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폭락한 리튬의 가격이 장기적으로 떨어져 안정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SNE리서치가 리튬의 가격이 공급 과잉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리튬은 전기차에 들어가는 리튬이온배터리의 핵심 광물이다. 2022년 초, 리튬 원재료의 공급 부족으로 리튬은 톤 당 58만 위안(한화 약 1.1억 원)으로 가격이 치솟았다가 2022년 말부터 중국의 전기차 보조금 종료 이슈 및 배터리 업체들의 배터리 재고 증가로 5개월 만에 톤 당 16만 위안(한화 약 3천만 원)까지 하락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리튬의 가격은 향후 2028년까지 지속적으로 하락 안정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SNE리서치는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신규 리튬 광산 프로젝트의 본격적인 가동으로 인한 공급 물량 증가를 꼽았다. 공급 과잉으로 수요·공급 밸런스의 불균형이 발생해, 리튬 가격이 2027년 최대 하락폭을 경신하고 2028년 톤 당 13만 위안(한화 약 2800만 원)까지 떨어질 것이란 설명이다. SNE리서치는 “리튬 가격 하락은 수요 공급광산 채굴 및 정제련 업체들에게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며, “이 과정에서 마진이 상대적으로 높은 글로벌 채굴 업체들이 경쟁에서 살아남을 것”이
대만 언론, TSMC 3분기 매출 전 분기보다 증가한 약 175억 달러 예상 TSMC의 지난달 매출액이 전년 동기보다 4.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TSMC는 전날 매출 보고에서 지난달 연결기준 매출이 1776억1600만 대만달러(약 7조3000억 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동기보다 4.9% 줄어든 것이다. 다만 TSMC는 지난달 매출이 6월 매출과 비교하면 13.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6개월 동안 월별 매출로는 최고치다. 올해 1∼7월의 매출액은 1조1670억9000만 대만달러로 전년 동기에 비해 3.7% 감소했다. 대만 언론들은 TSMC가 3분기 매출을 167억∼175억 달러로 직전분기 대비 6.5∼11.6%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이 같은 예상은 TSMC의 3㎚ 공정 제품 수요의 강세로 전반적인 영업이 회복될 것이란 전망에 따른 것이다. 다만 대만 매체들은 고객사의 지속적인 반도체 재고 조정으로 인한 여파를 계속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도 대만 전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현대모비스가 국내 주요 자동차 부품 기업 가운데 올해 2분기 투자자 관심도 1위를 기록했다. 11일 여론조사기관인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국내 주요 자동차 부품기업 8곳의 정보량을 빅데이터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지난 9일 기준, 종가 1만 원을 넘는 상장 종목 중 8개사를 임의 선정했다. 정보량 순으로 현대모비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성우하이텍, 현대위아, 서연이화, HL만도, 세방전지, 일진하이솔루스 등이다. 조사 방식은 ‘기업명’으로 동일하게 검색했으며 스포츠 관련 키워드는 제외어로 설정했다. 분석 결과 현대모비스는 지난 2분기 총 5만 2597건의 정보량을 기록하며 국내 주요 자동차 부품기업 가운데 정보량 1위를 차지했다. 한편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4만 7369건의 포스팅 수로 2위에 올랐다. 성우하이텍은 2만 8338건의 정보량으로 3위를 차지했다. 4위는 1만 4222건의 정보량을 보인 현대위아가 차지했다. 서연이화는 1만 2538건의 포스팅 수로 5위에 랭크됐다. 6위 H
현대차 넥쏘 판매량 부진, 도요타는 큰 폭 성장하며 격차 좁혀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된 수소연료전지차(이하 수소차)는 총 8290대로 전년 동기 대비 11.6% 감소, 역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는 넥쏘(NEXO)와 일렉시티(ELEC CITY)를 3198대 판매하며 시장 점유율 38.6%로 선두 자리를 유지했으나, 넥쏘의 판매량 부진이 이어져 전년 동기 대비 41.5% 역성장했다. 반면, 부진했던 도요타 미라이(Mirai)의 판매량이 5월과 6월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현대차와의 시장 점유율 격차가 10.5%까지 좁혀졌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넥쏘의 판매량 감소 여파로 전년 동기 대비 39.7% 감소했지만 36.1%의 시장 점유율로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중국은 상용차를 중심으로 고성장을 이어가며 95.3%의 성장률을 기록, 2위를 기록했다. 미국과 유럽은 도요타 미라이의 판매량 증가세에 힘입어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SNE리서치는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위한 투자 의지를 보이고 글로벌 완성차 OEM들의 친환경차에 대한 전략으로 전기차 시장은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수소
