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노트가 강화된 AI 기능을 적용한 ‘Goodnotes AI’를 공개했다. 이번 신기능은 단순 필기 앱을 넘어 지능형 어시스턴트로 발전해 조직과 개인의 생산성과 협업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Goodnotes AI는 문서 종류와 작업 목적에 맞춰 결과물의 생성과 편집을 돕는다. 필기, 타이핑, 스케치, 음성 녹음 등 다양한 입력 방식을 지원하며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구현하고 디테일한 편집을 지원한다. 회의 녹음을 문서화하거나 필기 내용을 차트·도표 등 시각 자료로 전환할 수 있으며 기존 어조를 유지한 채 특정 구간만 수정하는 정밀 편집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명령하면 맞춤형 템플릿을 자동 생성해 빠른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굿노트는 이번 AI 기능을 기반으로 협업 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화이트보드(Whiteboard)'는 무제한으로 확장되는 캔버스를 기반으로 여러 명이 동시에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브레인스토밍할 수 있는 협업 공간을 제공한다. '텍스트 문서(Text Document)'는 이미지와 GIF 등 멀티미디어 삽입을 지원해 회의록, 보고서 작성 등 구조화된 문서 작업의 완성도를 높인다. '공동 작업(Real-time Multi-user Edit
예술경영지원센터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오는 26일 예술-기술 융합 특화 플랫폼 아트코리아랩에서 ‘AI×예술 포럼: AI시대 예술 생태계의 변화와 대응과제’(이하 AI×예술 포럼)를 공동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아트코리아랩이 AI와 예술을 주제로 마련한 두 번째 포럼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예술계에 미치는 영향과 국내외 예술기관의 대응 사례를 공유하고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정책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추진됐다. 행사는 '주제 발표(3건)'와 '패널 및 청중 참여 토론' 순으로 진행된다. 발제에는 문광연 연구진과 아트코리아랩 입주기업 대표가 참여해 연구 결과와 예술 현장의 목소리를 공유하며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예정이다. 변지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은 국내 예술계 전 분야 예술인 937명과 AI를 활용하는 국외 예술기관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박억 식스도파민 대표 겸 예술감독은 AI·VR 기반 창작 사례와 국가 지원사업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최신 AI 활용 동향을 공유한다. 김윤경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시각예술과 공연예술 분야의 AI 예술 생태계 쟁점을 중심으로 정책 과제를 제안한다. 이어지는 토론에서는 예술인, 연구자, 기업가, 청
포스코인터내셔널과 글로벌 인재 육성 위한 ‘스픽 챌린지’ 성료 스픽이지랩스코리아는 포스코인터내셔널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기업용 AI 영어 학습 프로그램 ‘스픽 챌린지’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챌린지는 기업용 AI 영어 학습 솔루션 ‘스픽 포 비즈니스(Speak for Business)’를 활용해 8월 한 달간 운영됐다. 참가자들은 영상 강의를 통해 실용적인 표현을 배우고, AI 튜터와 자유롭게 대화 연습을 하며 매일 정해진 목표를 달성했다. 임직원들은 스픽의 음성인식 정확도와 몰입감 있는 학습 방식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고 회사는 전했다. 스픽은 기업 고객을 위한 ‘스픽 포 비즈니스’를 통해 빠르게 성장 중이다. 모바일 기반 학습 환경과 발화량 중심 학습법으로 금융, 건설, 기술, 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400개 이상의 기업 고객을 확보했으며, 국내 10대 대기업 중 8곳이 복지 프로그램이나 인재 개발 교육 과정으로 채택했다. 파트너사 평균 85%의 직원 참여율을 기록하며 성과를 입증했다. ‘스픽 포 비즈니스’는 직장인의 바쁜 업무 환경을 고려해 분 단위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과 직무·산업별 상황에 최적
