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그워너가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해 최신 전동화 기술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서 보그워너는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을 위한 첨단 기술 포트폴리오를 대거 공개할 예정이다. 보그워너 코리아 비즈니스 개발 매니저 권영명 상무는 “올해 서울모빌리티쇼 참가를 통해 전동화 모빌리티 솔루션을 선도하려는 보그워너의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하게 됐다”며 “보그워너는 고에너지 밀도의 LFP 배터리, 첨단 파워 일렉트로닉스 기술, 그리고 열 관리 시스템을 통해 한국의 보다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수송 혁신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글로벌 전문성과 강력한 현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한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핵심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보그워너의 LFP 배터리 시스템은 뛰어난 내구성과 모듈형 확장성을 갖춘 설계로, 핀드림스 배터리(FinDreams Battery)의 혁신적인 블레이드 셀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해당 배터리 팩은 고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주행거리,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상용차 및 오프하이웨이(Off-Highway)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파익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동화 설비를 지원하는 모션제어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된 파익스 모션제어기는 이더넷(TCP/IP) 통신으로 제어하는 외장형 제어기다. 기존 PC내부에 장착해 사용하는 PCI보드 타입 제어 방식에서 구현하기 어려웠던 무제한 연속보간(3D프린터, 조각기 등), 연속보간 중 노드 별로 디지털 신호 출력 제어(디스펜서, 본더 등)와 같은 특수 기능을 탑재했다. 이더넷 통신은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빈번하게 수행할 경우 통신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파익스 모션제어기는 각종 정보를 한번에 읽어 올 수 있는 구조체 형태로 개발됐다. 파익스는 PC기반 모션제어기, PLC, 인버터, 서보 모터, 스텝 모터, HMI의 개발, 제조 및 유통 전문 기업이다. 오랜 시간
스마트 팩토리 공정 맞춤형 솔루션 한데 소개 LMS 이송, 드라이브, 자동화 통합, HMI, 전력 관리, 모터 모니터링 및 예지보전 등 솔루션 총망라 “다양한 분야 제조 공정에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지속가능한 제조 혁신에 기여할 것” 산업·공장 자동화(FA) 영역의 변혁기가 도래했다. 인공지능(AI)·빅데이터·IoT 등 기술을 필두로 한 연결성(Connectivity) 역량이 강조됨에 따라, 정보통신기술(ICT)의 필요성과 고도화 가능성이 대두되는 현재다. 그럼에도, 전통적으로 FA 분야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 제어·전력·배전·자동화 등 기술이 앞선 트렌드의 기반으로 될 것으로 전망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이하 슈나이더)는 전 세계 제조업에 이와 같은 FA 뿌리 기술을 토털 솔루션 형태로 공급하고 있다. 올해로 국내 진출 50주년을 맞이한 슈나이더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통찰력으로 산업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중이다. 이달 12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슈나이더의 이 같은 행보를 엿볼 수
파익스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전한다. 파익스 전시부스에는 각종 현장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는 모션 컨트롤러 제품이 자리 잡을 예정이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파익스는 산업 자동화, 제어 시스템 등 솔루션 역량을 보유한 업체로, 정밀 제어 기술과 고효율 시스템을 강조한다. 이를 기반으로 모션 컨트롤, 서보 시스템, 인버터, 스마트 자동화 솔루션 등 각종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파익스는 이번 전시장에 ‘NMC2E’, ‘NMC-XR’ 등 모션 컨트롤러 솔루션을 소개한다. 이 중 NMC2E 시리즈는 이더넷(Ethernet) 기반 멀티 축 모션 컨트롤러로, 고성능 모션 컨트롤 기능이 내장됐다. 이를 통해 나노미터(nm) 단위로
