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 전 사업부문 흑자…HD한국조선해양은 5분기 연속 흑자 달성 HD현대는 공시를 통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7조 5549억 원, 8799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12.4%, 영업이익은 86.2% 각각 증가한 것으로 양호한 실적 흐름을 이어갔다. HD현대 측은 이러한 결과가 조선 부문 실적 개선과 전력기기 및 선박 AM·디지털 솔루션 사업의 호조세 유지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HD현대는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34조 693억 원, 영업이익 1조 6735억 원을 기록했다. 2분기 실적을 주요 사업별로 살펴보면, 조선·해양 부문의 HD한국조선해양은 친환경 이중연료 선박 등 고부가가치 선박의 매출이 실적에 본격 반영되면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3% 증가한 6조 615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선별 수주에 따른 수익성 개선과 생산 안정화를 통한 비용 절감 노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8.7% 증가한 3764억 원을 기록, 5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HD한국조선해양의 자회사인 HD현대중공업은 전년 동기 대비 26.7% 늘어난 3조 8840억 원, HD현대삼호는 16.9% 증가
1000kg까지 적재가능한 고중량 신규 모델…고중량 자재, 완제품 운송 작업 자동화 자율주행 물류로봇 및 토탈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전문기업 유진로봇(대표이사 박성주)이 자사 대표 자율주행 모바일 로봇 고카트(GoCart)의 신규 스탠다드 모델로 ‘고카트 1000’을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고카트는 유진로봇의 독자적인 기술력이 담긴 자율주행 물류로봇이다. 유진로봇은 다양한 환경에서의 자율주행 AMR 필요성에 따라 기존 라인업 180, 250, 500에서 한층 업그레이드된 고중량 신규 모델 ‘고카트 1000’을 출시했다. ‘고카트 1000’은 최대 1000kg을 적재할 수 있어 고중량 이송이 요구되는 공장이나 물 현장 등 다양한 환경에서 최적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고중량 자재 또는 완제품을 생산라인에서 물류창고까지 운송하는 작업을 자동화해 업무 효율을 높이고 생산성을 극대화한다. 또 팔레트 리프팅 모듈을 장착할 수 있어 지게차 의존도를 낮추고 안전상 이점을 제공하며, 유로 팔레트(유럽 표준 팔레트) 사이즈의 적재 규격으로 디자인됐다. 특히, 유진로봇에서 자체 제작한 로봇전용3D 라이다로 공간의 정확한 고밀도 3D 모델을 생성해 물체 감지와 매핑
자연어 음성인식 서비스 로봇·초차원컴퓨팅 기반 AI 등 혁신적 기술력 보유 AI·로봇 전문업체 코가로보틱스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인증하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제도 이노비즈 (Inno-Biz)에서 AA등급을 획득했다. 이노비즈 인증은 기술혁신시스템과 개별기술수준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혁신적 기술력과 사업화 능력을 보유한 중소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뒷받침하는 제도이다. 코가로보틱스는 이번 이노비즈 인증 신청에서 기술혁신, 기술사업화, 기술혁신경영, 기술혁신성과 등 4개 기술혁신시스템에 대한 평가와 기술보증기금 현장평가를 거쳐 최종 평가 AA등급을 획득했다. 이는 코가로보틱스가 보유하고 있는 AI·로봇 기술의 혁신성과 상용화 가능성을 높게 평가받은 결과다. 코가로보틱스는 자체 개발한 로봇 OS와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한 서빙로봇과 서비스 로봇을 개발·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유명 F&B 대기업은 물론 호텔, 병원 등 다양한 납품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국가보훈부 산하 요양병원 10곳을 대상으로 간병 서비스 지원 로봇 납품을 확정하기도 했다. 또 단순 이송 로봇 서비스 외에 생성형 AI 기술과 자연어 음성
정식 서비스 1년 만에 고객사 3천 개, 가입 차주 4만 명 돌파 CJ대한통운의 AI(인공지능)기반 운송 플랫폼 ‘더 운반(the unban)’이 화주와 차주를 직접 잇는 투명한 운송료 체계, 첨단기술을 통한 편의성 제고를 발판삼아 미들마일 운송시장의 강자로 거듭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화물운송중개플랫폼 ‘더 운반’ 서비스를 정식 오픈한 지 1년 만에 고객사 수가 약 20배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지난해 7월 오픈 당시 150여 곳의 고객사 수는 현재 약 3천 개로 늘었고, 더운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차주도 4만 명을 넘어섰다. 특히 지난 5월에는 유력 철강사와 철강재 미들마일 물류 협력에 나서는 등 대기업 계열 화주도 유치하며 시장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 같은 성과는 미들마일 운송시장에서 만연한 문제점들을 해결한 데서 비롯됐다. 먼저 ‘더 운반’은 화주와 차주를 직접 매칭하는 시스템으로 정보 불균형을 해소하는 데 성공했다. 과거 화주-주선사-운송사-차주로 이어지는 구조에서는 주선사들이 정보를 독점하고 시기별 차등 운임을 적용해 왔는데 ‘더 운반’은 화주-차주 직거래 플랫폼을 통해 중개수수료를 없애고 투명성을 확보했다. 이 결과 ‘더 운반’을 이용하는
