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이 창립 95주년을 맞아 2030년 100주년을 향한 중장기 성장 전략과 글로벌 비전을 제시했다. 회사는 13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기념 행사를 열고, 기술 혁신과 글로벌 도약을 핵심 축으로 한 차세대 물류 전략을 전 임직원과 공유했다. 이번 행사에는 신영수 대표를 비롯해 200여 명의 임직원이 현장 참석했으며 전국 사업장 및 해외 법인도 온라인 생중계로 참여했다. 신영수 대표는 기념사에서 “올해는 미래 성장을 위한 기반을 다지는 데 집중한 한 해였다”며 “물류 본연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자동화·AI·데이터 기반의 TES 기술을 확산하며 회사의 핵심 운영 체계를 고도화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CJ대한통운은 고객이 원하는 것을 언제든, 어디서든, 무엇이든 해결하는 물류기업을 지향한다”며 “2030년 글로벌 톱10 물류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전 임직원이 같은 방향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행사는 구성원과 경영진이 자유롭게 소통하는 타운홀 형태로 진행됐다. 신 대표는 올해 주요 사업 성과와 개선 과제를 직접 설명한 뒤, 현장과 온라인을 통해 임직원들의 질의에 답변하며 변화 방향과 회사의 비전에 대해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글로벌 물류
종합 물류 서비스 기업 태웅로직스가 2025년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외형 성장은 이어갔으나 글로벌 물류 환경 악화로 수익성에서는 부담을 안는 모습을 보였다. 태웅로직스는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 8274억 원, 영업이익 55억 원, 당기순손실 49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해 견조한 외형 성장을 이어갔지만, 운임 단가 하락·고정비 증가·환율 변동 등의 여파로 순이익은 적자를 기록했다. 회사는 최근 중앙아시아와 중국을 중심으로 복합운송 네트워크를 확장하며 프로젝트 물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플랜트·건설·에너지 분야 대형 프로젝트 수요가 회복되는 가운데, 태웅로직스는 고부가 화물 중심의 수익 포트폴리오 확대와 신규 파트너십 체결 등을 통해 기존 해운·항공 중심 물류를 넘어 다각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들어 복합운송(멀티모달) 기반 신규 고객사 확보가 증가하면서 물동량은 전년 대비 약 10% 성장했다. 다만 글로벌 무역 둔화와 공급망 변동성 심화가 수익성에 영향을 미쳤다. 회사 관계자는 운임단가 하락, 물류비 상승, 환율 불안정, 일부 지역의 관세 인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영업이익에 부담을 줬다고 설명했다.
CJ대한통운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3조666억 원, 영업이익 1479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1%, 4.4%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택배(O-NE)와 계약물류(CL) 부문이 실적 개선을 주도했으며, 특히 주 7일 배송 체계 ‘매일오네(O-NE)’의 본격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 택배 물량과 수익성이 동시에 성장했다. 택배(O-NE) 부문은 3분기 매출 9650억 원, 영업이익 628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4%, 16.6% 증가한 수치다. 6월 이후 소비심리 회복과 함께 주 7일 배송 체계의 가동률이 본격적으로 상승하며 물량 반등세를 보였다. 특히 당일배송, 새벽배송, 풀필먼트 등 신유통형 물류 서비스의 확대가 실적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매일오네(O-NE) 서비스의 전국 확대와 함께 AI 기반 물류예측, 디지털 배차 시스템 고도화가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다”며 “TES물류기술연구소 중심의 자동화 설비 효율화 프로젝트를 지속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계약물류(CL, Contract Logistics) 부문 역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3분기 매출은 8613억 원으로 전년 대비 1
㈜한진(대표이사 사장 노삼석)이 인플루언서 커머스 시장을 위한 맞춤형 물류 솔루션 ‘원스타(OneStar)’를 공식 론칭하며, K-인플루언서 브랜드의 성장 지원에 나선다. ‘원스타’는 자체 커머스 사업을 운영하거나 브랜드 론칭을 준비 중인 인플루언서를 위한 통합 물류 서비스다. 한진은 인플루언서의 전문성과 팬덤 기반 판매가 새로운 K-브랜드의 성장 경로로 자리 잡고 있다고 보고, 자사 물류 인프라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결합해 인플루언서 커머스 전용 물류 환경을 구축했다. 최근 인플루언서 커머스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K-뷰티를 중심으로 한 인플루언서 브랜드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으면서, 영상 플랫폼 기반 쇼핑 거래액(GMV)은 2025년 5천억 원에서 2028년 6조7천억 원 규모로 13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글로벌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도 올해 약 46조 원으로, 최근 5년간 236% 성장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진은 이러한 변화 속에서 ‘원스타’를 통해 인플루언서가 창업 초기부터 안정적으로 물류를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업자등록번호와 SNS 인증만으로 간편 가입이 가능하며, 별도 계약 절차 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인플루언서
