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한동수 교수 연구팀이 무선 신호가 없는 건물에서도 동작하는 ‘범용 실내외 통합 GPS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휴대전화 위치 추적은 GPS나 기지국 신호를 받아 이뤄지지만, 실내에서는 위치정보시스템(GPS) 신호가 잡히지 않아 무선랜이나 블루투스 등을 이용해야 한다. 이에 연구팀은 무선 신호가 없는 건설 현장이나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넓은 공장 건물 등에서도 위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인식 서비스를 개발했다. 실내외 전환 탐지 AI 기법과 건물 출입구를 탐지하는 AI 기법을 이용, 건물 출입구, 층, 계단, 엘리베이터 등 랜드마크에서의 동작과 보행자 항법 기법(PDR·사람이 이동하는 속도·방향·거리 등을 파악해 출발 지점으로부터의 위치를 산출하는 기법)을 연계시켜 작동하는 원리다. 구체적으로 GPS 신호와 관성센서(IMU)에서 얻은 신호를 활용, 사용자가 들어가는 건물을 판별하고 건물에 진입하는 시점과 위치를 실시간으로 탐지한다. 건물 내에서는 기압과 관성센서를 활용해 계단 혹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수직 이동을 탐지하고 기압 정보를 활용해 사용자가 있는 층을 찾아내는 기법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차선 구분 가능한 수준으로 위치 정보 제공...AI 플랫폼·차량 단말 연동 KT가 대전소방본부의 소방·응급구조 차량 150대에 초정밀 측위 솔루션을 공급한다고 24일 밝혔다. KT는 대전시 융·복합 데이터 활용 실감형 소방안전도시 구축 사업에서 초정밀 측위 솔루션 공급자로 선정됐다. KT가 제공하는 초정밀 측위 솔루션은 차선 구분이 가능한 수준으로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KT는 AI가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는 GPS 오차를 보정하는 플랫폼과 초정밀 측위 솔루션이 적용된 차량용 단말을 연동해 확보한 위치 정보를 대전소방본부에 전달한다. KT의 초정밀 측위 솔루션은 올해 1차 프로토타입 단말 공급과 최적화 작업을 거쳐 서비스 검증 후 2025년부터 상용 서비스로 전환할 예정이다. KT는 지난 2021년 제주 C-ITS(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차세대 지능형 교통 체계) 사업에서 제주특별자치도의 소방·응급구조 차량에 이 솔루션을 적용해 긴급차량 우선신호 서비스를 선보인 바 있다. 당시에도 정확한 위치 추적과 신호 최적화로 출동 시간 단축 효과를 얻었다. KT는 기존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성옵틱스 자회사 지오소프트, 초정밀측위, 영상관제 등 최신 차량 관제 솔루션 개발 협력 모빌리티 관제 시스템 전문 개발 기업 지오소프트가 휴맥스모빌리티와 손잡고 차세대 차량관제 및 주차관리 솔루션 구축에 나선다. 해성옵틱스 자회사인 지오소프트는 휴맥스모빌리티와 ‘차량관제 및 주차관리 솔루션 신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양사는 업무협약을 통해 초정밀 측위 및 영상관제 등 ‘차세대 차량 관제 솔루션’을 개발한다. 실내측위시스템 기술을 바탕으로 최근에 납품한 세종시 스마트시티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발전시켜 솔루션 및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초정밀 측위는 이동하는 차량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정밀하게 측정해, GPS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십 미터 오차를 센티미터 단위까지 줄일 수 있는 기술이다. 영상관제 기술을 접목하면 운전 중 졸음, 흡연, 휴대폰 이용과 같은 운전자 위험 행위와 낙하물, 포트홀 등의 외부 사고 위험 환경을 분석하고 승객 안전을 위한 알림 서비스가 자동화된다. 지오소프트는 실내외 전자지도 및 자체 내비게이션 솔루션을 보유한 지리정보, 위치기반서비스 전문기업에서 출발해 최근 디지털트윈 기반의 메타모빌리티 영역으로 솔루션 및
공공 안전 기술 서비스 기업 나이트스코프는 쇼핑몰, 주차장, 근린 공원 등 공공 장소에 세계 최초로 완전 자율 보안 로봇(ASR)을 배치했다고 5일 밝혔다. 나이트스코프는 일반 로봇 공학 기업과 차별화된 공공 안전 기술 회사로 로봇 공학, 자율 주행 기술, 차량 전동화, 인공 지능 융합 분야에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나이트스코프의 모바일 로봇은 LIDAR, GPS, 소나, IMU, 4K 카메라, 고음질 오디오 시스템을 사용해 완전 자율적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로봇은 인간과 유사하지만 민감도 면에서 훨씬 더 뛰어난 5가지 센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ASR은 실제 위협을 감지할 수 있어 해고 직원이나 불법침입 직원을 식별해 직장 내 폭력 사태를 줄일 수 있다. ASR의 무단 침입자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작업 현장과 무관한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 안전한 주차장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오디오 기능이 내장된 ASR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므로 방송 기능을 갖춘 확성 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다. 나이트스코프의 공동 창립자이자 최고고객책임자인 스테이시 스티븐스는 "ASR의 '경고'(talk-down)기능을 통해 인간이 감당해야 할 위험을 로봇이 대신 처리할 수 있다"며