현대차·기아가 혁신적인 로보틱스(Robotics) 콘셉트로 기술은 물론 디자인의 우수성도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현대자동차·기아는 24일 열린 ‘2024 레드 닷 어워드: 디자인 콘셉트 부문(Red Dot Award: Design Concept 2024)’에서 최우수상 2개와 본상 1개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디자인센터(Design Zentrum Nordrhein Westfalen)가 주관하는 레드 닷 어워드는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로 매년 제품 디자인,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디자인 콘셉트 부문으로 나눠 뛰어난 디자인을 선정한다. 현대차·기아는 이번에 발표된 디자인 콘셉트 부문에서 스마트팩토리 보전 로봇과 모베드 딜리버리(MobED Delivery)가 최우수상(best of the best)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혁신 센터(HMGICS)에 시범 적용된 스마트팩토리 보전 로봇은 4개의 PnD(모터와 스티어링, 서스펜션, 브레이크 시스템 및 환경인지 센서를 결합한 모빌리티 솔루션) 모듈을 활용해 공장 내부를 매끄럽게 자율주행하며 인공지능 기반으로 설비의 이상 등을 탐지하는 로봇이다. 점검 시 사각
네덜란드 왕립 항공우주센터와 ‘FA-50 공랭식 AESA 레이다 비행시험 MOU’ 체결 LIG넥스원(대표이사 신익현)과 네덜란드 왕립 항공우주센터(Netherlands Aerospace Centre, 이하 NLR)가 ‘FA-50 공랭식 AESA 레이다 비행시험’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비행시험이 완료되면 국내 최초의 FA-50용 공랭식 AESA 레이다의 즉시 탑재가 가능해져 차별화된 수출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현지시각 23일 영국 판보로 에어쇼 2024(Farnborough Airshow 2024)에서 개최된 양사간 ‘FA-50 공랭식 AESA 레이다 비행시험’ 착수를 위한 MOU 체결식에는 LIG넥스원 신익현 대표이사, 최종진 미래전장사업부문장과 NLR 미쉘 피터즈(Michel Peters) CEO, 푸아드 가더(Fouad Gaddur) 항공우주사업개발 이사(Director Business Development Aerospace Systems) 등 양 기관의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NLR은 1919년 설립된 국영 방위산업기관으로 100여 년간 네덜란드 공군과 협력하며 항공우주분야 연구개발과 각종 정비 및 시험평가에 특화된 기
AI·데이터 분야 협업 강화…“검증된 노하우로 토탈 클라우드 사업 추진” 빅데이터·인공지능(AI) 전문기업 비투엔이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문기업 클러쉬와 손잡았다. 비투엔은 지난 23일 서울 용산구 본사에서 클러쉬와 디지털·클라우드 및 AI 부문 협업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양사는 각자 보유한 유통망과 노하우를 활용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구축 및 운영 서비스 등 토탈 클라우드 사업을 추진하고 글로벌 진출을 위한 공동 사업 발굴에 힘을 모을 예정이다. 이번 전략적 제휴로 비투엔은 클라우드 기반 AI 솔루션, 거대언어모델(LLM) 플랫폼 등 AI·데이터 분야의 사업 기회 발굴과 디지털 전환 및 글로벌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을 확보하게 된다. 비투엔은 국내 최초 AI 학습데이터 품질관리 솔루션 '에스디큐포에이아이(SDQ for AI)'를 통해 품질관리 사업을 선도하고 있다. AI 기능을 정교하게 학습시켜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한편 AI 솔루션 및 플랫폼 데이터 분야의 시장점유율을 넓혀가고 있다. 클러쉬는 차별화된 네이티브 기술과 데브섹옵스(DevSecOps) 역량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사업 및 엔터프라이즈 고객 중심의 생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인천센터)는 KT와 함께 SMART-X LAB 글로벌 진출 프로그램으로 ‘CES 2025’ 혁신상 수상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할 스타트업을 모집한다고 24일 밝혔다. SMART-X LAB은 2017년부터 KT와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가 함께 진행하는 유망 스타트업 발굴·육성 프로그램으로 올해는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을 위해 ‘CES 2025’ 혁신상 수상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CES 2025’ 혁신상 수상 지원을 위해 △영문 컨설팅 △혁신상 신청비 등을 지원하며 수상자와의 네트워킹을 통해 역대 수상자들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 아울러 프로그램에 선정된 스타트업은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보육기업 등록 △입주 지원 △연계사업 추천 △TIPS 검토 △IR 지원 등 후속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대상은 CES 혁신상 신청 예정인 7년 이내 스타트업으로 CES 혁신상의 필수요건을 충족하는 스타트업이면 신청이 가능하다. 신청 접수는 이메일로 제출해야 하며 신청 기간은 7월 23일(화)부터 8월 5일(월) 13시까지이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이한섭 센터장은 “SMART-
