정적인 ROI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3%는 손익분기점을 넘겼다고 답했고 14%만이 마이너스 ROI를 기록 중이라고 답했다. 기업들이 AI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인식하는 데는 전통적인 ROI 지표가 아닌 다른 지표를 통해 분석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AI 투자로 인한 ROI를 계산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세 가지 지표로 소프트웨어 개발 속도 향상(25%), 혁신 속도 향상(23%), 생산성 개선으로 인한 시간 절약(22%)을 선택했다. 금전적/정량화 가능한 비용 절감은 15%로 4위에 그쳤다. 또 응답자의 31%는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