유비리서치 ‘XR 산업의 메가트랜드 분석 보고서’ 발간 2018~2022년 사이에 XR 기기를 출시한 업체 수가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25개 업체가 XR 기기를 출시했고, 미국은 20개, 한국은 9개 업체가 XR 기기를 출시 세 번째 순위에 자리했다.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1989년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출시된 XR 기기 모델 수는 327개, 업체 수는 127개다. 1989~2022년 사이에 출시된 모델 수들을 기기별로 분석한 결과 XR 기기 산업은 2016년부터 개화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기기 모델들은 대부분이 VR용이었으나 2017년에 출시된 모델 수가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새로운 VR 기기 모델 수는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가 시작된 2020년 이후AR 기기 모델 수가 VR 기기 모델 수를 앞지르고 있다. 신규 출시 VR 기기 모델 수가 감소한 이유 중에는 MR 기기 모델 수 증가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분석을 통해 2021년부터는 XR 기기 산업이 VR에서 AR과 MR 산업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응용 분야별 업체 수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중국 업체는 VR과 MR 제품을 출시한 기업 수
1~6월 非중국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259.0만 대…전년 대비 40.4%↑ 테슬라 1위, 현기차 4위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약 26만 6천 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5.6%의 성장률을 기록, 4위를 기록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아이오닉 5, EV6, Niro 등 모델을 앞세워 올해 2분기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두 회사는 새롭게 출시된 코나(SX2) 일렉트릭과 EV9의 판매 개시, 아이오닉 6의 글로벌 판매 확대를 통해 전기차 시장에서 역대 최대 실적 경신 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1~6월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는 약 259.0만 대로 전년 대비 40.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별 전기차 판매 대수를 살펴보면 테슬라는 올해 초부터 시행한 가격 인하 정책과 주력 차종인 모델3/Y에 대한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세제 혜택에 힘입어 전년 대비 62.2% 성장률을 기록, 1위 자리를 지켰다. 폭스바겐, 아우디, 스코다 등이 속한 폭스바겐 그룹은 전년 대비 41.0% 성장률을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해외브랜드 중
한국계 배터리 3사 점유율 5.9% 하락한 48.5% 중국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이 중국 지역 외의 글로벌 시장에서도 점차 점유율을 확대해가는 모양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1월부터 6월까지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된 전기차 배터리 총 사용량이 전년 동기 대비 56.0% 성장한 약 143.1GWh로 집계됐다. 업체별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국내 3사는 모두 5위권에 안착했다. LG에너지솔루션이 전년 동기 대비 55.1%(41.1GWh) 성장하며 선두 자리를 지켰고 SK온은 15.7%(15.8GWh), 삼성SDI는 28.8%(12.5GWh) 성장률로 나란히 4위와 5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국내 3사의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5.9% 하락한 48.5%를 기록했다. CATL을 비롯한 몇몇 중국 업체들이 비중국 시장에서 세 자릿수의 폭발적인 성장률을 보이며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점차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CATL은 107.1%(38.9GWh)의 세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LG에너지솔루션을 바짝 쫓고 있다. CATL은 테슬라 Model 3/Y(중국산 유럽, 북미, 아시아 수출 물량)를 비롯하여 Mercedes EQS, 볼보 X