제품 수명 주기 관리(PLM) 시장의 선두 기업인 센트릭 소프트웨어(Centric Software®)가 세계적인 식품 리테일 기업인 까르푸(Carrefour)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센트릭 소프트웨어는 식음료 제조 기업, 그로서리, 브랜드 및 다양한 카테고리를 취급하는 리테일 기업들이 기획, 포뮬레이션, 제품 개발, 제조, 조달, 판매 단계에서 전략적 운영으로 디지털 전환 목표를 달성해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혁신적인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을 제공한다. 모든 소비자가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하는 까르푸는 2026년 비즈니스 전략 목표를 달성해 선도적인 디지털 리테일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유럽의 G6 국가인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베네룩스, 루마니아, 폴란드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새로운 디지털 리테일 기업으로 전환, 구매 전략 강화, 프로세스 간소화를 위해 까르푸는 PLM 솔루션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거쳤다. 다양한 솔루션의 검토 끝에 까르푸는 2026년의 강력한 전략 목표를 지원하기 위한 기반으로 센트릭 PLM을 채택했다. 식품 및 HPC (홈·퍼스널 케어) 제품 분야에서
다음 달 8일, 더숨포레스트 호텔서 세미나 개최 국내외 관계자들 발표 통해 다양한 인사이트 얻을 기회로 주목 차세대 모빌리티를 위한 금속 적층제조기술의 발전방향과 표준화를 주제로 한 세미나가 다음 달 8일 열린다. 3D프린팅연구조합이 주최하고 국방기술품질원, 신소재경제신문이 후원하는 ‘Metal AM 세미나’가 오는 8월 8일 오후 1시 반부터 오후 6시까지, 용인 더숨포레스트 호텔 세미나실에서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첨단 모빌리티 산업을 위한 미래 생산기술로의 Metal AM 기술의 활용방안 △전시회를 통해 본 적층제조 기술 발전 및 산업 응용 사례 △적층제조 기술의 생산 표준화 및 적용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 컨설팅의 지원 △대형적층제품을 위한 DED 기술 현황 및 응용 분야 소개 △자동차 산업의 적층제조 재료 및 R&D 현황과 미래 산업 대응 방안 등을 다룰 예정이다. 특히 조영철 현대자동차 책임과 김인명 퓨전테크놀로지 대표이사, 김대중 에이엠솔루션즈 대표이사 등 국내 산업 관계자들은 물론 ▲니콘 SLM Solutions의 Mr.Ralf와 ▲ASTM CoE의 Ph.D Andy Lu의 해외초청강연이 마련되어 있어 더 다양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다음 달 13일 오후 1시부터 14일 오후 4시 반까지 양일간 열려 최근 국내외를 중심으로 우주항공 산업의 잠재성에 대한 주목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미 미국과 러시아, 중국 등 이른바 우주항공 산업 강자들은 국가의 미래 먹거리로 우주항공을 타깃으로 선정하고 관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역시도 이에 대한 경쟁력을 키워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아직 국내 우주항공 산업의 상황은 글로벌 시장에 비하면 긍정적이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한 산업 관계자는 “국내 우주항공 산업은 해외 선진국에 비해 소재산업이 빈약하다는 것이 큰 약점”이라며 “이를 극복하고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산학연 전 부문의 연대와 협력은 물론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다음 달, 국내 우주항공 산업의 현재를 정확히 진단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돼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사)대한금속·재료학회가 주관하는 이번 ‘2024년도 하계기술심포지엄’은 오는 8월 13일과 14일, 양일에 걸쳐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A에서 열린다. △항공 소재 국산화의 비
