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두성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민웰(MEAN WELL) 사의 파워 서플라이 라인업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두성시스템이 전시회에서 선보인 엔클로즈드 타입 파워 서플라이는 15W부터 1만W까지 폭 넓은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DC/DC, PFC 기능 및 DIN 레일에 적용 가능한 제품 등 다양한 타입의 모델을 보유 중이다. 적용 사례로는 OLED·LCD 자동 검사기, 3D프린터 및 전기 자동차 등 국내·외 시장의 다양한 산업 분야와 신규 사업 분야에서 사용된다. 의료용 파워 서플라이는 5W에서 1000W까지 폭 넓은 영역에 적용하는 장비다. 크기가 작은 오픈 프레임부터 어댑터 및 엔클로즈드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모델을 보유 중이다. 적용 사례로는 범용 초음파 영상 진단장치, X-Ray 장비 및 소형 의료장비 등에 사용된다. 메탈 케이스 타입 파워 서플라이는 온도의 변화폭이 많은 실외 환경에 적합하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제이비언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중국 다흥사의 차별화된 카메라와 렌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 전관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제이비언이 이번에 선보인 고화질의 산업용 디지털 카메라 '머큐리2 프로'는 GigE, USB 3.0 버전이 있다. GIgE카메라는 5MP, 9MP, 18MP, 26MP, GPixel GMAX Sensor를 특징으로 하며 USB 3.0카메라는 12MP, 26MP, Sony IMX304, GMAX0505 Sensor를 사용한다. 컴팩트한 디자인, 뛰어난 성능, 간편한 설치 및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MERCURY2 PRO 카메라는 산업 검사, 의료, 과학 연구, 교육, 보안 등과 같은 머신 비전 애플리케이션에 특히 적합하다. 이와함께 전시된 HN-P 시리즈 렌즈는 높은 광학 성능을 갖췄다. 1.2인치, 2.74μm 픽셀(최대 2500만 픽셀) 센서, F2.4 대형 조리개 디자인. 조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에버넷전자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전원공급장치, 인버터, 컨버터, 파워서플라이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에버넷전자가 이번에 선보인 장치는 ▲민웰 전원공급장치(SMPS) LRS Series ▲민웰 딘레일 전원공급장치(SMPS) NDR Series ▲민웰 의료용 전원공급장치(SMPS) NMP Series다. 이 제품들은 AC/DC 전원공급장치,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로써 산업, 의료, 조명, 통신,보안, 철도용 전원공급장치, 파워서플라이로 활용할 수 있다. 에버넷전자는 민웰사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전 산업분야로 인웰 SMPS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창고 6동을 운영하며 민웰 SMPS 국내 최다 수량의 재고를 보유했다. SMPS를 다뤄온 십여년간의 노하우로 최단 납기, 최상의 서비스, 최적의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피아이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고속 리니어 스테이지, 보이스코일 PIFOC 포커스 드라이브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피아이코리아가 전시회에서 선보인 V-857 고속 리니어 스테이지는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다이내믹 리니어 스테이지다. 인코더의 높은 분해능으로 인해 우수한 트래킹 성능, 작은 트래킹 에러, 짧은 정착 시간, 3상 마그네틱 다이렉트 드라이브는 마찰 없이 구동력을 모션 플랫폼에 직접 전달해 높은 속도 및 가속도를 달성한다. 또한, 코깅 현상이 없어 높은 정밀도. 부드러운 주행 및 진동 발생 없음, 최대 1200mm의 이동 범위, 최대 속도 5m/s, 가반 하중 1000, 전자 제품 어셈블리, AOI, 웨이퍼 가공 및 검사의 반도체 제조, 레이저 가공, 정밀 자동화에 적합하다. V-308 보이스코일 PIFOC 포커스 드라이브는 검사 또는 현미경 기술에서 대물렌즈의 광학 축을 따라 샘플을 Z 방향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디앤시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패널 컴퓨터, 팬리스 컴퓨터, 산업용 키오스크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디앤시스가 전시회에서 선보인 패널 컴퓨터는 산업용 메인보드와 터치모니터 일체형 제품으로 생산현장의 공정관리 시스템 구축에 적합하다. 이 제품은 열악한 산업 환경에서 사용하도록 신뢰성 있는 산업용 규격의 부품을 사용해 내구성이 우수하며, 팬리스 제품 및 전면방수 제품 등 다양한 라인업으로 여러 분야에 폭넓게 적용 가능하다. 디앤시스의 팬리스 컴퓨터는 알루미늄 방열판을 적용해 쿨링팬이 없는 고성능 소형 컴퓨터다. 쿨링팬이 없어 먼지 유입이 적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해 분진과 오염이 많은 산업 현장에 적합하다. 또한, 메모리, SSD, 시리얼 포트, 확장 슬롯 등 고객 요청에 따라 맞춤형 제작이 가능하다. 