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리움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와이드스캔 및 레이저스캐너를 선보인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센서리움은 유럽의 선진 센서기술의 국내 도입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다. 다양한 스마트 센서 솔루션, 보행자용, 산업용 센서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편의와 안정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연구·개발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와이드스캔은 Time of flight 기술을 이용한 레이저 센서다. 각각의 다른 각도의 7개 레이저 커튼은 도어 정면에 넓은 감지 영역을 형성한다. 와이드스캔은 하나의 센서로 도어의 열림, 충돌 방지, 안전 등 3가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센서리움의 레이저스캐너의 Time of Flight 기술은 각각 4개의 레이저 신호를 평면으로 송신 및 스캔하여, 각 신호의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한다. 감지 뿐만 아니라, 물체의 속도, 길이, 위치 등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공장 시스템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진성나노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SENSOPART와 GSEE의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SENSOPART는 광전자 센서와 이미지 처리 비전 센서의 개발, 생산 그리고 마케팅에 종사하는 기업이다. 당사는 유도성, 용량성 그리고 초음파 센서를 제공하며, 산업용 자동화 센서가 주 분야인 제품들은 자동차 및 기계 건설, 전자 장치, 태양광, 식품 그리고 제약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GSEE는 산업용 자동화기기, 시스템 통합과 엔지니어링 서비스의 개발, 생산과 영업을 전문화하는 기업이다. 통신 솔루션, 인덕티브 센서, 효율적 자동화를 위한 최적화된 커넥션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다. GSEE의 대형 제품 포트폴리오는 모든 관련 표준 솔루션뿐 아니라 개인 사업의 특별 요구 사항도 다룬다. GSEE의 솔루션들은 자동차, 제철, 전동 공구, 엘레베이터, 섬유, 포장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공장 자동화 분
지콤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각종 스위치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콤이 전시한 스위치 제품에는 푸시버튼, 시그널 램프, 셀렉터 스위치, 비상 정지 버튼 등의 휴먼 인터페이스 컴포넌트가 포함됐다. 지콤은 그밖에도 전자, 전기부분에서부터 중공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에 적합한 특수 윤활유와 PCB 테스트에 사용되는 ICT/FCT 프로브와 고전류 프로브, 와이어 하네스 테스트에 필요한 스위치 프로브와 스텝 프로브, RF 테스트에 필요한 RF 프로브 등도 선보였다. 지콤은 독일 Feinmetall사의 프로브를 15년 이상 한국에서 독점 공급해왔다. 또한 자동화 관련 제품인 독일 Rafi 스위치, 장비, 로봇 윤활 솔루션 노르웨이 Biral, 온ㆍ습도, 압력 계측 장비, 모션 센서 등의 독일 GHM과 B+B 제품도 제공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
리스광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웨이퍼 검사 시스템과 텔레센트릭 렌즈, 현미경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리스광시스템은 검사장비용 광학계를 국내 순수 기술력으로 자체 설계 제작하는 업체다. 모든 광학 시스템의 자체 설계와 최적의 시스템 구축을 위한 컨설팅을 제공하며, 각종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산업용, 의료, 레이저가공용, 조명용 광학계 설계와 제조를 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웨이퍼 검사 시스템은 시료에 따른 주문형 Optical 구성이 가능하며, 다양한 비전과 스테이지를 적용시켜 검사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샘플을 테스트할 수 있는 장비다. 또한, LLC(Linear Lens Changer)을 통해 광학계 배율 변화가 가능하고, 고객 요청에 따른 오토 스테이지 또는 메뉴얼 스테이지로 Customizing 가능하다. 주로 웨이퍼 셀 정보 비교 검증 및 양불 판정, PCB 및 회로 기판 검사, BARCODE & QR CO
서보스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AGV 등을 비롯해 모션제어 및 로봇자동화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서보스타는 이번 전시회에서 오스트리아 자동화 기업 시그마테크의 자동화 솔루션 PLC, 모션컨트롤, HMI, 세이프티, I/O 무선 세이프티 HMI와 자체버스시스인 리얼타임 이더넷 바란시스템을 선보였다. 이는 고성능·초소형의 모듈식 시스템으로 제어, I/O, 세이프티, 서보드라이브, 최대 23.8인치까지 다양한 크기의 최신식 산업용 TUV인증 차세대 세이프티 일체형 무선 모바일HMI(SIL3, PLe Cat 4), 웹 기반 원격접속, 엣지 컴퓨팅 및 클라우드 로깅 등 최신 트렌드 기술, 객체지향형 프로그래밍(OOP) 및 올인원 엔지니어링 툴 라잘 등의 특징을 갖췄다. 공개한 또 하나의 솔루션은 시그마테크 하드웨어 기반으로 제작된 멜쿠스메카트로닉의 AGV다. 서보스타는 이 장비로 교통통제시스템(TCS)을 선보였다. Agumos C406
