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이 한국과 미국의 환율 협상 관측에 따라 높은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다. 양국이 지난달 2+2 통상 협의에 이어 최근 환율 관련 실무 협상에 돌입했다는 소식으로 급락했던 원/달러 환율은 통상 협의와 환율 협상이 별개라는 취지의 보도에 하락 분을 일부 만회했다. 1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0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8.5원 내린 1411.7원이다. 개장가는 전날보다 9.3원 내린 1410.9원이었다. 환율은 한미 양국 외환 당국자들이 지난 5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를 계기로 대면 접촉했다는 외신 보도에 전날 야간 거래에선 장중 1390.8원까지 빠졌다. 미국이 원화 절상을 압박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면서 일시적으로 달러 매도세가 강해진 것으로 시장 참여자들은 분석했다. 다만, 이후 미국이 이번 무역 협상에서 환율 의제를 포함하지 않을 것이라는 외신 보도가 추가로 나오면서 분위기가 다소 반전됐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 오후 100.266까지 하락했다가 다시 101선 위로 급반등했다. 현재 101.0
14일 원/달러 환율이 추가 상승해 1420원대로 올라섰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는 전날보다 4.2원 오른 1420.2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2.0원 오른 1418.0원으로 출발한 뒤 금세 하락 전환했다. 이후 오전 11시36분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 주간거래 마감 직전 1420원을 넘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지난 연휴 환 헤지를 위해 대만 달러와 함께 원화를 사들였던 대만 생명보험사들이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 타결 이후로 다시 원화를 매도하면서 환율이 올랐다는 얘기가 시장에서 나온다”고 전했다. 그는 “어제부터 외국인의 국채 선물 매도도 많이 나왔다”며 “수급적인 요인 등은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100.965 수준이다. 전날 장중 101.795까지 올랐다가 하락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66.16원에 거래됐다. 전날 오후 3시30분 기준가인 957.11원보다 9.05원 오른 수준이다. 엔/달러 환율은 0.32엔 내린 147.17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14일 장 초반 소폭 하락하고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0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0.3원 내린 1415.7원이다. 환율은 2.0원 오른 1418.0원으로 출발한 뒤 금세 하락 전환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 타결 등의 영향으로 전날 야간 거래 장중 1428.8원까지 오른 것과 비교하면 상승세가 꺾인 모습이다. 간밤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작년 동월 대비 2.3% 상승해 2021년 2월(1.7%) 이후 4년여 만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를 향해 "유럽과 중국이 한 것처럼 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거듭 압박했다. 금리 인하 기대는 위험 자산 선호 심리 강화로 이어졌다. 미국 뉴욕 증시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0.72%, 나스닥 종합지수는 1.61% 각각 상승했다. 달러도 약세로 전환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100.988 수준이다. 전날 장중 101.795까지 올랐다가 하락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원/달러 환율은 13일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 타결 영향으로 1410원대로 크게 올랐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0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10.0원 오른 1412.4원이다. 환율은 전날보다 12.6원 오른 1415.0원으로 출발한 뒤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환율은 전날 주간 거래 마감 후 미중 무역 협상 타결 소식이 나오자 급반등해서 1426원까지 뛰었다. 새벽 2시 야간 거래 종가는 1417.0원이었다. 전날 미국은 무역 협상 결과 중국 상품에 매긴 관세를 145%에서 30%로 낮추기로 했다. 중국도 보복 관세를 기존 125%에서 10%로 대폭 조정하기로 했다. 이에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며 증시가 환호했다. 간밤 미국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2.81%,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3.26%, 나스닥 종합지수는 4.35% 각각 상승했다. 달러도 강세를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101.653을 기록 중이다. 지난달 10일 이후 한 달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원/달러 환율은 12일 오후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지면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이날 오후 5시20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보다 17.5원 오른 1417.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오후 3시30분 1402.4원으로 주간거래를 마친 후 15원 넘게 더 상승했다. 환율은 미·중 간의 무역 협상이 극적인 타결에 이르며 달러가 강세를 나타낸 영향으로 상승 폭을 키운 것으로 보인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오후 3시30분 100.535 수준에서 오후 5시10분 101.822까지 치솟았다. 미·중 양국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진행한 고위급 무역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각 115%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고 로이터, AFP 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에 따라 미국이 중국 상품에 매기는 관세는 145%에서 30%로 낮아지게 됐다.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매겼던 보복관세 125%는 10%로 낮아진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원/달러 환율은 12일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 타결 기대로 장 초반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0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보다 6.4원 내린 1393.6원이다. 