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쉐니에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CPS 디지털 트윈 기술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CPS 디지털 트윈 기술은 제조업의 스마트제조 표준 사양인 AAS를 이용하여 디지털 트윈을 구현한다. PLC, 센서에서 취출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공장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거동이 사이버공간에도 구현된다. 사무실에서 장비의 상태를 현장에 가있는 것처럼 볼 수 있고, 현장에서 미팅해야하는 일을 사무실에서도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여러곳에 흩어져 있는 공장과 장비, 여러 업체별로 제작하여 표준화가 되어있지 않는 설비들도 한 공간에서 통제가 가능하고 관리 가능하다. 리쉐니에는 제조 현장에 분산되어 있는 설비 데이터를 통합하여, AI기반으로 공정 원격 모니터링, 이상징후 조기 감지, 수명예측진단하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 및 Smart Manufactu
엑스알리더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XR Pano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XR Pano는 드론을 활용한 항공 파노라마 사진, 항공 3D 모델링, 열화상 점검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화질 영상 드론 촬영, 열화상드론 촬영 & 분석보고서를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태양광 모듈, 송전탑 열화상 점검, 건물단열점검, 산악구조, 화재 소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수 있으며, 3D 포인트 클라우드를 취득해 측량, 맵핑, BIM 제작 등이 가능하다. 엑스알리더는 우리가 사는 실제 오프라인 공간을 온라인 공간으로 디지털 전환(DX)하고 XR, AR Navigation, IoT, AI, Robot, Drone 기술을 접목하여 기업의 디지털 공간정보, 디지털 온라인홍보, BIM 건축설계, FMS시설관리, 소방안전관리 등 다양한
국성인터내셔널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MST 슬림라인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MST 슬림라인은 일본의 고정밀 툴링 시스템으로, 저온 열박음 기술을 통해 강력한 파지력과 높은 정밀도를 자랑한다. 초슬림 디자인으로 깊은 가공 영역에서도 간섭 없이 안정적인 가공이 가능하며, 고속 회전과 쿨런트 스루 기능으로 다양한 가공 조건에 최적화되었다. 금형 및 부품 가공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MST 슬림라인은 고객의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국성인터내셔널은 1991년에 “국성통상”으로 설립한 이후 2015년 4월에 상호를 국성인터내셔널로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 절삭 공구 관련 제품 및 측정 시스템 등을 수입, 유통, 납품 및 판매하는 종합 상사로 발전하여 금형, 자동차, 항공, 반도체, 방산 산업 분야의 업체에 그 동안의 축적된 경험
트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ESTQ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ESTQ는 바코드 방식 절대위치 리니어 센서 SSI 출력을 Q uadrature 신호 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이다. 동시에 신호 검증을 위하여 부가 기능으로 Mitsubishi PLC 와 Ethernet 으로 연결, Mitsubishi PLC 용 MC Protocol 3E 를 통하여 별도의 프로그램 추가 없이 직접 PLC로 센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트론은 Renishaw사 초정밀 리니어 엔코더와 iC-Haus사 등 엔코더에 관련 IC에 대하여 제품을 수입 판매하고 있다. 로봇 및 자동화 산업과 관련하여 다양한 응용분야 경험을 기반으로 엔코더 전용 IC에 대한 제품 선정, 기술 지원 및 교육을 시행한다. 인덕티브 방식 엔코더 부품 메이커인 POSIC, Cambri
지오멕스소프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X-PEBOT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X-PEBOT은 3D MAP 기반의 관제 시스템으로 CCTV, 출입 통제, 출입 관리, 각종 IoT 센서 등 건물에서 필요한 다양한 물리적 보안 솔루션을 통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3D Map 기반으로 가상 산업 현장 구축이 가능하며, IoT 장비 및 시설물 확장에 대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지오멕스소프트는 2009년 법인 설립 이래 GIS 엔진 소프트웨어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분야에서 융복합 BIZ를 수행해오고 있다. 또한 최근 첨단 산업분야의 핵심이슈인 인공지능, 증강현실, 디지털 트윈과 같이 스마트시티의 다양한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강원스타기업, 유망중소기업과 우수연구개발혁신제품, 대한민국 SW 품질 우수대상, 국가
이노디스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DDR5 WT ECC SODIMM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DDR5 WT(광범위 온도) ECC SODIMM은 4,800MT/s, 5,600MT/s로 업계에서 가장 빠른 메모리 속도를 제공하여 차량 내, 감시, 자동화 및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에 완벽하게 적합하다. 모듈에는 30μ" 골드 핑거가 장착되어 있으며, 또 다른 중요한 구조적 변화는 듀얼 채널 DIMM 아키텍처입니다. DDR5의 경우 각 DIMM에는 두 개의 36비트 채널(32개의 데이터 비트와 4개의 ECC 데이터 비트를 사용)이 있습니다. 두 개의 독립적인 하위 채널은 메모리 액세스 효율성을 향상시켜 더 높은 효율로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한다. 이노디스크는 산업용 메모리 및 스토리지를 기반으로 성장해온 기업이다. 다양한 수직 시장에서 쌓은