아산나눔재단(이사장 엄윤미)이 기업가정신 플랫폼 ‘마루(MARU)’에 입주할 스타트업을 7월 29일부터 8월 26일까지 한 달간 모집한다. 아산나눔재단이 운영하는 ‘마루’는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인큐베이터로 창업에 필요한 공간 인프라와 네트워크, 교육 등을 폭넓게 지원한다. 마루에는 스타트업 외에도 국내외 벤처캐피털, 액셀러레이터, 창업 지원 기관 등이 입주해 있으며 지속적인 네트워킹을 통해 함께 페이잇포워드 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 이번 하반기에 선발되는 스타트업은 오는 10월부터 최대 1년 6개월간 마루180과 마루360에 입주해 사무공간뿐 아니라 성장과 커뮤니티에 대한 다양한 지원 혜택을 제공받는다. 먼저, 입주 스타트업은 ‘마루성장존’에 마련된 사무공간을 비롯한 마루 내 모든 회의실과 휴게실, 샤워실, 수면실 등 부대시설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마루180 내 이벤트홀과 마루360 내 스튜디오, 세미나실도 무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키즈존은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 가능하다. 사무공간은 팀별 인원에 따라 배정되며 업무에 필요한 사무용 가구 일체가 함께 제공된다. 사무공간 사용에 따른 비용은 시설 관리에 필요한 최소 실비만 내면 된다. 마루에서는
이탈리아 운송 및 물류 기업 라누티 그룹이 주문 이산화탄소 배출 대폭 절감하는 차량 모델로 주목받아 볼보트럭이 이탈리아 운송 및 물류 기업인 라누티(Lannutti) 그룹으로부터 1천5백 대의 볼보 FH 에어로(Areo) 트럭 주문을 수주했다. 이는 볼보트럭 사상 최대 규모의 거래 중 하나로,라누티 그룹은 유럽 8개국에서 운영 중인 자사의 2천5백 대의 장거리 운송용 물류 트럭 중 일부를 교체하고자 1천5백 대의 볼보 FH 에어로 트럭을 주문했다. 라누티가 주문한 볼보트럭의 대부분은 폐기물에서 생산할 수 있는 연료인 HVO(수소화 식물성 오일)로 구동되기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대 90%까지 절감할 수 있다. 새로운 볼보 FH 에어로의 개발에는 연료 효율성과 안전성 모두가 중요하게 고려됐다. 새로운 확장형 공기역학 캡 디자인은 이전 모델보다 연료 효율성이 5% 가량 높아졌다. 또 볼보트럭의 새로운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은 공기역학적 설계로 연료 절감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직접적인 시야를 확보하고 어둡고 비가 오는 상황에서도 가시성을 향상해 안전한 도로 환경에도 기여한다. 볼보 FH 에어로에 적용된 연료 절감 기술은 볼보 I-Save 파워트레인에 적용
호주·유럽·중동에 이어 대륙별 개도국 등으로 B2G 사업 가속화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대표 서범석)이 글로벌 B2G(기업-정부 간 거래) 사업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루닛은 카타르 공중보건부(The Primary Health Care Corporation, 이하 PHCC)가 주관하는 ‘국가 유방암 검진 프로젝트’에 AI 유방암 검진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공급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카타르 수주는 루닛이 중동 국가 중 최초로 국가 전체 유방암 검진에 AI 기술을 전면 도입한 첫 번째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카타르 PHCC는 ‘국가 유방암 검진 프로그램(Screen for Life)’을 통해 45~69세 여성들에게 3년 주기로 유방암 검진을 받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번 루닛 솔루션 도입은 AI를 통한 검진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한층 높여 카타르 여성의 유방암 조기 검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공급에 따라 루닛 AI 솔루션은 카타르 국가 유방암 검진 워크플로우(Workflow)에 포함되며, 두 명의 영상 판독 전문의가 각각 유방촬영 영상을 판독하면서 루닛 인사이트 MMG의 분석 결과를 참고할 예정이다. 셰이카 아부 셰이카(D
오는 8월 18일까지 천안아산KTX역 1층 매표소 앞에서 체험 가능 웨어러블 로봇 스타트업 위로보틱스(WIRobotics, 공동대표 이연백, 김용재)가 지난 22일부터 천안아산역 1층에서 ‘WIM 체험부스’의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체험부스는 오는 8월 18일까지 약 4주간 운영되며, 운영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다. 팝업부스 내에서 참가자는 윔(WIM)을 실제로 착용하고, 10분가량의 체험시간을 통해 오르막, 내리막, 보조모드 등을 체험할 수 있다. 이번 팝업부스는 위로보틱스와 천안시가 협업해 전 국민의 보행운동 개선에 도움이 되는 웨어러블 로봇의 효과를 확인하고 1인 1로봇 시대 전 국민 윔(WIM) 체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서 마련됐다. 지난 4월 공개된 윔 B2C 제품은 1.6kg의 초경량 무게와 휴대가 용이한 컴팩트한 크기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보행 보조 능력을 제공하는 위로보틱스의 웨어러블 로봇이다. 윔은 착용하고 벗는 방법이 간편해 30초 이내로 입고 벗을 수 있다. 아울러 전용 앱을 통해 AI·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착용자의 근력, 균형, 자세 등 중요한 보행지표를 수집 및 분석하고 보완점을 진단해 맞춤형 운동 솔루션을 제공한다. 김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