전기차 주행 거리 연장, 충전 중단 횟수 감소, OEM 시스템 레벨에서의 비용 절감 가능해 NXP 반도체가 ZF 프리드리히스하펜 AG와 전기차용 차세대 SiC 기반 트랙션 인버터 솔루션 분야에서 협력한다고 발표했다. 이 솔루션은 NXP의 고급 GD316x 고전압 절연 게이트 드라이버를 활용해 800V와 SiC 전력 디바이스의 채택을 가속하도록 설계됐다. 효율적인 고성능 트랙션 인버터는 GD316x 제품군으로 구현되며, 전기차 주행 거리 연장, 충전 중단 횟수 감소, OEM 시스템 레벨에서의 비용 절감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NXP와 ZF의 협력은 자동차 산업의 전기화를 가속하고 미래를 위한 더욱 안전하고 지속 가능하며 에너지 효율적인 전기차를 만들기 위한 중요한 도약이다. ZF의 전기 파워트레인 기술 수석 부사장 카스텐 괴테(Carsten Götte) 박사는 “NXP와 협력해 800V 트랙션 인버터 솔루션의 기능과 성능 기준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배기가스를 줄이고 지속가능성을 증진하려는 자사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모터 제어와 전력 전자에 대한 ZF의 전문성과 NXP의 GD316x 게이트 드라
이더캣·캔오픈·메카트로링크 기반 서버부터 터치식 HMI까지 제어 기술 총망라 "공기 압축기, 프레스 머신 시장서 시작....반도체 분야까지 영역 확장하겠다" 베이치일렉트릭코리아(이하 베이치)가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부스를 마련해 참관객 및 산업을 위한 자동화 솔루션을 소개했다. 베이치는 중국에 본사를 둔 제어 솔루션 업체로, 지난 2022년 국내 법인 설립 후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가성비, 고품질’을 철학으로 한 베이치는 생산, 품질관리, 연구개발(R&D) 등 제품 전주기에 대한 경쟁력을 갖췄다고 평가받는다. 정만교 베이치 기술영업부문 이사는 “베이치는 고급 역량을 보유한 인력을 기반으로 제품 성능, 기능 등이 고도화돼 업계에서 선택받는 중”이라며 “국내 시장에서는 공기 압축기를 시작으로 프레스 머신까지 타깃 시장을 확장하고 있으며, 기술 집약의 끝판왕으로 분석되는 반도체 분야로의 진출이 최종 목표”라고 말했다. 이번 전시회에 모습을 드러낸 서보 드라이브는 이더캣(EtherCAT), 캔오픈(CANopen), 메카트로링크(Mechatrolink)
하이브리드 전기차(HEV), 연료전지차(FCEV), 배터리식 전동차(BEV) 등 자동차의 전동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파워트레인에 이용되는 인버터 등의 파워 일렉트로닉스 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또한 성능이 진화하고 있다. 파워 일렉트로닉스 기술은 많은 응용에서 이른바 원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요소 기술에 지나지 않지만, 그 성능은 많든 적든 응용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 응용에서는 인버터의 성능(효율이나 중량·체적)이 차량의 항속 거리나 연비, 실내 공간의 넓이 등 응용 시스템의 중요한 성능 지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 회사가 활발히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분야이다. 이 글에서는 전기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핵심 컴포넌트의 하나인 파워 컨트롤 유닛(PCU)에 이용되는 전력 변환 기술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HEV, BEV, FCEV 등 에너지원·구성의 차이에 따라 어떤 회로 구성이 선택되는지, 또한 거기서 이용되는 인버터, DC-DC 컨버터의 동작 원리, 제어 원리를 소개한다. 그것을 바탕으로 성능 향상을 위한 접근법으로서 차세대 파워 반도체 디바이스의 채용과 패키지 기술의 진전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주회로 기술 1
전기차 충전, UPS, ESS용 인버터 등 고성능 SiC MOSFET 수요 충족할 것으로 보여 넥스페리아가 오늘 RDS(on) 값이 40mΩ 및 80mΩ인 3핀 TO-247 패키지의 1200V 개별 소자 2종 출시로 실리콘 카바이드(SiC) MOSFET 시장에 진출했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선보인 NSF040120L3A0 및 NSF080120L3A0는 넥스페리아가 향후 출시할 SiC MOSFET 제품들 스루홀 및 표면 실장 패키지에 다양한 RDS(on) 값을 가진 포트폴리오의 첫 제품이다. 이 제품들은 전기 자동차(EV) 충전 파일,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 및 태양광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용 인버터를 포함한 산업 응용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고성능 SiC MOSFET의 수요를 충족시켜준다. 넥스페리아의 카트린 퓨를(Katrin Feurle) 수석 이사 겸 SiC 제품 그룹 책임자는 "당사는 더 많은 와이드 밴드갭 장치 공급업체를 요구해온 이 시장에서 미쓰비시 전기의 혁신적인 기술을 접목했다. 넥스페리아는 높은 RDS(on) 온도 안정성, 낮은 바디 다이오드 전압 강하, 엄격한 임계 전압 사양, 균형 잡힌 게이트 전하비 등 여러 매개변수에서 동급
