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아스 글로벌 로보틱스 포럼 2025(ROAS Global Robotics Forum 2025)’ 열려 클리어패스·유니트리·프랑카로보틱스 등 피지컬 AI 분야 글로벌 리더 한자리에 “로봇 지능형 플랫폼 진화와 산업 간 협력이 주요 성장 방향성” 지능형 로봇 솔루션 기술 업체 클로봇의 자회사 로아스는 지난달 31일 열린 ‘로아스 글로벌 로보틱스 포럼 2025(ROAS Global Robotics Forum 2025)’가 성료했다고 알렸다. 이번 행사는 ‘로봇, 협력과 연결의 시대(Connecting Global Robotics Ecosystem)을 주제로 열렸다. 구글(Google)·엔비디아(NVIDIA)·메타(Meta) 등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 중인 세계 주요 로봇 업체 리더가 한국 공식 파트너사인 로아스와 함께 기획한 포럼이다. 로봇과 인공지능(AI) 산업의 미래 전략을 논의하고 다음 세대를 준비하기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콘셉트로 진행됐다. 행사에는 독일·캐나다·중국 등 해외 로봇 업체와 국내 연구기관·학계·투자자 등 약 20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피지컬 AI(Physical AI) 분야 글로벌 리더로 평가받는 클리어패스(Clearpath)·유니트리
유아이패스(UiPath)는 충남대학교가 학사 행정 업무의 디지털 혁신 가속화를 위해 유아이패스의 ‘비즈니스 자동화 플랫폼’을 도입했다고 5일 밝혔다. 유아이패스의 비즈니스 자동화 플랫폼은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최적화를 위한 엔드투엔드 자동화를 지원하는 솔루션이다. 기업의 생성형 AI 모델 및 솔루션의 성능과 정확도를 향상해 AI와 자동화를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 적인 과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충남대학교는 비즈니스 오토메이션 플랫폼을 도입해 이전에는 직원들이 수동으로 처리했던 전임교원 공개채용 논문검증, 재학생의 등록금 카드 수납 및 등록금 수납 내역 관리, 교육훈련 신청 현황 확인과 같은 학사 행정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했다. 이를 통해 행정 부서 직원이 학사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데 소요하던 시간을 하루 평균 약 10시간 단축하고 직원의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충남대학교 정보화본부 정보화지원실장은 “자동화 솔루션 도입은 행정 운영 현대화의 중요한 단계”라며 “이는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학생, 교수 및 직원의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유아이패스의 AI 기반 자동화를 도입함으로써 보다 효율
헬로티 조상록 기자 | SK텔레콤은 국내 동물 영상진단 분야 권위 기관인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과 함께 ‘AI 기반 수의 영상진단 보조 솔루션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수의용 영상진단 보조 솔루션은 동물을 촬영한 엑스레이를 AI가 판독해 수의사의 진단을 돕는 솔루션이다. 이번 MOU에 따라 충남대학교는 수의과대학 부속 동물병원에 보유 중인 수만 건의 영상 빅데이터를 비식별 정보화하고, 수의 영상진단 전공 수의사가 이에 대한 진단 소견을 첨부해 SKT에 제공할 계획이다. SKT는 ‘메타러너’를 바탕으로 충남대가 제공한 영상 진단 데이터를 학습해 동물용 AI 기반 영상진단 보조 솔루션을 개발하게 된다. 메타러너는 다양한 영역에 걸쳐 분야별로 최적화된 AI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SKT가 개발한 AI 자동화 플랫폼이다. 메타러너는 스마트팩토리에서 제품 사진을 분석해 불량 여부를 판단하거나 CCTV 영상을 분석해 비정상적인 상황을 알려주고, 의료분야에서는 엑스레이·MRI 영상 등을 분석하는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다. 반려동물 증가로 동물 영상진단 수요는 계속 커지고 있지만, 동물 영상을 판독하고 빠르게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영상
[헬로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20일부터 충남대학교병원 키오스크에 코로나19 방역관리 절차를 안내하는 아바타 수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ETRI가 개발한 아바타 수어로 생활 속 거리두기 지침을 표현하는 모습(출처 : ETRI) ETR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식기획평가원과 함께 디지털포용정책을 수립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R&D를 지원하면서 소외 없는 디지털 세상을 구현하고 대국민 서비스 역량을 높이기 위해 힘쓰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청각장애인을 위해 개발한 아바타 수어 기술이 국립대학병원에 시범 도입됐다. 이로써 안전한 코로나19 방역 관리는 물론, 청각장애인들이 병원을 갈 때 불편을 덜고 정보격차를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의료 기관의 방역 관리 절차와 출입절차가 복잡해졌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 이용에 취약한 장애인들은 기존 키오스크만으로는 의사소통 지원체계가 부족해 출입에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ETRI가 충남대학교병원과 협력해 병원 입구에서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절차를 안내하는 아바타 수어 서비스 제공에 나섰다. 수어를 하는 캐릭터로 방역 관련 문진 과정과 확인 사항을 쉽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