글로벌 1, 2위 BYD, 테슬라 합산 점유율 35.3% 올해 들어 6월까지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가 약 616.1만 대로 전년 대비 41.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1~6월 그룹별 전기차 판매 대수에서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1위 기업 BYD는 전년 동기 대비 100.1% 성장률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지속했다. 상반기에만 128.7만 대를 기록하며 20.9%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BYD에 이어 2위에 오른 테슬라는 공격적인 가격 인하 정책과 주력 차종인 모델3/Y에 대한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세제 혜택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57.4%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위 상하이 자동차 그룹(SAIC)은 홍광 미니(宏光 MINI EV)와 MG-ZS, Bingo(五菱缤果)같은 비교적 저용량 전기차의 판매 호조가 27.7% 성장률을 견인했다. 현대기아 그룹은 전기차 아이오닉 5, EV6, 니로를 앞세워 전년 동기 대비 5.3%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현대차가 올해 2분기에도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새롭게 출시된 코나(SX2) 일렉트릭과 EV9의 판매 개시, 아이오닉 6의 글로벌 판매 확대를 통해
엔데믹에 진단키트 63.7% 감소…중고차·화장품은 상반기 최대치 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이 558억 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5.5% 감소했다고 2일 밝혔다. 중기부는 수출액 감소에 대해 "글로벌 경기 악화에 따라 중국, 베트남으로의 중간재 수출이 부진했고 엔데믹에 따른 진단키트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월별로 보면 3월과 4월, 5월 중소기업 수출액은 작년 동월에 비해 각각 9.1%, 6.0%, 5.7% 감소했으나 6월에는 3.1% 증가했다. 주요 품목 중에서는 자동차, 화장품 등이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으나, 엔데믹 이후 수요가 감소한 진단키트(-63.7%)는 전체 품목 중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수출국별로 보면 제조업 업황 악화로 생산이 둔화한 중국, 베트남과 진단키트 수요가 감소한 미국, 일본 등에 대한 수출이 감소했다. 반면 러시아, 멕시코로의 수출은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치로 집계됐고 화장품, 기계류 수출이 증가해 유럽, 중동으로의 수출도 각각 11.4%, 5.6% 증가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배터리 3사는 전체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중 23.9%를 점유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1~6월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EV, PHEV, HEV)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약 304.3GWh로 전년 동기 대비 50.1% 성장했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23.9%로 전년 동기 대비 2.2%p 하락했지만 배터리 사용량은 내 3사 모두 성장세를 나타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50.3%(44.1GWh) 성장하며 3위를 기록, SK온은 16.1%(15.9GWh), 삼성SDI는 28.2%(12.6GWh) 성장률과 함께 각각 5위와 7위를 기록했다. 국내 3사의 성장세는 각 사의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들의 판매 호조가 주 요인으로 작용했다. 삼성SDI는 리비안 R1T/S, BMW i4/7/X, 아우디 E-Tron이 꾸준한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SK온은 현대 아이오닉 5, 기아 EV6, 메르세데스 EQA/B의 견조한 판매량으로 인해 성장세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 모델3/Y, 폭스바겐 ID. 3/4, 포드 M
국내 최대 중고차 수출항인 인천항이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수출 기록을 경신했다. 1일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인천항에서 수출된 중고차는 모두 23만4000여대다. 이는 역대 최고 기록인 2019년 상반기 19만5000여대보다 20% 증가한 수준이다. 올해 국가별 수출 비중은 리비아 26.4%, 튀르키예 11.1%, 이집트 10.9%, 요르단 7.1%, 키르기스스탄 5.9% 순으로 집계됐다. 중고차 수출업계는 2021년부터 시작된 자동차 운반선 부족 현상이 장기화하자 컨테이너선을 적극 활용하면서 물동량 증가를 이끌었다. 올해 상반기 인천항에서 컨테이너선에 선적된 중고차는 18만3000여대로 자동차운반선 선적 대수 5만 여대의 3.6 배에 달한다. 다만 국내 전체 중고차 수출량 중 인천항이 차지하는 비중은 76.3%로 2019년 89.5%보다 13.2%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IPA 관계자는 "지난해 말 컨테이너 운임이 급락하면서 중고차 수출의 컨테이너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며 "이에 따라 국내 다른 항만에서도 중고차 수출물량 유치에 나서면서 인천항이 차지하는 비중은 소폭 낮아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헬로티 이