국자 자동화 분야 1위 기업 LS일렉트릭이 선박 맞춤형 자동화 솔루션을 공개하고 조선 해양 시장 공략에 나섰다. LS일렉트릭은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4일 간 부산 BEXCO(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 조선 및 해양산업전(KORMARINE 2023)’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LS일렉트릭은 24㎡(8부스) 규모의 전시 공간에 △Product zone과 △Solution zone을 구성하고 기기부터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을 아우르는 디지털화된 자동화 제품과 서비스를 소개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에서 LS일렉트릭은 해양 산업 진입에 필수적인 9대 선급 인증을 획득한 선박용 △HMI(Human Machine Interface)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 △AC Drive 등 자동화 핵심 제품과 솔루션을 전면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선급인증은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 등의 분야에서 각국 선급협회가 요구하는 규정 충족에 대한 심사를 거쳐 부여된다. 따라서 특정 국가에서 발주되는 선박의 경우, 요구되는 해당국 선급인증이 있는 경우에 한해 선박용 기자재를 납품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된다. LS일렉트릭의 HMI 전략 제품 ‘iXP2’는 GPS
베이치일렉트릭코리아(이하 베이치)가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에 참여해 산업용 실링팬 인버터, 고성능 PLC 등의 제품 라인업을 선보인다. 베이치 IN310 산업용 실링팬 인버터는 기본적으로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 전원 켜기 노브 스위치, 속도 제어 포지셔너 및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다양한 기능, 부드러운 시동, 초저소음, 작은 크기, 쉬운 작동 및 에너지 절약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춘 장비다. IN310 시리즈 인버터의 특징은 고성능 벡터 전용 플랫폼과 우수한 모터 제어 알고리즘, 동기 및 비동기 모터 지원, 드라이버 및 주변 전기 장비의 통합, A5 용지 사이즈의 콤팩트한 크기, 간단한 조작과 플러그 앤 실행, 다용도로 사용하는 풍부한 확장 인터페이스 등이 있다. VC5 시리즈 고성능 PLC는 베이치에서 개발한 차세대 버스 다성능 PLC다. 듀얼 코어 아키텍처 기술을 사용해 강력한 모션 제어 기능을 갖췄으며, 가장 빠른 통신 주기는 250μs이며 동기화 시간 정확도는 ± 80ns다. 최대 32개의 실제 축에 대한 이더캣 버스 모션 제어를 실현하며, 벨트 샤프트 능력 요건 및 엄격한 코스트 관리 요구
삼현이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에서 각종 산업용 부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1988년에 설립된 삼현은 모터, 제어기, 감속기, 인버터를 모듈화 및 일체화(Intergration)한 제품인 '스마트 액추에이터' 및 '스마트 파워 유닛'을 전문적으로 설계·제조하는 기업이다. 전동화·무인화·로봇화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인 친환경 자동차, 전기 선박, UAM 산업 이외에 스마트 방산, 지능형 로봇, 전동화 농기구 등에 적용되는 핵심 구동 시스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삼현은 DCT 전시회에서 자사 CA 모터, SBW 액추에이터, 전기선박, UAM 등의 주요 부품, 전자광학 추적장치(EOTS) 주요 부품, 전동식 수평안정화 장치, 열교환기, 협업로봇용 관절 모듈 주요 부품, CVVD 액추에이터, xEV용 EPT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DCT CA 모터는 Dual Clutch Transmission 시스템에 사용돼 모터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클러치 변속 역할을 수행한다. 하나의 하우징에 두개의 모터를 적용해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고 사이즈를 획기적으로 줄인 제품이다. SBW 액추에이터는 운전 중 운전자에 의해 생성된 변속 신호를
