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월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1099.5만 대, 전년비 36.4%↑ 글로벌 전기차 시장 1위 BYD, 2위 테슬라, 7위 현대기아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이 절반 이상의 높은 점유율을 가져가고 있는 가운데, 향후 전기차 시장의 성장이 중저가형 세그먼트 전기차에 집중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는 약 1099.5만 대로 전년 대비 약 36.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그룹별 전기차 판매 대수를 살펴보면 중국 전기차 선두 기업 BYD는 전년 동기 대비 66.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글로벌 1위 자리를 유지했다. BYD는 Song, Yuan Plus(Atto3), Dolphin, Qin 등 다양한 라인업으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다. 또한 중국 외 지역에 8만대 가까이 수출하며 전년 대비 10배의 성장세를 보였다. 테슬라는 143만 대 이상을 고객에게 인도하며 전년 동기 대비 45.5% 성장률을 기록했다. 주력 차종인 모델 3/Y의 판매량이 호조를 나타냈다.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모델 3 하이랜드와 사이버트럭의 출시가 향후 테슬라 실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이호 한자연 책임연구원 “전기차 친화적 제도 여전하고 소비자층 오히려 확대돼 성장세 훼손 안될 것” 최근 중국 자동차 시장의 전기차 보급 속도가 둔화된 것에 대해 일부 언론으로부터 소수 업체를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재편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된 것과 관련, 올해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 성장세가 하락한 것은 구매보조금 폐지의 영향이 크다고 보기 어렵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 이호 책임연구원은 구매보조금 폐지 이후에도 중국 친환경차 시장은 최근 수년간 판매량 추이를 대체로 유지 중인 것으로 분석했다. 이호 책임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자동차 판매량은 내연기관차와 전기차 모두 상반기에 부진하고 하반기에 양호한 패턴을 보이는데, 전기차 판매량도 최근의 성장 추세는 그대로 유지되는 가운데 일시 감소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혁신 제품의 초기 판매량은 지수적인 성장세를 보인다. 이 책임연구원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전기차 판매량 추이를 올해 수치와 비교해본 결과, 판매량이 변동성 수준 내에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2023년 구매보조금 일몰에도 최득세 감면 제도 연장 등 전기차 친화적인 제도적 환경이 여전하며, 주요 소비자
2023년 1~5월 동안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는 약 484.6만 대로, 전년 대비 43.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SNE리서치가 조사한 2023년 1~5월 그룹별 전기차 판매 대수를 살펴보면 중국 최대 전기차 기업 BYD는 전년 동기 대비 101.6% 성장률을 기록하며 성장세가 지속됐다. 5월에 24만 대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전기차 OEM 중 유일하게 올해 1~5월 누적 전기차 판매량 100만 대를 돌파했다. BYD에 이어 2위에 오른 테슬라는 올해 초부터 시행한 가격 인하 정책과 주력 차종인 모델3/Y에 대한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세제 혜택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66.6%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3위 상하이 자동차 그룹(SAIC)은 홍광 미니(宏光 MINI EV)와 MG-4(Mulan), MG-ZS의 판매 호조로 전년 대비 31.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현대기아 그룹은 전기차 아이오닉 5, EV6, Niro를 앞세워 전년 동기 대비 1.7%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새롭게 출시된 코나(SX2) 일렉트릭과 EV9의 판매 개시, 아이오닉 6의 글로벌 판매 확대를 통해 친환경차 시장에서 반등하며 2분기 실적 발표에
SNE리서치, 중국 전기차 시장 및 중국계 OEM 해외 진출 동향 발표 올해 1~4월 동안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 약 372.3만 대 중, 중국에서의 전기차 판매 대수는 212.6만 대로 57.1%의 점유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테슬라와 폭스바겐, BMW 등 非중국계 OEM들의 비중은 2020년 27.4%에서 2023년 16.7%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비중이 줄어드는 것과는 별개로 중국에서의 글로벌 OEM들의 판매 대수는 2020년 36만대, 2021년 74만대, 2022년 111만대로 연평균 성장률 77%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는 중국계 OEM들이 중국시장에서의 판매 비중을 83.3%까지 끌어올리며 내수시장 형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글로벌로의 안정적인 도약을 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계 OEM들의 해외판매 비중은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9년 이후 7% 전후로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판매된 전기차 대수는 2019년부터 81%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해외 진출 속도가 가속화되는 모습이다. 특히 BYD의 Atto3, SAIC의 MG 브랜드, 지리자동차의 Lynk & Co 등 다수의 중국계 O
