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아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협동로봇 팔레타이징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협동로봇 팔레타이징 솔루션은 사전 설계된 표준 솔루션을 통해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업무범위 증가와 불필요한 작업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스탠다드 제품은 자체 제작되어 2주 리드 타임으로 배송된다. 모든 부품을 빠른 시일 내에 배송받고, 자동화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누구보다 빠르게 자동화를 경험할 수 있다. 간편한 시뮬레이션과 3단계 어플리케이션 설정으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로아스는 산업용 로봇 솔루션 및 ROS기반 연구개발용 로봇 솔루션, 서비스 로봇 솔루션을 산업 전반에 제공하는 로봇 전문 기업이다. 3D Vision과 AGV/AMR 기반의 산업용 로봇 솔루션을 Smart Factory 및 물류자동화 분야 등에 제공하고 있으며,
메크마인드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Mech-Eye 산업용 3D 카메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Mech-Eye 산업용 3D 카메라는 디테일하고 정확한 3D 포인트 클라우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환경광 간섭에도 뛰어난 인식이 가능하다. 알루미늄 합금 하우징으로 높은 내구성을 갖추었다. 또한, 캡처 속도가 빠르며 IP65/IP67 보호 및 CE, FCC, VCCI, KC, ISED, NRTL, RoHS 인증을 받았다. 메크마인드는 산업용 3D 카메라 및 로봇 응용 프로그램용 AI 소프트웨어 제품군을 제공하는 업계 선도적인 기업이다. 3D 비전과 AI 기술을 결합하여 빈 피킹, 디팔레타이징 및 팔레타이징, 픽 앤 플레이스 등 로봇 산업계의 애로사항을 해결해 나가고 자동화를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림으로써 파트너와 SI 업체들에게 힘을 실
엘로이랩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초분광 이물검출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초분광 이물 검출기는 표준화된 식품 품질 검사기로 원물 상태에 따라 불량 리젝트 방식(분할/에어)을 선택할 수 있다. 검사 대상 내 이물을 검출하며 위치를 표시하고, 정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비정상을 검출한다. 또한, 검출 정보를 기반으로 로봇과 연동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엘로이랩은 AI딥러닝 SW와 초분광기술 HW를 결합하여 품질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는 영역을 검출하며, AI딥러닝 시스템을 접목하여 자동화 공정에 이상적 시스템을 서비스한다. 자동 로봇 불량 추출과 품질 검사 자동화를 통해 효율적인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있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mart
와이즈컨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휴대용 데이터 측정 장비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휴대용 데이터 측정 장비는 압력, 온도, 습도 등의 각종 센서를 측정하고, 하드웨어(밸브,펌프,히터)를 제어한다. 다양한 센서 신호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고성능 포터블 측정 시스템이며, 높은 휴대성과 현장 적용성을 극대화한 디자인이다. 또한, 고객 요구에 따라 모델을 유연하게 변경 및 최적화할 수 있는 고객 맞춤형 계측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와이즈컨은 2017년에 설립하여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 개발 및 실내 공기질 중앙 관제 시스템, 상태 진단 및 안전 관리 시스템을 개발 공급하고 있다. LabVIEW, Python, App 개발 등을 통하여 고객 맞춤형 솔루션 제공 및 안드로이드 기반 App 개발,
케이에스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싱크플랜 APS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싱크플랜 APS는 스마트팩토리 고도화를 위한 생산계획 및 스케줄링 솔루션이다. 기업이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통해 얻으려는 생산계획 최적화, 적정 재고 관리, 정확한 수요 예측, 일상 반복 업무 간소화를 지원한다. 또한, 적은 인력으로 원활히 운영이 가능한 생산계획 체계, 엑셀 관리 단점을 보완한 직관적인 UI, 향후 시스템 통합을 위한 개방형 아키텍쳐를 제공한다. 케이에스텍은 1998년부터 쌓아온 수리적 최적화 및 인공지능 프로젝트 경험, 생산계획 및 스케줄링 시스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의 성장을 돕고 있다. 2019년 4월에는 정부의 뿌리산업을 위한 스마트공장 수직형 통합 패키지 개발사업의 APS 사업을 수주했다. 최근