신규 드라이브 모듈 위한 인버터, 전기 모터 고정자 공급…2025년 생산 시작 예정 보그워너(BorgWarner)가 동아시아의 주요 OEM 업체에 신규 전기차 플랫폼용 전기 모터 고정자와 인버터를 공급하는 업체로 선정됐다. OEM 업체의 해당 전기차 플랫폼은 2025년 중반기에 생산이 시작될 예정이다. 보그워너는 양사가 구축해 온 20년 이상의 기술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고객사의 전기 드라이브 제품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추고 있다. 최신 고정자 권선 기술을 적용한 영구 자석 동기 드라이브 모터는 업계를 선도하는 출력과 토크 밀도, 95% 이상의 최대 효율을 선보일 예정이다. 보그워너는 전기 모터 생산 역량의 다양성과 파워 일렉트로닉 부문의 전문성을 결합해 새로운 전기차 플랫폼을 효율적으로 구동하는 데 필요한 고품질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스테판 데멀레(Stefan Demmerle) 보그워너 파워드라이브 시스템스(PowerDrive Systems) 사장 겸 총괄 책임자는 “우리는 동아시아 주요 OEM 업체의 신규 전기차 플랫폼에 기여함으로써 긴말한 관계를 이어가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우리가 해당 업체와 오랜 기간 확고한 파트너십을 유지해
한국폴리텍대학 신기술교육원과 LS일렉트릭이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역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번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구축은 신기술교육원과 LS일렉트릭이 5일 산업 자동화 인력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협약식을 통해 약 1억 원 상당의 LS일렉트릭 장비를 신기술교육원에 기증하면서 이뤄졌다. LS일렉트릭이 기증한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은 산업 자동화의 필수 장비인 PLC, HMI, 인버터, SERVO 장비로 구축돼 있으며, 국내 유일의 IEC 국제 표준 기술인 RAPIEnet 솔루션 통신프로토콜 기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덕분에 지역 내 자동화 산업의 기술 고도화에 필요한 기술 인력 지원과 스마트 팩토리에 관심 있는 기업에서도 활용이 가능해졌다. 협약식에서 신기술교육원 장현희 원장은 “이번 LS일렉트릭의 장비 기증으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많이 접해보지 못한 기업에 기술 인력 지원과 기술 활용성을 높이도록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LS일렉트릭 이유미 상무는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 내 기업의 산업 자동화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화답했다. 신기술
비테스코, 온세미 생산 영역에 2억 5000만 달러 투자...‘핵심 반도체 기술 접근성 확보로 전기화 성장 뒷받침’ SiC는 실리콘·탄소로 구성된 반도체 재료로, SiC반도체는 동력장치에 스위치 역할을 하는 전력반도체다. SiC반도체는 결국 모터 동력을 관장하는 인버터 핵심부품이다. 실리콘반도체 대비 약 10배가량 내구성이 강해 에너지 효율이 높고, 10배에 해당하는 만큼 공간 효율성도 갖춰 전기차 분야 최적 기술로 부상했다. 이에 온세미와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이하 비테스코)가 실리콘 카바이드(SiC)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10년간 총 19억 달러 규모다. 하산 엘 코우리(Hassane El-Khoury) 온세미 CEO는 “이번 협력으로 전기차 주행거리 연장 및 고성능에 대한 비테스코 고객 요구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비테스코는 온세미에 SiC 기판(Boule) 성장·웨이퍼 생산 신규 장비 도입·에피택시 생산 신규 장비 도입 등에 2억 5000만 달러를 투자해 SiC 용량 확보를 도모했다. 해당 장비는 SiC의 글로벌 수요 증가에 대비 전략인 SiC 웨이퍼 생산에 활용될 예정이다. 비테스코는 이번 계약을 통해 향후 트랙션 인버터
산업 보안이 기업 생존의 필수조건으로 꼽히는 가운데 LS일렉트릭이 국내 최초로 연구개발 프로세스 보안 관련 국제 표준 인증을 획득했다. LS일렉트릭은 최근 글로벌 시험인증기관 ‘TUV SUD(티유브이 슈드)’로부터 PLC, 인버터 등 산업 자동화 제품 개발 프로세스 등에 대한 ‘IEC 62443-4-1 정보 보안 인증‘을 획득했다고 6일 밝혔다. IEC 62443은 산업 통신망의 위험 완화를 목적으로 보안에 대한 전체적인 접근방식을 정의한 신 국제 표준이다. 기존의 IT의 사이버 보안 표준은 네트워크에만 국한되어 있어 최근 주목받는 산업자동화 제어시스템이나 운영 기술 분야 보안체계 구축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LS일렉트릭이 획득한 IEC 62443-4-1은 보안 관련 제조자 개발 프로세스의 요건을 설명, 정의하고 있다. 이 표준에는 △보안기능 및 전문 지식 △구성 요소들의 보안 △프로세스 및 품질 보증 △보안 아키텍처 및 설계 △문제 처리 △보안 업데이트 패치 및 변경 관련 사항이 요구된다. LS일렉트릭은 이번 인증을 통해 최고 수준의 보안 솔루션을 요구하는 데이터센터, 스마트공장, 대형빌딩, 철도 등에 대한 자동화 솔루션 공급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