제조·물류 자동화 혁신을 선도하는 피지컬 AI 및 비전 전문기업 아이브(AiV, 대표 성민수)가 24일 제조·물류 특화 AI 로보틱스 플랫폼 ‘아이봇(AiVot)’을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아이봇은 AI 비전 인식과 로봇 제어 기술을 통합한 올인원(All-in-one) 플랫폼으로, 기존 시스템에서 분리돼 있던 ‘눈(비전)’과 ‘두뇌(제어)’ 기능을 하나로 묶어 공정의 지연과 오차를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생산라인 무인화와 고도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차세대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아이브는 독자 개발한 강화학습 기반 AI 모델과 Visual Servoing 기술, 광학 모듈을 적용해 카메라가 포착한 시각 정보를 로봇 제어에 즉시 반영할 수 있도록 했다. 이로써 기존 로봇이 수행하기 어려웠던 초정밀 조립 작업까지 가능해졌다. 특히 에피소드 학습 기법을 활용해 학습 과정을 200회 이상 반복해야 했던 기존 대비 약 30회 수준으로 줄이며 학습 시간과 비용을 90% 이상 절감했다. 이를 통해 신규 작업 공정 도입 시에도 빠른 적용이 가능해졌다. 아이봇은 아이브의 MLOps 플랫폼 ‘아이브옵스(AiVOps)’와 연동돼 생산 환경이나 품종 변화에 맞춰 필요한
전 세계적으로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이 차세대 모바일 트렌드를 주도하며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초박형 강화유리(UTG, Ultra-Thin Glass)의 품질 관리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머신비전 전문기업 이스라비전(ISRA VISION, 아트라스콥코 그룹 소속)은 UTG 생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 결함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차세대 검사 솔루션 ‘FPM-SMART’를 선보이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UTG는 두께 30~50μm 수준의 초박형 유리로, 유연성과 내구성, 투명도를 동시에 요구받는 폴더블폰 핵심 부품이다. 그러나 생산 과정에서 미세 균열, 스크래치, 이물질, 눌림, 돌기 등 다양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수백만 번의 힌지 구동에도 손상 없이 성능을 유지해야 하는 폴더블폰 특성상 제품 내구성과 직결된다. 이에 따라 정밀한 검사 솔루션은 필수적 요소로 자리잡았다. 이스라비전의 FPM-SMART는 약 40년간 축적된 머신비전 기술과 머신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결합한 UTG 전용 검사 시스템이다. 고해상도 카메라와 특화된 광학 설계, 3개 조명을 활용한 멀티 채널 구조를 통해 스크래치·이물 같은 2D 결함은
디노도테크놀로지(디노도)가 인공지능(AI) 혁신을 지원하는 ‘디노도 딥쿼리(Denodo DeepQuery)’ 기능을 탑재한 ‘디노도 플랫폼(Denodo Platform) 9.3’을 출시했다. 딥쿼리는 단순 질의응답을 넘어 복잡하고 분석적인 질문에 대한 답변과 추론 과정을 설명하는 딥 리서치 기능이다. 오늘날 AI는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답변하는 챗봇이나 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AI 에이전트 등 운영 환경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분산된 대규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면서 보안·규제 준수와 비용 절감을 동시에 달성해야 한다. 