환율은 5.0원 내린 1395.0원으로 출발한 뒤 낙폭이 더 커졌다. 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미·중 무역 협상 결과다. 양국의 고위 당국자들은 지난 10일(현지시간)부터 스위스 제네바에서 협상을 이어왔다. 간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취재진과 만나 “미국과 중국이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했고, 허리핑 중국 부총리도 “회담이 솔직하고 건설적이었으며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했다. 양국은 이날 공동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보다 0.1%가량 오른 100.531을 기록하고 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55.79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 거래일 오후 3시30분 기준가(962.56원)보다 6.77원 하락한 수준이다. 엔/달러 환율은 0.50엔 오른 145.86엔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이번 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 주간 평균 가격이 13주 만에 상승 전환했다. 10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5월 첫째 주(4∼8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L당 4.3원 오른 1639.8원이었다. 앞서 주간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지난주까지 12주 연속 상승했다. 지역별로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은 전주 대비 10.6원 상승한 1717.9원, 가격이 가장 낮은 대구는 2.9원 오른 1597.8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상표별 가격은 SK에너지 주유소가 L당 평균 1649.3으로 가장 높았고, 알뜰주유소가 1611.3원으로 가장 낮았다. 경유 평균 판매 가격은 전주 대비 4.2원 오른 1506.6원을 기록했다. 이번 주 국제유가는 OPEC+의 6월 증산 물량 확대 결정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동결 결정 등으로 하락했다. 다만 미국과 영국의 무역 협상 타결이 낙폭을 제한했다. 수입 원유 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직전 주보다 2.2원 내린 61.8달러였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1.4달러 내린 73.3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는 2.8달러 하락한 77.5달러로 집계됐다. 국제유가 변동은 통상 2∼3주가량 차이를 두고
중견기업 3곳 중 1곳 "오히려 악화"… 하반기 유동성 위기 우려 확산 정부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중견기업의 자금 사정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매출 부진과 고정비 부담으로 인해 유동성 위기를 호소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으며, 정책금융의 접근성은 여전히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가 최근 발표한 ‘2025년 중견기업 금융 애로 조사’에 따르면, 전년 대비 자금 사정이 나아졌다고 응답한 중견기업은 전체의 10.9%에 불과했다. ‘비슷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60.4%, ‘오히려 악화됐다’고 밝힌 비율은 28.7%에 달했다. 자금 사정이 나빠진 주요 요인으로는 ‘매출 부진’이 53.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이자 비용 증가’(14.0%), ‘인건비 증가’(10.2%)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매출 부진을 자금 악화의 원인으로 꼽은 비율은 지난해 4월(32.0%)보다 21.0%p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경기 전반의 침체가 중견기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자금 사정이 악화됐다고 응답한 중견기업 가운데 33.0%는 현재 상황이 지속될 경우 2025년 하반기 유동성 절벽에 직
원/달러 환율이 6거래일 만에 반등하며 1400원선으로 도로 올라섰다. 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날보다 3.4원 오른 1400.0원이었다. 환율은 전날보다 7.1원 오른 1403.7원에서 시작해 오전 한때 1415.1원까지 상승폭을 키웠다. 간밤 미국이 상호관세 유예 약 한 달 만에 영국과 처음으로 무역협상을 타결하면서 달러가 강세를 보인 영향이었다. 하지만 수출업체들의 달러 매도(네고 물량)에 환율은 장 마감 직전 1397.0원까지 밀렸다. 환율은 그동안 5거래일 연속 하락하면서 지난 7일엔 장중 6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하기도 했다. 주간거래 종가 기준으로 7일(1398.0원)과 8일(1396.6원)에 1300원대로 내려왔다가 사흘 만에 1400원대로 복귀했다. 같은 시각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5% 오른 100.547으로 100을 웃돌았다.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62.56원이었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 968.25원보다 5.69원 내렸다. 엔/달러 환율은 0.83% 오른 145.444엔을 나타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지난 3월까지 23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3월 경상수지는 91억4000만 달러(약 12조8463억 원) 흑자로 집계됐다. 직전 2월(71억8000만 달러)보다 약 20억 달러 많고, 작년 같은 달(69억9000만 달러)과 비교해도 약 22억 달러 커졌다. 3월 기준으로는 지난 2016년과 2015년에 이어 역대 세번째로 흑자 규모가 컸다. 이에 따라 올해 들어 1분기(1∼3월) 누적 경상수지 흑자(192억6000만 달러)도 작년 같은 기간(164억8000만 달러)에 비해 27억8000만 달러 웃돌았다. 4월 경상수지는 3월보다 흑자 규모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1국장은 “4월은 계절적으로 외국인 배당 지급이 집중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본원소득수지는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면서도 “4월 통관기준 무역수지는 3월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본원소득수지가 적자를 기록해도 상품수지 쪽에서 흑자가 많이 발생하면서 흑자 흐름은 이어가겠지만, 3월에 비해서는 그 규모가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3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 흑자(84억9000만