SNE리서치가 2023년 1분기 동안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가 전년 대비 31.3% 상승한 약 118.3만 대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2023년 1분기 비(非)중국 시장에서 테슬라의 주력 모델인 Model 3/Y의 판매량이 테슬라의 성장률을 견인하며 전년 대비 41.7% 성장률로 1위 자리를 지켰다. 하지만 테슬라가 공개한 1분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대비 순이익은 2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기간 테슬라가 단행한 가격 인하로 매출은 증가했으나 순이익은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폭스바겐, 아우디, 스코다 등이 속한 폭스바겐 그룹은 전년 대비 35.0% 성장률을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해외브랜드 중 최초로 美정부의 보조금 지급 조건을 충족한 ID.4를 비롯해 아우디 E-Tron 라인업의 꾸준한 판매 호조가 폭스바겐 그룹의 성장세를 이끌었다. 3위는 1분기 기준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한 현대기아 그룹이 차지했다. 전기차 보조금 정책 변화와 같은 친환경차 판매에 불리한 1분기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8% 역성장을 나타냈지만 다가오는 계절적 성수기인 2분기에 코나(SX2)
중국 전기차 배터리 기업들이 중국 외 글로벌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차전지 전문 시장조사 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CATL을 비롯한 중국 배터리 업체들은 비중국 시장에서 또한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중국 내수 시장을 넘어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CATL은 비(非)중국 시장에서 79.6%(15.6GWh)의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CATL은 테슬라 Model 3(중국산 유럽, 북미, 아시아 수출 물량)를 비롯하여 볼보 C40/XC40 Recharge, 기아 니로, MG-4 등의 판매 호조로 비중국 시장에서 2위를 기록했다. 향후 현대의 신형 코나 전기차 모델에 CATL의 배터리가 탑재될 것으로 알려져 비중국 시장에서의 시장 점유율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Top 10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BYD는 중국 내수 시장을 공략한 가격 경쟁력 장점과 상당 부분 갖춰진 품질로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시장에서의 시장 점유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유럽 시장에서도 성장을 보이고 있다. Farasis는 전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은 메르세데스-벤츠의 유럽 향 EQ 라인업의 판매 호조로 2023년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SNE리서치, "1~2월 전 세계 전기차 인도량 151.4만 대, 작년보다 25.6%↑" 2월 중국 전기차 시장 회복세 속 BYD 1위, 테슬라 2위 굳건 BYD가 1~2월 글로벌 전기차 판매 대수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테슬라다. SNE리서치가 공개한 자료의 2023년 1~2월 전기차 판매 대수를 살펴보면 2년 연속 20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한 BYD가 전년 동기 대비 93.7%의 성장률로 1위에 오르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테슬라 또한 55.0%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순수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모두 갖춘 BYD에 밀려 2위를 기록했다. 3위 폭스바겐은 시장 평균에 못 미치는 성장률을 보였으나 3위를 지켰다. 2023년 1~2월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가 약 151.4만대, 전년 대비 25.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전년 동기 역성장을 보인 중국 시장이 다시 회복세로 돌아서며 BYD, 테슬라를 필두로 전 세계 전기차 시장 성장을 이끌었다. 그 밖의 자동차 그룹은 시장 평균을 밑도는 성장을 보였다. 북미와 아시아 지역은 63.4%, 79.0%의 고성장률을 보였고 유럽은 10.4%에 그