다셀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고정밀도의 토크센서, 로드셀, 로봇센서, 인디케이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다셀이 선보인 다축 로드셀은 힘, 무게 측정하는 센서로 100gf부터 1000tf 까지 제작가능하다. 각종 체중계로부터 산업분야의 Hopper Scale, Truck Scale, Platform Scale, 각종 자동화기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셀의 토크센서는 회전되는 힘(회전형 센서) 혹은 비틀림을 측정(비회전형 센서)할 수 있는 센서다. 자동차엔진, 각종 엔진 테스트에 많이 사용된다. 다셀은 협동로봇에 사용하는 토크센서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상용화했다. 다셀은 또한 각종 디지털 인디케이터 제품을 선보였다. 인디케이터는 로드셀 혹은 토크센서의 출력값을 받아서 디지털로 표시해주는 장치이다. 다셀은 1989년 창립 이해 특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표준형 로드셀은 물론 다양한 분야의 특수형 로드셀을 생산하고 있다. 저용량의 초소형
울랄라랩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당사의 대표 스마트팩토리 통합 솔루션인 '윔팩토리'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윔팩토리는 고객 현장의 문제점부터 데이터 요건 분석 그리고 최종 솔루션 도입까지의 모든 프로세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의사결정해 고객에게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스마트 공장 구축의 전 과정을 포함하며 고객 현장에 즉각적으로 솔루션을 공급하기 위해 스마트팩토리 파트너스 그룹 '스팍(SPAG)'과 협업하고 있다. 현재 스팍에는 약 20여개 스마트 팩토리 전문 요소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합류해 있으며, 윔팩토리는 기술 호환성의 강점을 활용해 스팍 파트너사의 기술 융합을 도모하고 고객의 생산 및 제조 현장에 최적화된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공급한다. 윔팩토리 스타터킷은 스마트공장을 간접 체험하고, 구축을 위한 사전 체킹 및 모델링을 기획하도록 돕는 제품이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IoT 디바이스 위콘과 온도, 습도, 근접, 진동 4개의 센서로
HIK로봇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하이크로봇 머신 비전 및 모바일 로봇과 물류 비전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하이크로봇은 엄격한 EMC, 안전성 및 신뢰성 테스트를 통해 각 제품의 높은 정밀도, 높은 효율성, 높은 환경 성능을 보장한다. 머신비전 제품은 가전, 반도체, 물류 등의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위치 가이드, 측정, 품질 검사, 코드 리딩, OCR(문자 검사) 등의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생산성, 정확성, 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Hikrobot은 저상형 모바일 로봇 (LMR), 컨베이어/대형 모바일 로봇 (CMR/HMR), 지게차 모바일 로봇 (FMR) 등 일련의 제품을 출시했다. 해당 제품들은 3C, 자동차, 제조, e-커머스 물류, 3PL, 식품 및 제약 등 산업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스마트 바코드 리더, 3D 카메라, 특수 설계된 광원과 자체 개발한 코드 판독 소프트
슈나이더 일렉트릭(이하 슈나이더)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베이직 HMI ST6000 시리즈를 비롯해 지능형 전력 센터 등 전력 효율 기반의 자동화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선보인 ST6000 시리즈는 새로운 수준의 시각화를 기본 HMI 시장에 제공한다. ST6000 시리즈는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품질의 디스플레이를 실현하며, 운영 및 시스템 정보를 최적화한다. 또 다른 솔루션인 지능형 전력 제어 센터는 에너지 효율성의 핵심인 안전하고 지속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전력 디바이스 예방 유지 보수에 탁월하며, 운전 현황 원격 감시 제어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동급 제품 중 설치 공간이 가장 작아 제한된 공간에 적합한 갤럭시 VL은 추가 설치 공간 없이 10배의 시스템 가용성을 보장한다. 간단하게 용량을 확장할 수 있어 확장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해 설비 투자비와 TCO를 절감한다. 이와 함께 N+1 내부 이중
야마하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당사의 산업용 로봇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야마하가 전시회에서 선보인 솔루션 중 하나인 리니어 컨베이어 모듈 'LCMR200'은 반송 시간까지 자동화해 택타임 낭비를 최대한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인다. 좁은 간격 고속 반송이 가능하며 개별 ID 인식, 원점 복귀가 필요 없는 완전 앱솔루트 방식, 드라이버 내장으로 배선 절감 등의 기술이 적용됐다. 야마하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선형 운송 시스템과 스카라 로봇 제조 기업이다. 야마하는 자사 제품이 만들어지는 모든 엔지니어링, 제조, 마케팅 작업장에서 뚜렷한 기준을 제시한다. 