원/달러 환율은 9일 미국과 영국의 무역합의에 따른 강달러 영향으로 1400원대로 올라섰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9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7.1원 오른 1403.7원에 거래됐다. 환율은 달러화 반등 영향으로 8.2원 오른 1404.8원에 출발해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환율은 최근 5거래일 연속 하락했고 지난 7일과 8일에는 1300원대로 주간거래를 마쳤다. 지난밤 미국은 국가별로 부과했던 상호관세를 유예한 지 약 한 달 만에 영국과 가장 먼저 무역협상을 타결했다. 영국이 소고기·에탄올·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 수입을 촉진해 미국에 50억 달러 규모의 신규 수출 기회를 부여하는 대신, 미국은 25% 자동차 관세를 연간 10만 대까지는 10%만 부과키로 했다. 애초 상호관세를 발표할 때 영국에 부과한 기본관세 10%는 그대로 유지한다. 다른 국가들의 협상 기준점이 되는 첫 합의가 비교적 순조로웠다는 점에서 달러화는 상승 흐름을 탔다. 같은 시각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57% 오른 100.612를 나타냈다. 지난달 11일 이후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2분 현재 전날 주간 거래 종가(1398.0원)보다 1.5원 내린 1396.5원을 나타냈다. 환율은 이날 강달러에 따른 상승 압력으로 보합으로 출발해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간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연 4.25∼4.50%로 동결하기로 결정하면서 달러는 강세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47% 오른 99.832를 나타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관세 부과 영향이 매우 불확실하지만, 그 영향이 더 명확해지기를 기다릴 수 있을 만큼 경제 상황이 괜찮다고 평가했다. 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도 연준이 올 상반기에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매우 작다고 보고 있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71.18원에 거래됐다. 전 거래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보다 6.82원 내렸다. 엔/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0.65% 오른 143.85엔을 기록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7일 원/달러 환율이 20원 넘게 급락해 1300원대에서 출발했다가 실수요층 매수세로 하락분 대부분을 반납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전 거래일(2일·1405.3원)보다 7.3원 내린 1398.0원을 나타냈다. 이는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 이전인 11월 29일(1394.7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5.3원 하락한 1380.0원에서 거래를 시작했다. 개장가 기준으로 지난해 11월 6일(1370.4원) 이후 6개월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국내 연휴 기간 아시아 통화가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그러나 이후 주간 장 마감 전까지 꾸준히 오르며 하락분을 대부분 반납했다. 오후 1시 40분께에는 1400원 선으로 돌아오기도 했다. 이날 장중 저가(1379.7원)와 고가(1402.5원) 차이는 22.8원이었다. 주간 거래 중 나타난 원/달러 상승은 연휴 동안 거래를 하지 못했던 달러 실수요자들이 공격적으로 매수를 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국과 중국이 이번 주 후반 스위스에서 관세 전쟁 시작 이후 첫 공식 대화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협상에
원/달러 환율은 7일 아시아 통화의 강세 흐름에 발맞춰 1300원대로 떨어졌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0분 현재 전 거래일(2일) 주간 거래 종가보다 19.5원 내린 1385.8원을 나타냈다.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5.3원 하락한 1380.0원에서 출발했다. 이날 개장가는 지난해 11월 6일(1374.0원) 이후 6개월여 만에 가장 낮았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윤곽이 뚜렷해지기 직전 수준이다. 주간 거래 종가 대비 개장가 하락폭은 미국이 상호관세를 유예한 지난달 10일 38.1원 이후 가장 컸다. 환율이 주간거래에서 1300원대로 내려간 것은 비상계엄 직전인 작년 12월 2일 이후 처음이다. 야간거래에서는 지난 2일 1391.5원까지 하락했다가 1401.5원으로 마감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33% 내린 99.463을 기록했다. 원화 강세는 국내 연휴 기간 위안화·대만달러화 등 아시아 통화가 강세를 보인 데 발맞춘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이 대만과의 관세 협상 중 절상 압박을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대만달러 가치가 크게 올랐다. 대만 정부가 통화
원/달러 환율은 2일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 속에 비상계엄 사태 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전 거래일보다 15.7원 내린 1405.3원이다. 주간 거래 종가 기준으로 비상계엄 사태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1402.9원)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환율은 국내 정국 불안과 달러 강세 등을 반영해 15.0원 상승한 1436.0원으로 출발한 뒤 장 초반 1440.0원까지 뛰었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전날 동시에 사임하면서 국내 정국 불안이 다시 고조됐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은 이날 “증대된 정치적 불확실성이 금융·외환시장에 주는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F4 회의'를 중심으로 24시간 비상 점검·대응체계를 지속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환율은 오름폭을 줄이다가 오후에 하락 전환해 1403.5원까지 저점을 낮추며 1400원선에 바짝 다가섰다. 주간거래 기준 저점과 고점 사이 변동 폭이 34.7원으로 지난 2022년 11월 11일(37.4원) 이후 가장 컸다.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가 원/달러 환율에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