U+초정밀측위 서비스 고도화 위해 국내 이통사 중 최다 기준국 57개소 구축 완료 LG유플러스가 초정밀 측위 기술을 골프 서비스에 이어 자율주행, 스마트항만으로 확대한다고 11일 밝혔다. U+초정밀측위 서비스는 이동하는 단말의 위치정보를 센티미터 단위로 확인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올해 3월부터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흔히 ‘GPS’로 알려진 기존 글로벌 위성항법 시스템(GNSS) 방식은 위성정보만을 이용하기에 전리층과 대류권을 통과할 때 전파 지연으로 인해 최대 수십 미터의 오차가 발생하지만, U+초정밀측위 서비스는 실시간 이동 측위(RTK) 기술을 활용해 이를 센티미터 단위로 보정한다. RTK 기술은 위도·경도·고도 등 절대 위치에 대한 값으로 기준점 역할을 하는 ‘기준국’, 기준국 절대 위치 값과 위성을 통해 측정한 기준국의 위치 값을 비교하여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RTK 서버’, 위성이 측정한 단말의 위치 값에 RTK 서버가 생성한 보정 정보를 계산하여 센티미터 단위 측위를 수행하는 ‘RTK 수신기’로 구성돼 있다. 기준국은 정확한 위치를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할 때 활용되기 때문에 기준국이 많을수록 더 정확한 초정밀 측위 정보를 얻을
KT, 글로벌 리딩 위치 정보 테크 기업과 손잡고 초정밀 측위 사업에 본격화 KT는 미국 실리콘밸리의 스위프트 내비게이션(Swift Navigation)과 기술 및 사업협력 계약을 체결하고 초정밀 측위 사업을 본격화 한다고 29일 밝혔다. 초정밀 측위 서비스는 기존 GPS 등을 통해 제공되던 위치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수~수십 미터(m)의 오차를 센티미터(cm)단위까지 줄여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위프트 내비게이션은 초정밀 측위 영역에서 글로벌 리딩 기술 기업으로 측위 오차를 보정하고 정확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플랫폼과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KT는 전국 커버리지로 직접 구축한 기준국(Reference Station)과 이들 솔루션을 연동해 다양한 모빌리티 영역에서 초정밀 측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기존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중심에서 최근 자율주행, 로봇, 드론 등 이동체 관련 서비스가 급성장하면서 정확한 위치정보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해왔다. 글로벌 위치 기반 서비스 시장은 연평균 23% 성장세를 유지하며 ‘25년까지 약 1,260억 달러까지 확대되고 국내 시장 또한 같은 해 약 2조 7천억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가장
자율주행이란, 운전자의 조작 없이 목표지점까지 차량 스스로 주행환경을 인지, 판단, 제어하는 방식이다. IT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영역이었던 인지와 판단 능력이 기계로 넘어가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자율주행 시장의 본격적인 성장 시점을 2025년으로 예상하며, 시스템 가격과 기술 신뢰도가 자율주행 시장의 성장속도를 제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자율주행은 어떻게 실현될까? 자동차는 ICT 기술의 발달로 이동수단을 넘어 스마트한 생활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자율주행차는 환경 인식, 위치 인식 및 맵핑, 판단, 제어 HCI 등 5개 주요 요소와 ADAS, V2X, 정밀지도, HMI 등 4개 핵심 기술로 구성돼 있다. 딥러닝과 영상처리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운전자의 개입 없이 주행하는 자동차는 현실이 되고 있다. 자율주행차는 레벨 0단계부터 4단계까지 분류된다. 현재 상용기술로는 레벨2까지 적용되고 있다. 2단계의 경우 핸들조작 일부와 자동화 및 고속도로 및 차선 유지, 전방 추돌 경보 시스템 등 ADAS가 적용된 수준이다. 자율주행 기술은 주행에 필요한 정보·신호를 입력받는 '인지기술', 정보·신호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등 '판단기술', 조향·제동·가속