씨엔티솔루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CNT composite separator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CNT composite separator는 CNT를 비롯한 탄소소재 기반의 복합 소재를 이용하여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킨 수소연료전지/레독스 이차전지의 핵심 부품이다. 셀 간의 연료와 공기의 분리, 반응 가스와 냉각수의 분배 등의 역할을 하며, 높은 전기 전도성, 지지체 역할의 구조적 강도 등의 성능이 요구된다. 씨엔티솔루션은 창조의 물질인 CNT를 폴리머 등과 합성하여 CNT의 전기적, 기계적, 열적, 화학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지닌 산업전반에서 꼭 필요한 기능성 고분자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회사이다. CNT건식분산기술을 바탕으로 고도화된 기능성소재 개발로 복합첨단소재의 산업융합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한편, AW 202
인공지능팩토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베어트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베어트는 사용자가 선별하여 등록한 문서를 기반으로만 정보를 탐색해 답변을 출력하며, 사용자 요청을 기반으로 적절한 툴을 선택해 실행 적용하는 챗봇으로 코딩이 아닌 일상의 언어로도 특정 테스크를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보고용 자료를 생성하는 챗봇으로, 사용자가 등록한 문서를 바탕으로 리포트를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공지능팩토리는 AI모델을 공장처럼 만들고 배포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미래를 꿈꾸는 ‘AI 모델 서빙 플랫폼’이다. 커뮤니티 유저들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생태계를 활성화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데이터 컨설팅,인공지능,스마트시티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고도
에이지광학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가 시선을 도로에서 떼지 않고도 중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의 앞유리나 다른 투명한 표면에 정보를 투사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글라스 비구면 렌즈는 고성능 광학 시스템에 사용 된다. 에이지광학은 다양한 종류의 비구면 렌즈를 생산 하고 있다. 에이지광학은 렌즈 카메라 모듈을 전문으로 제작하는 기업이며, 렌즈를 직접 제조하여 고객의 요구에 맞게 사양을 조절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고객이 원할 시 카메라모듈을 엔비디아 보드와 함께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편리함을 더한다. 또한, 고객의 요구에 맞춰 제품을 디자인하고 제안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한편, AW 202
포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키우다(KIUDA)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키우다(KIUDA)는 영상분석기술과 IoT&Cloud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농업전문 솔루션이다. 영상과 다양한 센서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배환경 및 생육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DB화하여 분석 할 수 있다. 키우다 솔루션은 키우다 플랫폼, 키우다 매니저, 키우다 IoT, 키우다 센서, 키우다 챔버로 구성되어 있다. 포도는 영상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애그테크와 공간정보 분야의 인프라 및 스마트 플랫폼을 구축하는 회사이다. 급변하는 산업생태계 속에서 다양한 분야에 IT기술을 접목하여 신산업의 창출과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포도는 영상분석 기술을 디지털 농생명 분야에 적용하여 KIUDA Platform, KIUDA Manager, KIUDA Cha
티모션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전동개폐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전동개폐시스템 배연창은 화재시 창문을 자동으로 강제 개방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를 배출해 줌으로써 질식사고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화재시 1회성으로 고가의 시스템비용을 지불하는 컨셉에서 최근에는 배연창의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평상시 전동 환기창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동환기창은 실내온도, 습도 조절시 실내 공기를 외부로, 외부 공기를 실내로 환기시키기 위해 창문을 전기적 구동 신호에 의하여 전동 개폐 되는 것을 말하며, 최근에는 자연환기 시스템구조로 건축물 설계가 되고 있습니다. 티모션코리아는 전동실린더 ,리프팅컬럼 부품 분야의 글로벌 기업 대만 티모션의 한국 총판으로 2010년 수입판매를 시작으로 설립된 회사이다.