테슬라 1위 독주, 현대기아는 4위 올해 1워부터 2월까지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는 68.1만 대로 조사됐다. 전년 동기 대비 33.2% 상승한 수치다. SNE리서치가 올해 1~2월 非중국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자료를 공개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1~2월 비(非)중국 시장에서 테슬라의 주력 모델인 Model 3/Y의 판매량이 성장률을 견인하며 전년 대비 60.5%의 고 성장세로 1위 자리를 지켰다. 폭스바겐 그룹은 전년 대비 32.3% 성장률을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3위로는 푸조, 지프, 피아트 등이 속한 스텔란티스 그룹으로 전년 대비 14.1% 성장했다. 특히 지프의 그랜드 체로키 4xe와 랭글러 4xe의 판매 호조가 주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 달 5위로 떨어졌던 현대기아는 작년의 판매량 수준을 회복하며 4위로 올라섰다. 한국과 독일의 보조금 감축 및 폐지로 현대기아와 다임러 그룹 판매량에 악영향을 받으며 역성장을 기록했다. 지난해 미니 전기차 시장 공략 성공으로 고성장을 이룬 SAIC (상하이자동차)의 경우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 유럽에서 MG-4, HS, ZS의 판매 호조를 통해 올해 2월 역시 세
작년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1083만 대...전년 대비 61.3%↑ 작년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가 전년 대비 61.3% 상승한 1083만 대로 조사됐다. SNE리서치는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 글로벌 시장의 전기차 인도량을 조사한 자료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의 전기차 인도량은 약 1478만 대 수준으로 전망된다. 2021년 전년 대비 261%의 성장률을 보였던 BYD는 2022년에도 205%의 성장률로 187만 대를 기록하며 1위에 등극했다. 2위인 테슬라는 40%의 성장을 보였으나 BYD에 밀려 2위로 밀렸다. 3위로는 97.8만 대를 기록한 SAIC(상하이자동차)가 올랐고 상대적으로 성장률이 낮은 폭스바겐이 4위를 차지했다. 5위와 6위는 각각 64.6만 대, 51만 대를 기록한 Geely와 현대기아가 올랐다. 중국 내수 시장의 영향으로 Top 10에서 중국계 BYD와 Geely의 성장률만 세 자릿수를 기록했다. 2022년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은 656만 대로 전년 대비 97.1% 성장한 반면 유럽과 북미 지역은 각각 11.2%, 49.8%에 그쳤다. 이는 곧 점유율 차이로 이어져 중국계 두 업체
중국이 자동차 수출 부분에서 독일을 제치고 세계 2위에 등극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2022년 중국 자동차 글로벌 시장 수출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자동차 수출은 전년 대비 54.4% 증가한 311만 대로, 중국은 261만 대를 수출한 독일을 제치고 자동차 수출국 세계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중국의 수출 물량 중 신에너지차(BEV, PHEV, FCEV)는 약 68만 대로, 전년 대비 120% 증가해 2배 이상 성장세를 기록했다. 일본은 2022년 11월까지 약 320만 대를 수출하며 1위를 확정했고, 한국은 잠정 230만 대로 6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자동차 수출은 지난 5년간 100만 대 전후 수준에 머물렀으나 2021년 100% 이상 급증 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중국의 전기차 수출 중 절반 가량은 미국의 테슬라가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한 물량이다. 2022년 상반기 기준 테슬라는 중국에서 9만 7182대를 수출하며 중국의 상반기 신에너지차 수출 20.2만 대 중 48%를 차지했다. 2022년 5월 기준 세계 전기차 판매 모델 상위 10개 중 7개가 BYD, SAIC 등
SNE리서치, 2022년 1~11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발표 작년 1월부터 11월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된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이 BYD에 밀려 3위로 내려왔다. 자국 시장의 폭발적 성장을 바탕으로 한 중국 업체들의 도약이 이어지고 있다. 해당 기간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446.0GWh로 전년 동기 대비 74.7% 상승했다. 글로벌 1위인 중국계 CATL은 두배 이상의 성장을 보여주었고 BYD 등 10위권에 안착한 중국계 업체들은 모두 세 자릿수의 고 성장세를 보였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꾸준한 성장율을 보이고 있으나 전년 동기 대비 30.5%에서 23.1%로 7.4%p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9.7% 성장한 54.8GWh로 3위에 올랐고, SK온은 72.0% 증가한 26.1GWh, 삼성SDI는 74.9% 상승한 22.1GWh를 기록했다. LG엔솔을 제치고 2위에 오른 BYD의 성장세가 무섭다. 경기 침체, 반도체 수급난 등이 우리 기업들에게 악재로 작용했고, 중국 시장의 꾸준한 성장세, 그리고 유럽향 폭스바겐, 볼보 등의 모델과 중국향 테슬