동도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인라인 형상 측정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HM 시리즈 인라인 형상 측정기는 고속 생산 라인에서 제품의 외형과 치수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사하는 최적의 솔루션이다. 텔레센트릭 광학 시스템을 채택해 작업물의 위치나 초점 변화에 의한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며, μs 단위의 초고속 노출로 빠른 측정을 실현한다. 다양한 형상과 치수, 외경, 높이, 폭, R값 등을 단번에 측정할 수 있으며, 결함 검출 기능까지 통합해 생산 품질 관리에 탁월하다. 또한, 넓은 심도와 비왜곡 설계로 시야 내 어디에서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고, 이동 중인 공작물도 안정적으로 검사한다. 다양한 툴과 직관적인 설정으로 여러 산업 현장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강력한 자동화 측정 장비이다. 동도테크는 자동차, IT, 반도체, 가전기기
토마스케이블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WOWFLEX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클린룸 무분진 무빙 시스템 WOWFLEX는 10만 사이클 이상의 수명을 가지며 40 / 70mm 두 종류의 Bending radius 선택이 가능하다. Standard components은 1~6POD까지, Inner width는 20.5mm, Cable specification은 Extra Fine Wire/FEP/Spiral Shield FR-PVC다. Temperature range는 15~80 ℃까지며 Certification은 CE, IPA Air Cleanliness Class 1이다. Self supportion Max은 ST 3000mm로, 1단부터 5단까지 다양한 Clamp 높이 적용이 가능하고 Standard Type, Sky-Fixed
이노팩토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ASTRA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ASTRA는 기업의 주요 컨텐츠를 표준 분류체계와 보안 적용을 통해 통합관리하고 업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전사차원의 조직과 프로젝트 업무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업무혁신과 비용의 효율화라는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한 기업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다. Multi-Sites를 통해 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인 Site를 다수 생성하여 협력사와 협업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Type 관리자를 활용하여 문서, 도면 등 기본 객체를 제공하고 업무에 필요한 사용자 정의 객체 유형 추가 및 객체 간 링크 정의 가능 기능을 구현한다. 또한 Atrribute 레이아웃 설정을 통해 화면에 표시될 속성 레이아웃 설정, 레이아웃 별 속성 표시 여부, 정렬 순서 지정, 최적화된
VMS솔루션스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부스를 마련해 제조 운영 최적화 APS 솔루션인 ‘MOZART’의 최신 기능을 소개했다. AW 2025는 지난 1990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35회차를 맞이한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FA) 축제로, 사흘간 다양한 시각에서의 자동화·자율제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는 전 세계 400개사가 2200개 부스를 꾸려 약 8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았다. 전시장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등 세 가지 주요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로봇 등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주목하는 신기술이 한자리에 펼쳐졌다. 이번에 VMS솔루션스가 선보인 MOZART는 개발 및 운영을 위한 통합 솔루션으로 실제 제조 설비 환경을 반영한 가상 모델을 활용, 기존 대비 훨씬 효과적인 생산 계획 및 스케줄링 시스템을 구현하는
지난 14일,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는 ‘스마트물류’를 주제로 AI 자율제조혁신 포럼 3일차 컨퍼런스가 진행됐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글로벌 스마트물류의 대표주자인 오토스토어를 비롯해 스타트업에서부터 글로벌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연사로 참여해 스마트물류, 물류자동화와 관련한 각각의 전략을 발표해 주목받았다. 오토스토어, 공간 효율성·확장성 모두 잡은 혁신 기술 소개 오토스토어 코리아는 이번 세미나에서 자사의 자동 창고 솔루션이 기존 물류창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임을 강조했다. 이날 발표에 나선 이성현 오토스토어 사업개발부서장은 "오토스토어의 강점은 기존 창고 대비 3~4배 높은 공간 효율성과 확장성"이라며 "이는 제조업과 물류업계에서 필수적인 요소"라고 밝혔다. 오토스토어의 큐브형 스토리지는 기존 창고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복도 및 선반 사이의 빈 공간을 최소화해 동일한 물량을 더 적은 공간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부동산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창고 확장 없이도 처리 용량을 최대 4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실제로 전라남도 광주에 위치한 한 고객사는 기존 3개의 창고를 오토스토어 시스템으로 통합해 운영 효율을 극