AI 영상인식 기술 활용해 운전습관 수집·분석...운전자별 미래 사고 위험도 예측 카비가 20일부터 22일까지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월드IT쇼 2022'에 참가한다. 카비는 정부 우수사례 선정기업들의 제품·기술이 전시된 디지털혁신관에 부스를 열고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운전자 미래 교통사고 발생 예측 솔루션'을 소개한다. 이 솔루션은 카비가 자체 개발한 AI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해 수집한 운전자 운전습관 데이터를 정밀 분석한 뒤, 운전자별 미래 교통사고 위험도를 예측해주는 알고리즘이다. 카비 솔루션은 AI 영상인식 엔진과 GPS, IMU센서 등을 활용해 운전자 운전습관 데이터를 수집한다. 과속과 급가속·급감속 빈도 만을 알 수 있는 단순 GPS 기술과 달리, 앞 차와의 안전거리나 무단 차로이탈, 신호위반 등 38가지 이상의 항목을 기준으로 실질적인 운전습관을 파악하는 것이 특징이다. 수집된 운전습관 데이터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운전자 개인별 안전운전 점수와 함께 미래 교통사고 위험도로 산출된다. 이은수 카비 대표는 "한 모빌리티 업체와의 데이터 실험에서 50여명의 운전자 가운데 3명이 사고 고위험군으로 분류됐는데, 3명 전원이 3개월 안에 실
후세 다카시, 도쿄대학 대학원 공학계연구과 사회기반학 전공 계량은 지구상의 자연 또는 인공물과 같은 지물의 위치·형상을 측정하고, 또한 지물의 위치 관계를 구해 수치나 그림으로 표현, 그들을 기반으로 분석 처리를 하는 일련의 기술이다. 그 기원은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오래되고 전통적인 과학이다. 계량이라는 말도 천문관측과 토지를 측정하는 것을 연결하는 기술로, 고대 중국의 ‘측천량지(測天量地)’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긴 측량의 역사 속에서 지금까지 항상 최첨단 기술을 도입, 혁신을 계속해 왔다. 계량의 기본은 거리나 각도 등의 측정이다. 일본의 근대 측량에서는 메이지 시대(1868년~1912년) 초기부터 삼각측량이 전통적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1960년대 이후 광파측거의의 보급에 의해 고정도 거리 측정이 가능해져 삼변측량과 트래버스 측량(traverse survey)이 확산됐다. 그 후 1990년대 전반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량이 실용화되어 위성 측위 시대가 막을 열었다. GPS 측량은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에 기초하기 때문에 삼변측량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 등에 의해 지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파악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LG전자가 차량용 증강현실(AR)소프트웨어 사업을 육성한다. LG전자는 완성차 업체에 ‘AR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공급하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최근까지 헤드업 디스플레이, 계기판, 중앙정보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인포테인먼트 부품에 AR 소프트웨어를 결합시킨 패키지를 공급해왔다. LG전자는 사업구조를 보다 다각화해 완성차 업체들의 다양한 니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사업경쟁력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완성차 업체들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패키지 형태를 아웃소싱하는 기존 방식에서 점차 벗어나 소프트웨어만 아웃소싱하는 사례를 확대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LG전자 AR 소프트웨어 솔루션은 ADAS 카메라, GPS, 네비게이션과 같은 다양한 센서와 실시간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행속도, 보행자나 주변 차량과의 상대적 거리, 목적지까지의 경로 등 운전자에게 도움이 되는 시각적 정보를 3D 및 2D 그래픽 이미지로 보여준다. 이 솔루션은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차량 전면 유리과 계기판, 중앙정보디스플레이 등 인포테인먼트 부품에 다양한 정보를 이미지로 투사해 보여준다. 운전자는 이를 통해 주변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가 5G 네트워크와 여타 주요 타이밍 인프라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재밍 및 스푸핑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타이밍 아키텍처 전체에 단일 콘솔 가시성을 제공하기 위해 BlueSky GNSS 방화벽을 마이크로칩의 TimePictra 11 동기화 모니터링 및 관리 플랫폼에 통합했다고 밝혔다. 