그러나 MIT 조사에 따르면 AI 프로젝트의 95%는 투자 수익을 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급변하는 운영 환경을 뒷받침할 데이터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디노도 플랫폼 9.3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목표로 다양한 기능을 강화했다. 구체화된 뷰(Materialized Views)와 데이터 캐시가 스키마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AI 애플리케이션이 끊임없이 변하는 메타데이터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동적 접근 제어 기능으로는 변화가 잦은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요건에 민첩하게
AI 기반 계약생애주기관리(CLMSaaS) 기업 래티스(대표 강상원)가 운영하는 ‘프릭스(PRIX)’가 2025년 3분기에도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며 업계 주목을 받고 있다. 래티스는 23일 발표를 통해 프릭스의 3분기 ARR(연간 반복 매출)이 전 분기 대비 약 30% 증가했으며 고객사 수도 같은 기간 28%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국내 SaaS 시장 연평균 성장률인 약 15%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특히 최근에는 KB신용정보, 주식회사 숲, 큐로드, 디오디 등 상장사와 중견기업이 신규 고객사로 합류하며 산업 전반으로 도입 사례가 확대되고 있다. 금융·신용정보 기업은 규제 대응과 내부통제 강화를 목적으로 IT·플랫폼 기업은 영업계약과 다자간 계약 관리 효율화를 위해, 제조·유통 기업은 프로젝트 단위 계약과 부속서류 이력 관리 체계화를 위해 프릭스를 선택했다. 이러한 수요 확산은 법무팀 중심의 전사적 도입 문의로 이어지고 있다. 프릭스는 계약 작성 및 검토 단계에서 AI가 계약서를 요약하고 핵심 조항을 자동 추출해 검토 속도와 정확성을 높인다. 체결 과정에서는 본인 인증, 전자 서명, 감사 추적인증서를 지원해 법적 신뢰성을 강화하고 이후 이행·갱신 단계
모빌리티 AI 기업 포티투닷(42dot)이 자사의 핵심 포트폴리오 중 하나인 UMOS(Urban Mobility Operating System) 사업을 독립 플랫폼으로 분리해 미래 모빌리티 성장 동력을 강화한다. 포티투닷은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 소프트웨어 센터로서 SDV(Software Defined Vehicle) 개발을 선도하는 기술 중심 기업 입지를 확고히 하는 한편 UMOS는 사업 중심 축으로 전개해 시장 선점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이번 전략은 포티투닷이 SDV 기반으로 확보한 기술을 UMOS에 빠르게 접목해 상용화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려는 것이다. UMOS의 독립 경영 체계를 통해 영업·마케팅·운영 역량을 강화하고 다양한 파트너사와 협업을 확대해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구상이다. 포티투닷은 이를 통해 UMOS 사업 부문 단독으로 2030년까지 매출 5천억 원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UMOS 사업은 기존 스마트시티 및 모빌리티 통합 솔루션을 포괄하며, 다양한 제품군으로 구성된다. ▲모빌리티 서비스 ‘TAP!(탭)’ ▲차량 관제·운영을 지원하는 FMS(Fleet Management System) ‘Pleos Fleet(플
LG전자가 글로벌 AI 시대를 선도할 소프트웨어 기술 교류의 장을 열었다. 회사는 23일부터 사흘간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LG 소프트웨어 개발자 콘퍼런스 2025(LG SDC 2025)’를 개최하고 3,500여 명의 LG 계열사 개발자와 국내외 기술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기술 동향과 전략을 공유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은 LG SDC는 ‘혁신, 통합, 발전(Innovate, Integrate, Elevate)’을 주제로 개막했으며,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사이버보안 분야의 글로벌 최신 기술 적용 사례와 개발 노하우가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LG AI연구원을 비롯해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구글클라우드(Google Cloud), IBM퀀텀(IBM Quantum) 등 세계 유수의 테크 기업들이 기조연설자로 참여해 풍부한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특히 IBM퀀텀 유리 코바야시 아시아태평양총괄은 양자컴퓨팅 기술의 발전 과제와 성장 잠재력을 제시해 큰 주목을 받았다. 