2022년 1~7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한국계 3사 점유율 25.9%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과 LG에너지솔루션이 1, 2위를 유지했다. 중국 시장을 제외한 시장에선 LG에너지솔루션이 1위를 지켰고 CATL은 3위를 차지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1월부터 7월까지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240.8GWh로 전년 동기 대비 76.0% 상승했다. 2020년 3분기부터 시장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계는 CATL과 BYD를 필두로 다수의 업체들이 중국 시장의 팽창을 바탕으로 세 자릿수의 고성장률을 보였다. 파나소닉을 포함한 일본계 업체들은 대부분 시장 평균에 못 미치는 성장률을 보이며 계속해서 하락세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34.2%에서 25.9%로 8.3% 하락했지만 성장세는 이어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9.0% 증가한 34.3GWh로 2위를 유지했다. SK온은 약 2.1배 상승한 15.8GWh, 삼성SDI는 56.3% 상승한 12.2GWh를 기록했다. 중국 시장을 제외한 시장에서 국내 3사의 점유율은 55%를
한자연, '인플레이션 완화법으로 본 미국의 전기차 산업 육성 전략과 시사점 보고서' 발표 국내 자동차 업계가 미국 자동차 업계와 포괄적 협력을 추진하면서 동시에 중국과의 협력을 추진하는 양면 전략을 운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인플레이션 완화법으로 본 미국의 전기차 산업 육성 전략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미국 의회는 최근 대중국 경쟁우위 및 국가 안보를 위한 280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및 과학법’과 7400억달러 규모의 ‘인플레이션 완화법’을 제정했다. 전기차 보급과 연관 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 지원책도 상원에 이어 하원에서 가결됐다. 연구원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들이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대열에 동참하면서, 미국의 전기차 판매는 올해 상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75.7%가 증가한 37만 726대를 기록해 신차 시장의 5.6%를 점유했다. 미국 전기차 시장은 상반기 기준 테슬라가 70.1%를 점유하고 있으며, 현대·기아가 9%, 포드가 6.2%를 점유하고 있다. 이번 법 제정에 따라, 북미산 전기차 중 미국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에서 채굴하거나, 북미에서 재활용한 핵심광물 사용 비율과 북미에서 제조하거
2022년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판매량이 원자재 가격 상승, 러-우 전쟁, 코로나 지속 등 험난한 시장 환경 속에서도 전년동기대비 63% 성장한 4285천대로 잠정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중국이 정부의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으로 전년동기대비 121% 고성장을 기록하며 전체 시장을 이끌었고, 북미도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으로 전년비 59% 고성장을 이뤘으나, 유럽은 러-우 분쟁의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5% 성장에 그쳤다. 차량별로는 승용차가 전년동기대비 62%, 버스와 트럭은 각각 71%와 74% 성장했다. 2022년 상반기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은 전년동기대비 76% 성장한 202GWh를 기록했다. 중국전기차 시장 호황으로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고성장이 있었다. 중국 외 업체로는 SK온이 124%, 삼성SDI가 50% 성장했으나, LG에너지솔루션과 파나소닉은 성장세가 둔화됐다. CATL이 69GWh로 2위 Group과 격차를 벌리며 독보적 1위를 유지한 가운데, BYD가 자사 전기차 판매 호조로 3위로 올라왔으며, CALB, Guoxuan, Sunwoda등 중국 기업들도 고성장을 하고 있다. 배터리 업체별 시장 점유율을 보면, 글로벌 Top 10의
한국자동차연구원(이하 한자연)이 전기차 가격 하락이 예상보다 지연됨에 따라 당분간 시장에서 보조금 효과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국내에서도 정책의 실익을 높일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꾸준히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전기차 보조금은 기본적으로 정부가 차량 대금의 일부를 지원해 전기차의 실 구매가격을 낮춤으로써, 보급을 촉진하고, 수송 부문의 온실가스와 대기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보조금을 통해 자국 완성차 기업의 전기차 내수 판매가 증가하면 생산단가가 줄어들면서 대외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고, 부품·인프라 등 연관 산업의 동반 성장도 기대할 수 있는 만큼, 신산업 육성의 도구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실제로 중국, 일본 등 주요국은 자국산 자동차의 기술적 특성에 유리한 보조금 정책을 운용 중이다. 중국은 중국 정부가 장려하는 배터리 교환 서비스(BaaS) 기술이 적용된 차량은 보조금 기준에서 예외로 인정하며, EREV(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도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다. 또 중국 내에서 테슬라 모델 3가 인기를 끌자 2020년부터 차량가격 30만위안 이상인 전기차는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해 테슬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