산업용 키오스크는 산업 현장의 각종 주변장치 장착과 연결을 위한 확장성을 고려해 설계됐으며, 외부의 충격에 견디도록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이에스테크놀러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당사의 전기리프트 부품과 보이스 코일 모터 등의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에스테크놀러지의 전기리프트 ES07은 2단으로, 추력 100~1만N, 스트록 max. 1200mm, 무부하 시 속도 6~120mm/s 등의 재원을 갖췄다. 옵션 기능으로는 홀센서 내장, 안전 너트, 상·하한 리미트스위치 접점 신호 출력, 서보모터 적용 등이 있다. 전기리프트 ES12는 2단 또는 3단으로 제작되며, 추력 100~1만N, 스트록 max. 3000mm, 무부하 시 속도 6~120mm/s의 재원을 갖췄다. 옵션 기능으로는 홀센서 내장, 안전 너트, 상·하한 리미트스위치 접점 신호 출력, 서보모터 적용 등이 있다. 지난 2006년에 설립된 이에스테크놀러지는 다년간 축적된 노하우와 기술력을 앞세워 다수의 유럽 전기실린더·전기리프트 제조 기업의 우수한 제품을 국내 독점 공급하며, 자사 제품까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하랑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데스크탑 로봇, MRC 다축 로봇 제어기, 스카라 로봇 등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 전관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하랑이 이번에 선보인 이벤트 카메라는 프레임 기반 카메라와는 달리 대상체가 빛의 변화에 따라 센서(각 픽셀)에 즉각적으로 반영한다. 모든 픽셀이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고속으로 감지하고, 중요 Edge정보만 추출이 가능하여 Data량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활용사례로는 자동차 주행시 외부 이동 물체 감지, 이동 경로 시스템, (야간) 감시 및 보안 시스템에 활용된다. 이와함께 전시된 FCB 카메라는 1/1.8인치 센서를 탑재하고도 사이즈 절감을 실현한 제품으로 30x 확장 광학줌을 새롭게 도입했다. 광학중 적용으로 Wide-Tele까지 고화질 이미지 획득이 가능하고, 기존 모델의 이미지 센서보다 2배 가까운 감도를 갖는다. 기존 stabilizer 기능을 개선해 지동이 큰 환경에서도 흔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케이피씨전자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 참가해 FORKLIFT TYPE의 자율주행 무인지게운반차를 선보였다. SLAM 기술을 이용한 FORKLIFT TYPE의 자율주행 물류로봇은 최대속도는 2.0M/sec이며 정지 정밀도는 10mm이다. 세이프티에서는 Area LiDAR 4ea 외 자동 도킹 위치 보정 기능, 자동충전 기능, 사용자 정의 관제기능, 외부 시스템과 인터페이스 기능 등이 있다. 주로 반복적인 작업이 필요한 현장, 컨베이어 시스템 대처, 고중량 물류, 고위험 물류, 복잡한 물류 현장에 사용할 수 있다. 주행 및 도킹 시, 위치 오차는 10mm 이내다. ACS(AGV Control System)는 실시간 관제 시스템이다. 인터페이스는 Modbus TCP/IP, HTTP/REST이며, FORMAT은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을 사용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잘만정공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캠플로워, 니들롤러 베어링 등 베어링 제품군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잘만정공이 전시회에서 선보인 캠플로워는 정격하중 및 중하중에 적합한 베어링으로 안내 로울러, 락커밸브 로울러, 슬라이드 용 캠 로울러, 압력 로울러 등의 로울러 등 종류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쓰이며, 머시닝 센터의 자동공구교환장치(ATC)와 구동부인 캠 박스에도 적용된다. 니들롤러 베어링은 고하중에 적합한 베어링으로서 안내 로울러, 락커밸브 로울러, 편심 로울러, 테이블받침 로울러 등의 용도에 응용 됩니다. 장착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 때문에 수많은 용도로 사용 됩니다. 로드엔드 베어링은 링크조절용으로 견인 및 압착하중 하에서 어떠한 난운동에도 원할하게 동력을 전달하며 기본적으로 급유형과 무급유형이 있습니다. 스텐레스로 구성된 제품은 JFTS, JMTS로 호칭합니다. 1974년 설립된 잘만정공은 국내 자체 기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바심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코그넥스의 비전프로와 비디(ViDi)를 활용한 다양한 머신비전 적용사례를 알기 쉽게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 전관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바심은 독자기술로 개발한 영상처리 기술을 바탕으로 기존의 비전시스템으로 구축하기 힘든, 어렵고 까다로운 환경의 조건도 검사가 가능한 머신비전 소프트웨어를 설명함으로써 참관객들의 이해를 높였다. 사례를 통해 음료와 식품 분야의 유리병의 깨짐, 식품 갈변 등 외관 검사와 자동차와 부품의 표면의 미세 스크래치, 찍힘, 크랙, 깨짐 등을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바심은 스마트팩토리 공급기업으로, 자동차와 전자, 반도체, 제약, 식품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축정된 경험을 바탕으로 숙련된 자동화 시스템 전문가를 통한 1:1 맞춤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으며, 고객의 새로운 요구사항에 대한 능동적인 기술 대응을 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콩가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NXP i.MX8 프로세서를 시연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콩가텍은 NXP i.MX 8 프로세서 기술 기반의 SMARC 및 Qseven 플랫폼과 NXP의 최신 i.MX 8M Plus 프로세서를 시연했다. 