행사장에는 글로벌 파트너사들이 마련한 데모 부스도 운영됐다. 참가자들은 현장 엔지니어들의 기술 지원을 통해 최신 개발 도구와 환경을 직접
AI 제품 분석 플랫폼 ‘얼라인(Align)’을 운영하는 콕스웨이브(대표 김주원)가 차세대 AI 튜터 에이전트 플랫폼 ‘에듀탭(edutap.ai)’을 정식 출시했다. 콕스웨이브는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에서 에듀탭을 처음 공개, 현장을 찾은 교육 업계 관계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모았다. 에듀탭은 온라인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질적 학습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개발된 SaaS 기반 AI 튜터 에이전트 플랫폼이다. 콕스웨이브가 패스트캠퍼스, 해커스 등 국내 대표 교육 기업과의 AX 컨설팅에서 쌓아온 경험과 노하우를 집약해 선보이는 첫 AI-Native SaaS 솔루션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핵심 기능은 실시간 1:1 밀착형 학습 지원이다. AI 튜터는 소크라테스식 학습법을 적용해 학습자에게 질문을 던지고, 심화 학습과 점검 과정을 반복하며 개인 맞춤형 학습 여정을 제공한다. 복습 퀴즈 기능을 통해 학습자의 이해 수준을 실시간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학습 루프를 제공하는 것도 차별화된 강점이다. 또 △강의 데이터 기반 AI 학습 콘텐츠 자동 생성 △학습 현황 및 성장 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통합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피지컬AI센터 박경준 교수 연구팀이 사회적 이슈 확산과 망각 현상을 모사해 다중 로봇의 자율주행 효율을 높이는 새로운 ‘피지컬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물류센터, 대형 창고, 스마트팩토리 등에서 자율주행 로봇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핵심 기술로 기대된다. 자율주행로봇(AMR)은 물류와 제조 현장에서 자동화의 중심 역할을 하지만, 실제 환경에서는 지게차, 작업 리프트, 갑작스러운 화물 적재 등 예기치 못한 장애물이 빈번히 발생해 원활한 주행을 방해한다. 지금까지의 로봇은 눈앞 상황에 즉각 반응하며 경로를 수정해 불필요한 우회와 지연이 발생했고, 이는 생산성 저하로 이어졌다. 박경준 교수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 사회에서 나타나는 정보 확산과 망각 원리에 주목했다. 사건이나 이슈가 빠르게 퍼졌다가 서서히 잊히는 현상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해 로봇 집단 지능 알고리즘에 적용했다. 그 결과 로봇들은 중요하지 않은 정보는 자연스럽게 망각하고, 핵심 정보만 신속히 공유하면서 효율적인 협력 주행이 가능해졌다. 물류센터 환경을 모사한 ‘가제보 시뮬레이터’ 실험 결과, 이번 기술은 기존 ROS 2 네비게이션 대비 작업 처
한-UAE 경제협력위원회 발족식 (출처 : 포티투마루) 포티투마루는 22일부터 25일까지 아부다비·두바이·샤르자에서 열리는 ‘한-UAE 경제협력위원회(UAE-KOREA JOINT BUSINESS COUNCIL)’ 사절단에 참여해 공공AX 국제 협력 무대를 넓힌다고 밝혔다. 한-UAE 경제협력위원회는 2023년 한국 대통령의 국빈방문을 계기로 발족이 합의됐으며, 2024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체결을 통해 양국 교역·투자 확대를 위한 민관 협력 창구로 출범한다. 이번 발족식은 한국무역협회와 UAE연방상공회의소가 공동 주관하며, 한국 측에서는 디지털·차세대 산업, 첨단기계·모빌리티, 에너지·인프라 분야 25여 개 기업이, UAE 측에서는 경제관광부, 산업첨단기술부, 투자부, 아부다비투자진흥청, 두바이복합상품센터, 무바달라 국부펀드 등이 참여한다. 포티투마루는 디지털 및 차세대 산업 분야 대표 위원으로 김동환 대표와 박주식 해외사업 총괄이사가 참석했다. 회사는 현재 UAE 샤르자 디지털청과 ‘공공 웹사이트 AI 어시스턴트’ 협력을 진행 중이며, 이를 기반으로 장기적 협력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사우디 네옴 더 라인 프로젝트 경험을 토대로 중동 전역에서 행