소프트베리, 전기차 이용자 대상 충전 요금 설문조사 진행 이용자 90.8% 충전 요금 상승 부담…”요금 인상은 전기차 경제성 저하” 전기차 이용자 중 다수가 전기차 충전 요금 상승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충전 라이프스타일 스타트업 소프트베리는 자사의 전기차 충전 정보 앱 ‘EV Infra’ 사용자 500명을 대상으로 지난 6월 23일부터 30일까지 전기차 충전 요금에 대한 설문조사 진행했다고 밝혔다. 결과에 따르면 전기차 이용자 대부분이 전기차 충전 요금 상승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전 요금 상승에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부담된다(90.8%), ▲부담되지 않는다(9.2%)고 답했다. 상승에 부담을 느끼는 이유(중복응답)로는 ▲소비자 물가 상승에 따른 부담(67.3%), ▲현재의 충전 요금이 적절하다고 생각(28.5%)을 꼽았다. 전기차 이용자는 충전 요금 인상이 내연기관차에 비해 충전비가 저렴한 전기차의 경제성 저하로 이어진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전기차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충전 요금의 적정 금액은 ▲100원 초과~200원 미만(48.6%), ▲200원 초과~300원 미만(34.8%)으로 답했다. 2023
2분기 경영실적 발표...‘전년 대비 매출 20.0%↑, 경상익 40.3%↑’ 기아가 지난 27일 컨퍼런스콜로 기업설명회(IR)를 열고 2023년 2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기아는 2023년 2분기 80만 7772대(전년 대비 10.1%↑)를 판매했으며(도매 기준), 이에 따른 경영실적은 매출액 26조 2442억 원(20.0%↑), 영업이익 3조 4030억 원(52.3%↑), 경상이익 3조 6823억원(40.3%↑), 당기순이익(비지배 지분 포함) 2조 8169억원(49.8%↑)을 기록했다고 밝혔다(IFRS 연결기준). 매출액은 지난해 1분기부터, 영업이익은 지난해 4분기부터 연속해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고, 영업이익률은 13.0%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 최고 수준을 달성했다. 기아 관계자는 지난 2분기 실적과 관련해 “견조한 수요가 유지된 가운데 생산 정상화에 따른 공급 확대로 판매가 증가했고, 고수익 차량 중심의 판매 확대, 인센티브 절감 등 수익 구조 개선이 지속된 가운데 우호적 환율 영향이 더해져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3년 하반기 전망과 관련해서는 “고금리ㆍ고물가 추세와 국제적 긴장 상황이 장기간 이어지며 불확
2분기 경영실적 발표...매출 5조 8406억 원, 영업이익 4502억 원 기록전지 부문 전년 동기 대비 매출 29.4%, 영업이익 58.5% 증가 삼성SDI가 2023년 2분기 매출 5조 8406억 원, 영업이익 4502억 원을 기록하면서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및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삼성SDI에 따르면, 이번 실적에 따라 회사는 네 분기 연속 매출 5조 원을 돌파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조 998억 원(23.2%), 영업이익은 212억 원(4.9%) 각각 증가했고, 전분기 대비 매출은 4858억 원(9.1%), 영업이익은 748억 원(19.9%) 각각 늘었다. 영업이익률은 7.7%를 기록했다. 미래 사업을 이끄는 전지 부문의 매출은 5조 270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 1985억 원(29.4%), 전 분기 대비 4723억 원(9.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88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32억 원(58.5%), 전 분기 대비 717억 원(22.7%) 늘었다. 영업이익률은 7.4%를 기록했다. 중대형 전지 중 자동차 전지는 P5 배터리를 탑재한 주요 고객의 프리미엄 차량 판매 확대 영향으로 매출 및 이익이 증가했다. E
중소기업 경기 전망이 비제조업은 개선되고 제조업은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3∼20일 중소기업 3천62개를 상대로 업황 경기전망지수(SBHI)를 조사한 결과 8월 SBHI가 79.7로 전월 대비 0.6포인트 상승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수치는 6∼7월 두 달 연속 하락했다가 8월 소폭 반등했다.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더 많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80.6으로 전월보다 3.5포인트 하락했고 비제조업은 79.3으로 2.4포인트 상승했다. 비제조업 중 건설업(88.2)이 6.4포인트 상승했고 서비스업(77.4)은 1.5포인트 올랐다. 제조업의 경우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6.5포인트), 가구(5.5포인트) 등 7개 업종은 올랐고 의료용물질및의약품(-13.5포인트), 자동차및트레일러(-13.1포인트) 등 15개 업종은 내렸다. 7월 중소기업의 최대 경영 애로(복수 응답)는 내수 부진(61.9%), 인건비 상승(43.7%), 업체 간 과당경쟁(33.4%), 원자재 가격 상승(31.2%) 등 순으로 꼽혔다. 6월 중소제조업 평균 가동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