머신러닝 및 딥러닝 역량을 갖춘 최신형 초저전력 SMARC conga-SMX8-Plus와 Qseven conga-QMX8-Plus 모듈은 산업용 임베디드 시스템이 상황 인지, 외관 검사, 식별, 감시 및 추적뿐만 아니라 제스처 기반 비접촉 기계 조작 및 증강 현실을 위해 주변을 인지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기능을 부여한다. 콩가텍은 NXP의 I.MX8 프로세서가 SMARC 에코시스템 프레젠테이션에서 최고의 에너지 효율을 가지며 Vision시스템과 AI, 그리고 가장 쉬운 WiFi 구현에 관련된 현식적인 솔루션임을 강조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모넷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IoT 무선 센서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모넷코리아가 이번에 선보인 IoT 무선 센서 솔루션은 배터리 형식으로 구현되는 완전 무선 IoT 센서로 간편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다. RF 통신으로 타 기기들에 비해 탁월한 무선 범위를 자랑하며 저전력 및 긴 배터리 수명으로 자주 교환할 필요가 없다. 설정에 따라 배터리 수명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알림으로 받을 수도 있다. 이 솔루션은 관리가 필요한 곳에 센서를 설치하면 센서는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보내고 사용자는 장소, 기기의 구애 없이 모넷서버에 접속해 스마트공장을 관리, 운영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프레스토솔루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데스크탑 로봇, MRC 다축 로봇 제어기, 스카라 로봇 등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 전관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프레스토솔루션이 이번에 선보인 ACS Motion Controller는 Sub-Nano급 고성능 모션컨트롤러로, 반도체, FPD, 전자 어셈블리 및 테스팅, 의료, 디지털 프린팅 및 레이저 프로세싱 시장의 세계적인 제조업체에 최첨단 모션 제어 솔루션을 제공한다. 프레스토솔루션이 이와함께 선보인 DynaTrack은 프레스토솔루션에서 자체 개발한 리니어 무빙마그넷 시스템으로, 최대 32개 캐리어를 한 개의 컨트롤러로 구동 가능한 장점이 있다. 캐리어 개별 속도제어, Velocity/Position Override, Carrier 간 충돌 방지기능 등 무빙마그넷에 최적화 돼 있다. 프레스토솔루션은 ACS 모션 제어기 및 Linear/Rotary Drive, Active Isolator 등 고정밀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아이모션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 참가해 나노텍 모터, HP-Vanguard 모터, 전방 장착 전자브레이크 등을 선보였다. 자동화 모션 솔루션 기업 아이모션테크는 자체 개발품을 비롯해 독일, 스위스, 프랑스 업체의 다양한 모션 드라이버, 컨트롤러, 기어박스, 액추에이터 등을 판매하고 있다. 또한, 의료·측정·위성·군사·포장 등 자동화 시장에 필요한 모든 제품을 경쟁력 있는 가격과 품질로 고객 니즈에 맞게 제작할 뿐 아니라 판매 후 고객 관리 및 교육 등의 서비스에도 주력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스텝모터용 브레이크는 Electromagnetic safety break를 적용하여 일반적으로 전원공급 시 브레이크력이 발생하는 Power-on 방식의 브레이크가 아닌 Power off 방식이다. Power off 방식은 전원인가 시 브레이크가 해방이 되고 전원 미인가 시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브레이크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비상정전 시에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유닛의 낙하방지와 정위치를 구현할 수가 있다. 또한, 스프링에 의한 브레이크력 발생으로 빠른 제동시간 구현이 가능하고 적용된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비즈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하이브리드 비전 소프트웨어인 인트윗을 비롯해서, 멀티스펙트럴, 위저 등 머신비전 소프트웨어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 전관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비즈캠은 양품 이미지들의 자가학습만으로 AI 비전 검사가 가능한 하이브리드 비전 소프트웨어 ‘인트윗(Intuit)’ 을 소개했다. 인트윗(Intuit)은 비즈캠(VizCam)이 보유한 딥러닝과 머신러닝 비전 기술을 기반으로 수년간 안정성과 신뢰성 테스트를 거쳐 출시한 제품이다. 사용자는 검사하고자 하는 제품의 양품 이미지를 수집하여 검사 영역 ROI를 설정해 주고 학습 버튼만 클릭하면 인트윗(Intuit)의 자체 AI 알고리즘이 이미지의 특성을 분석하여 검사를 수행한다. 제조 현장에서의 오퍼레이터가 직접 코딩을 하거나,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해야 하는 부담을 덜어준다. 각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서 블랍 또는 라인 디펙 검사, 단일 검사에서 복합결함검사까지 모두 가능한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