오늘날 5G 무선 인프라는 이전 세대 네트워크 대비 더욱 복잡하고 고밀도의 동기화를 요구하며,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라이브스카이(live-sky) 타이밍 신호의 무결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주요 인프라 운영업체는 안정적인 성능과 서비스 제공을 보장하기 위해 GNSS 소스의 정밀 타이밍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전반에 걸친 정확한 타이밍 분배를 필요로 한다. TimePictra는 5G 네트워크 동기화를 위한 TimeProvider 4100 그랜드마스터 등 마이크로칩의 광범위한 제품 포트폴리오로 만들어진 복원력 높은 타이밍 아키텍처에 완벽한 제어 및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또한 TimePictra는 이러한 네트워크의 분배 PTP(Precision Tim
[첨단 헬로티]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포켓몬고(GO)의 공통점은 모바일 웹이 아닌 모바일 앱을 통해 성공을 거뒀다는 점이다. 다양한 사용자 맞춤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의 특성에서 성공의 이유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GPS, 카메라, 터치 ID 등 스마트폰이 가진 기술적 강점을 접목해 한층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 앱 트렌드를 간략히 살펴본다. 스마트폰 사용자 중 모바일 앱 사용 비율 88%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모바일 웹 브라우저보다 모바일 앱에서 훨씬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2017년 상반기 기준으로 전체 스마트폰 사용시간에서 모바일 앱이 차지하는 비율은 88%에 달하며, 특히 한국의 경우 스마트폰 사용 시간의 90% 이상을 모바일 앱에서 보내고 있다. 앱애니가 발표한 모바일 전략에 앱이 필요한 이유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시장에서 앱에 대한 선호도는 단지 젊은 사용자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전 연령층에서 90% 이상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GPS·카메라·생체 인식 기능으로 풍부한 서비스 제공 모바일 앱은 스마트폰의 OS 기능에 접근해 사용자의 위치 파악에 이용되는 GPS와 연동하
[첨단 헬로티] 반도체 업체 브로드컴이 새 위성항법시스템(global positioning satellite: GPS) 신호를 사용해 정확도를 끌어올린 스마트폰 칩 BCM47755를 2018년 선보인다. 새 칩은 내년에 일부 스마트폰에 적용될 예정이다. 어느 제품일지 대해 브로드컴은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브로드컴에 따르면 BCM47755는 GPS 정확도를 현재 5m에서 30cm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이에 따라 위치정보 서비스의 정확도가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위성항법시스템은 수신기를 탑재한 기기의 위치와 시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우주 궤도를 돌고 있는 특정한 인공위성의 신호를 지상에서 받아 위치·고도·속도를 계산할 수 있게 한다. 인공위성과 수신기, 지상의 감시체계로 구성된다. 위상항법시스템으로는 미국이 개발하는 GPS, 유럽이 주도하는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ervices), 일본 QZSS, 러시아 글로나스 등이 있다. 브로드컴 BCM47755는 위성 합법 기술의 정확도를 센티미터 수준으로 끌올리려는 최신 행보 중 하나다. 유럽이 주도하는 GNSS( global navi
ⓒGetty images Bank [헬로티] 국토교통부는 한국과 유럽이 초정밀 위성항법장치(GPS) 보정시스템(SBAS) 공동개발에 나선다고 25일 밝혔다. GPS 보정시스템(SBAS)이란 GPS 오차를 보정해 항공 외 선박·교통·물류·응급구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한 인공위성 기반 오차보정시스템을 말한다. 국토부는 26일 서울 메이필드 호텔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SBAS 구축을 위한 프랑스 '탈레스'사와 해외공동개발 계약 체결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항공우주연구원은 지난 2014년 10월 SBAS 연구개발 및 구축 사업자로 선정돼 2019년 시범운영, 2020년 공개서비스, 2022년 항공용으로 정식 운용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1년 9월까지 총 5년 동안 4000만 달러, 약 45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서비스의 신뢰성 검증 등을 위해 유럽항공안전청(EASA)과 인증기술지원 의향서(DOI)도 함께 체결한다. 전문가들은 초정밀 GPS 보정시스템이 완성되면 운송용 항공기는 물론 드론, 자동차 등 다양한 교통수단과 응급구조 등 위치기반시설 관련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