지난 13일,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는 ‘디지털 퀄리티’를 주제로 AI 자율제조혁신 포럼 2일차 컨퍼런스가 진행됐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특히 바슬러와 코그넥스가 최신 머신비전 기술과 AI를 접목한 다양한 전략을 발표해 주목받았다. 바슬러는 머신비전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의 전환 과정과 FPGA 기반 전처리 기술을 소개했으며, 코그넥스는 팩토리 오토메이션을 위한 AI 기반 머신비전 기술의 발전과 AI 적용 사례를 각각 설명했다. 바슬러, 머신비전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진화 바슬러의 비욘 루데(Bjorn Rudde) 비전 시스템 컨설턴트는 이번 발표에서 바슬러가 기존 컴포넌트 공급에서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전환하고 있으며, 오토메이션, 반도체, 디스플레이, 의료, 바이오 로보틱스 등 다양한 산업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바슬러는 1997년부터 머신비전 컴포넌트 사업을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와 통합 솔루션을 함께 제공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전환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기업을 인수하며 솔루션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렌즈, 카메라, 조명, 프레임 그래버 및 소프트웨어까지 포함된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특히 비욘 루데 컨설턴트는
에이딘로보틱스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 전시부스에서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에 활용되는 다양한 정밀 센서 라인업을 강조했다. AW 2025는 지난 1990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35회차를 맞이한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FA) 축제로, 사흘간 다양한 시각에서의 자동화·자율제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는 전 세계 400개사가 2200개 부스를 꾸려 약 8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았다. 전시장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등 세 가지 주요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로봇 등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주목하는 신기술이 한자리에 펼쳐졌다. 에이딘로보틱스는 필드 센싱(Field Sensing) 기술 기반 힘·토크 센서 기술을 내세운다. 로봇 민감도·운동성 강화를 위한 센서 기술을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 구현 기술 업체로 주목
테크맨로봇이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부스를 마련해 로보틱스 융합 솔루션을 선보였다. AW 2025는 지난 1990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35회차를 맞이한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FA) 축제로, 사흘간 다양한 시각에서의 자동화·자율제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는 전 세계 400개사가 2200개 부스를 꾸려 약 8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았다. 전시장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등 세 가지 주요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로봇 등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주목하는 신기술이 한자리에 펼쳐졌다. 테크맨로봇은 협동로봇과 비전 기술을 필두로, 다양한 산업에 자동화 요소를 이식하고 있다. 특히 협동로봇·비전 융합 솔루션을 통해 검사·측정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전시장에는 협동로봇 라인업을 비롯해, 새로운 비전 검사 솔루션 ‘플라잉 트
로보티즈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각종 로보틱스 원천기술을 강조했다. AW 2025는 지난 1990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35회차를 맞이한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FA) 축제로, 사흘간 다양한 시각에서의 자동화·자율제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는 전 세계 400개사가 2200개 부스를 꾸려 약 8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았다. 전시장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등 세 가지 주요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로봇 등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주목하는 신기술이 한자리에 펼쳐졌다. 로보티즈는 로봇 액추에이터·감속기 등 구동장치, 협동로봇 등 로봇 기체, ROS(Robot Operating System) 기반 자율주행 기술까지 다양한 로보틱스 역량을 보유한 기술 업체다. 액추에이터 ‘다이나믹셀(DYNAMIXEL)’, 사이클로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