베커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VARIAIR Central System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VARIAIR Central System (VACS) 은 하나 이상의 생산 시스템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간단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흡입된 공기 및 토출된 공기 공급 방법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소규모 사업장이든 대기업의 특정 생산 단계에서든 관계없이, 에너지 절약형 VARIAIR Central System 은 수요에 맞는 흡입 및 토출 공기를 공급한다. 베커코리아는 2002년 독일 Gebr. Becker GmbH 사의 100% 투자법인 자회사로 설립되어 대한민국 각 산업분야에 진공펌프, 컴프레서, 진공시스템 등을 공급하며 공압 기술 분야의 리더로서 활약 중이다. 베커 진공펌프는 135년 이상의 전통을 가진 본사에 걸맞게 한
아리아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Radix-MOM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Radix-MOM 은 MES 활용 제조 어플리케이션에 속하는 기술로 도입기업에 꼭 필요한 기능중심으로 ERP 주요기능과 MES 필수기능을 조합하여 만든 솔루션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구축형으로 제공된다. Radix-MOM은 중소기업 맞춤형 제조운영관리시스템으로 회사 성장에 맞추어 업그레이드 로드맵을 제공한다. 아리아텍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사고를 가진 팀이 모여, 최고의 IT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이다. 통신사업부문, 신사업부문, 경영지원부문 3개 부문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각 부문별로 연구개발 영업기획 기술지원 등 사업부문별 전문 인력이 분포되어 있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
반석정밀공업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메탈 코팅 니들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메탈 코팅 니들은 니들을 일일이 세척해야 되는 불편과 니들의 오염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니들에 특수 코팅을 하여 니들 위로 액이 올라타는 현상을 제거했다. 저점도 미세도포의 경우에도 기존의 일반 니들로 토출이 불가능했던 공정도 메탈 코팅 니들을 적용하면 가능하다. 반석정밀공업은 20년 이상 축적된 기술과 KNOW-HOW를 바탕으로 생산 현장에서 차별화된 전용 생산 System을 적용하고 있으며, 특히 정량 토출 System 생산 기술이 어렵고 생산장비 자체가 KNOW-HOW인 토출 방법을 개발, 공급하고 있다. 액체 제어기술 또한 다양한 Application의 개발과 전문화된 전용 기술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현재 국내에 3,300개의 업
에스비비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ROBO DRIVE-H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ROBO DRIVE-H는 링형상의 부품으로 링의 안쪽부위에 플렉스플라인과 동일한 이가 가공되어져 있지만 잇수가 더 많이 가공되어져 감속비를 결정하며 일반적으로 하우징과 연결되는 서큘러스플라인, 컵형상의 금속 탄성체로서 상단부는 이로 가공 되어져 있으며 하단부는 출력축과 연결되는 플렉스플라인, 타원 형상으로 외주의 얇은 볼베어링이 끼어져있어 탄성 변형을 하게 하고 일반적으로 입력축에 조립되는 웨이브 제너레이터로 구성된다. 에스비비테크는 초정밀 감속기 “ROBO DRIVE” 를 국내 최초 개발 및 양산에 성공했다. 자체 설계기술을 개발하여 그동안 전량 수입 하던 감속기를 경쟁력 있는 품질과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다. 또한 진공, 고온, 부식 등 특수 환
슝크인텍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EZU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EZU는 SCHUNK의 신제품으로, 센트릭 그리퍼로 3조 핑거로 공작물 핸들링이 가능한 전기 그리퍼이다. 파지모드(Basic Grip 및 Strong Grip) 기능이 있으며, 손실 감지 기능으로 공작물의 손실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슝크의 시그니처 제품인 PGN-plus-P는 톱니형 가이드 사용으로 인해 영구적으로 윤활되고 파지력이 강하고 최대 모멘트가 높은 범용 2조 평행 그리퍼로, EZU와 함께 전시되었다. 슝크인텍코리아는 독일 SCHUNK SE & Co. KG 사의 한국법인으로 2003년 11월에 설립되어 올 해로 설립 21년째를 맞이한 자동화 /클램핑 제품을 생산 및 납품하는 업체다. 자동화 부품 및 로봇 산업내 그리퍼 및 클램핑제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