디지털 리얼티(Digital Realty)와 옥스퍼드 퀀텀 서킷(OQC)은 엔비디아(NVIDIA)와 협력해 뉴욕 최초의 양자-AI 데이터센터를 공식 개소했다고 밝혔다. 해당 시설은 디지털 리얼티의 뉴욕 JFK10 데이터센터 내에 구축됐으며, 엔비디아 GH200 그레이스 호퍼 슈퍼칩을 기반으로 한다. 이번 협력으로 디지털 리얼티와 OQC는 초전도 양자컴퓨터와 AI 슈퍼컴퓨팅 기술을 한 공간에서 통합했다. OQC의 양자컴퓨팅과 엔비디아의 가속 하드웨어, 그리고 디지털 리얼티의 글로벌 인프라를 결합해 기업 고객들이 양자와 AI의 역량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OQC는 상용 데이터센터에 양자컴퓨터를 실제 배치한 유일한 기업으로, 이미 런던과 도쿄에서 시스템을 운영 중이며 이번에 뉴욕까지 확장했다. OQC의 특허 기술인 듀얼레일 다이몬 큐비트(Dimon qubit)는 오류 억제 성능이 뛰어나 하드웨어 부담을 줄이고 양자컴퓨팅 실용화를 앞당긴다. 이번 시스템은 OQC의 ‘GENESIS’ 양자컴퓨터를 디지털 리얼티 JFK10 사이트에 설치한 것으로, 엔비디아 슈퍼칩과 통합돼 하이브리드 워크로드와 대규모 기업 도입을 위한 기반이 된다. 이를 통해 ▲빠른 모델
F5가 기업용 AI 보안 전문기업 칼립소AI(CalypsoAI)를 인수하며 애플리케이션·API·AI 보안 역량 강화를 본격화한다. F5는 23일 아일랜드 더블린에 본사를 둔 비상장사 칼립소AI 발행주식 전량을 1억 8000만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거래는 현금으로 진행되며 2025 회계연도 4분기 내 마무리될 예정이다. 칼립소AI는 기업이 생성형·에이전틱 AI를 안전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을 제공해왔다. 실시간 위협 방어, 대규모 레드팀 테스트, 데이터 보안 기능을 통해 프롬프트 인젝션, 탈옥(jailbreak) 등 최신 AI 위협을 차단하고 매월 1만 건 이상의 새로운 공격 시나리오에 대해 위험 점수를 산출한다. 또한 런타임 환경에서 민감 데이터 유출과 정책 위반을 탐지·차단하며 중앙화된 가시성과 거버넌스를 통해 GDPR과 EU AI Act 등 규제 준수를 지원한다. 프랑수아 로코-도누 F5 사장 겸 CEO는 “AI는 기업 아키텍처를 재편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이 대응해야 하는 공격 표면도 확장되고 있다”며 “기존 방화벽이나 단편적 솔루션만으로는 대응하기 어렵다. F5는 칼립소AI 인수를 통해 기업들이 혁신 속도를 높이고 앱·API
아트코리아랩이 대만 당대문화실험장(C-LAB)과 공동으로 개최한 ‘2025 AKL × C-LAB 예술-기술 워크숍’이 지난 19일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행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산하 아트코리아랩이 주관해 9월 15일부터 19일까지 5일간 서울 종로구 아트코리아랩에서 진행됐다. 이번 프로그램은 2023년 10월 체결된 (재)예술경영지원센터와 대만 C-LAB 간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마련됐다. 대만 C-LAB은 반구형 돔 구조의 공연·전시장과 AI 기반 기술을 활용한 창·제작 역량을 보유한 아시아 대표 기관으로연구와 창작, 국제 교류를 아우르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아트코리아랩은 지난해 대만 C-LAB에서 열린 ‘퓨처 비전 파티(Future Vision Party)’에 국내 예술가 2팀을 파견해 양국 간 유통 교류 기반을 마련한 바 있으며 올해는 AI 기반 돔 프로젝션을 주제로 한 워크숍을 통해 국내 창·제작자 역량 강화에 나섰다. 워크숍에는 C-LAB 퓨처 비전 랩(Future Vision Lab) 디렉터 겸 기술 미디어 플랫폼 R&D 책임자인 워릭 차이(Warrick Tsai), 타이베이 국립예술대학 조교수 왕 리엔천(W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