또한,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콘셉트와 고도의 기술, 세련된 역동성을 표현한 디자인이 한데 어우러진 솔루션을 갖추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여의시스템이 4월 6일인 오늘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여의시스템은 이번 SF+AW 2022에서 일반형 PC 'YOI-D720A'와 산업용 이더넷 'EDS-4000/G4000', 엣지 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선보인다. YOI-D720A 시리즈는 고객 맞춤형 산업용 컴퓨터에서 끝나지 않고 현장 관리자의 불편함을 해소해주는 퍼포먼스를 갖춘 컴퓨터로 생산성 향상 및 관리시간 감소로 FA 현장에서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4 x PCI Slot 또는 3 x PCIe (x8,x4,x4) 중 선택 가능하며, 추후에도 라이저 카드 변경만으로 손쉽게 구성 변경이 가능해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을 실현한다. 탈부착 구조의 스토리지를 통해 프로그램 변경, 업그레이드, 복구 및 용량 확장 시 편리하게 작업하며, 콤팩트한 디자인과 접이식 이동용 손잡이로 손쉽게 기기를 이동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엣지 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24시간 운영되는 산업현장에 특화된 솔루션으로, 장비 장애 원인을 즉시 파악하고 빠
스포스가 4월 6일인 오늘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스포스는 이번 SF+AW 2022에서 자사가 개발한 3D 센서를 선보인다. 지난 2012년에 설립된 스포스는 현장에서 축적된 기술 및 끝없는 연구로 노하우를 쌓아왔다. 이에 비접촉 3D 센서 및 시스템 솔루션을 지속해서 개발하며 자체 기술을 기반에 두고 있다. 스포스의 3D 센서는 3D 기술 기반으로 제품의 형상 및 치수 검사가 가능한 스마트 센서로, 미래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핵심 부품이다. 인라인 전수 검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는 4월 8일 총 3일간 코엑스 1층과 3층 전관을 사용하는 국내 최대 스마트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시회로,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Factory Expo),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의 세부 전시회로 구성돼 있다. (주)첨단, (사)한국산업지능화협회,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주최하는 SF+AW 2022는 국
새빛맥스가 4월 6일인 오늘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새빛맥스는 이번 SF+AW 2022에서 국내 보급 중인 라벨프린터 제품군을 선보인다. 새빛맥스는 지난 1994년 일본 엡손 사의 휴대용 라벨프린터인 '프리피아 OK시리즈'를 국내에 발표하고, 꾸준히 우수한 제품을 국내 시장에 보급해왔다. 현재 전국 1000여개 이상의 온·오프라인의 유통망을 보유했으며 전국 주요 관공서에 제품을 조달하는 등 지속해서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라벨프린터와 산업용 프린터가 주력인 새빛맥스가 보급하는 라벨프린터는 휴대형, 휴대형+PC, PC 전용 등으로 구분하며, 산업용 프린터는 튜브넘버링기, 명판프린터, 광폭라벨프린터, 컬러라벨프린터 등을 공급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는 4월 8일 총 3일간 코엑스 1층과 3층 전관을 사용하는 국내 최대 스마트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시회로,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Factory Expo),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트윔이 4월 6일인 오늘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AI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개발에 주력해온 트윔은 이번 SF+AW 2022에서 인공지능 검사 설비 'T-메가'와 인공지능 딥러닝 비전검사 소프트웨어 'MOAI4.0', AI 금속 부품 검사기 등을 선보인다. T-메가는 고해상도 카메라와 당사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딥러닝 비전검사 소프트웨어 MOAI 4.0을 탑재해 제조부터 포장까지 비정형, 난반사 및 미세한 결함까지도 빠르고 정확하게 포착하는 품질 검사의 통합 솔루션이다. 장비 특징으로는 고해상도 Area 카메라일 시 최대 픽셀 3.45㎛, 라인스캔 시 1.0㎛까지 가능하며, 검사 사양에 따른 맞춤형 광학기기를 이용해 다양한 결함 동시 검사가 가능하다. 이뿐 아니라 맞춤 개발로 어떤 부품 사이즈도 검사하며, 멀티스레드 처리를 통한 초고속 검사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다관절 로봇까지 활용한 AI 검사 장비를 보유했으며, 얼라인먼트 비전 공정을 추가해 정밀한 공정을 대응하고, 모든 공정에 자동 공급 시스템화를 추구
엠투아이코퍼레이션(이하 엠투아이)가 4월 6일인 오늘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엠투아이는 이번 SF+AW 2022에서 스마트 HMI, 스마트 SCADA,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등을 선보인다. 엠투아이는 스마트팩토리 핵심 요소로 현장 기기와 최상위 시스템 간의 연결을 꼽는다. HMI는 생산 공정 및 장치, 기기에 대한 모니터링 및 조작이나 제어를 돕는 인터페이스다. 엠투아이의 HMI는 연결성과 보안성, 다양한 기능성 멀티미디어 확장성을 제공한다. 이뿐 아니라 다양한 브랜드 제어기기 전용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 제공, 다양한 자동화 제어기기와 데이터 교환 및 제어 가능 등 높은 호환성을 갖췄다. SCADA는 원격 감시제어 및 데이터 수집 시스템으로 실시간으로 수집된 현장 데이터를 경보 처리, 가동 시간, 가동률, 운전 횟수 등의 형태로 가공하고 이력 파일로 관리하는 SW다. 엠투아이의 SCADA는 클라우드, MES, ERP 등 상위 시스템과 생산 현장 제어기기 등과의 연결성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 연동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