종합 물류 기업 엔터라운드(Enter Round, 대표 권용범)가 국내 냉동·냉장 풀필먼트 서비스와 해외 배송 네트워크를 결합한 글로벌 콜드체인 물류 서비스를 본격 가동한다. 이번 사업은 싱가포르를 시작으로 홍콩, 대만 등 아시아 주요 시장으로 확대되며, 국내 식품 브랜드의 해외 진출 물류비 부담을 줄이고 복잡한 운송 절차를 단일화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엔터라운드는 자사의 핵심 역량인 냉동·냉장 풀필먼트 서비스와 글로벌 배송망을 통합한 신규 물류 솔루션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특히 싱가포르 현지에 냉동차량 기반의 B2C·B2B 배송 네트워크를 완비해, 한국에서 출발한 냉동식품을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는 일관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신선도 유지와 리드타임 단축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됐다. 엔터라운드는 용인 물류센터를 거점으로 냉동·냉장 제품 전용 풀필먼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센터 내부는 온도대별로 구획이 세분화되어 있으며, 제품별 보관·검품·라벨링·포장 등 수출 전 과정을 한 공간에서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국내 재고와 해외 수출 물량을 동시에 관리하는 통합 재고 시스템을 구현했다. 용인센터에서는 싱가포르와 홍콩 등 주요 아시아
로지스올그룹이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피지컬 인터넷 글로벌 워크샵(Physical Internet Global Workshop)’에 참가해 한국의 피지컬 인터넷 이니셔티브 LAPI(Logistics Alliance for Physical Internet)를 소개했다. 로지스올은 아시아를 대표하는 물류기업으로 초청받아 피지컬 인터넷 표준화 및 공동화 모델을 중심으로 물류 혁신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워크샵은 피지컬 인터넷 기반 물류 혁신 전략을 심층 논의하기 위해 EU 산하 물류혁신 협의체 ALICE(Alliance for Logistics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in Europe)와 모빌리티 정책 협의체 POLIS가 공동 주관했다. 유럽 주요 물류기업, 학계, 정책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로지스올은 한국형 피지컬 인터넷 추진 협의체 LAPI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권 협력 모델을 발표했다. 피지컬 인터넷은 물류 네트워크를 디지털 인터넷처럼 상호 연결해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개념이다. 운송, 창고, 포장 등 물류 자원을 개방형 네트워크로 공유·연계함으로써 공동화와 최적화를 달성하는 미래형 물류 체계로, 미국과 유럽을
로지스올그룹이 일본 최대 파렛트 풀링 전문기업 JPR(Japan Pallet Rental)과 함께 진행한 ‘로지스올·JPR 인적교류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교류는 한·일 물류산업의 상호 발전과 글로벌 인재 역량 강화를 위한 실무형 프로그램으로, 양사 간 40년 이상 이어온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추진됐다. 프로그램은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3박 4일간 한국에서 진행됐다. 영업, 회수, 운송, 사업개발, 해외사업 등 JPR의 직무별 우수 직원 10명으로 구성된 방문단이 로지스올 본사 및 주요 계열사, 물류센터를 직접 방문해 선진 물류시스템과 기술력을 체험했다. JPR 방문단은 로지스올의 사업 구조와 운영 노하우를 공유받고, 로지스올 패키징 혁신센터와 MHE테크센터를 비롯해 주요 물류거점에서 운영 효율화 기술과 자동화 시스템을 견학했다. 마지막 일정에서는 로지스올 물류전문도서관 ‘The LogiSCM Library’에서 간담회를 열고, 한·일 물류 표준화와 글로벌 협력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양사는 이번 교류를 계기로 글로벌 물류 인재 양성과 물류 표준 기술 발전을 위한 협력 체계를 한층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글로벌 수출입 물류 플랫폼 기업 트레드링스(TRADLINX, 대표 박민규)가 오는 11월 3일부터 6일까지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리는 ‘2025 아부다비 국제 석유가스 에너지 산업 박람회(ADIPEC)’에 참가해 글로벌 공급망 디지털화 솔루션을 선보인다. ADIPEC은 전 세계 54개국, 2,250여 개 기업이 참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에너지 산업 전시회로, 석유·가스·에너지·친환경 산업 분야의 최신 기술과 혁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글로벌 행사다. 트레드링스는 이번 전시를 통해 에너지 산업의 복잡한 공급망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예측 가능한 운영 환경을 구현하는 자사 핵심 솔루션 ‘TRADLINX Ocean Visibility’를 중심으로 기술력을 집중 소개할 예정이다. ‘TRADLINX Ocean Visibility’는 글로벌 해상 물류 전 구간을 실시간으로 추적해, 수출입 화물의 위치와 운송 현황을 자동 모니터링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머신러닝 기반 ETA(도착 예정일) 예측 기능을 탑재해 선박 운항 일정, 항만 혼잡도, 기상 변수 등을 종합 분석하고, 지연 가능성을 사전에 탐지해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물류 차질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풀필먼트 서비스 ‘품고(Poomgo)’를 운영하는 두핸즈(대표 박찬재)가 국내외 플랫폼의 빠른 배송을 결합하며 통합 풀필먼트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회사는 올해 3분기 기준 누적 국내외 물동량이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를 통해 품고는 설립 이래 최대 매출 달성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브랜드사들은 재고 관리, 복잡한 물류 운영, 빠른 배송 대응 등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에 품고는 브랜드사와 셀러의 성장 파트너로서, 네이버 N배송을 비롯해 카페24·G마켓·아임웹 등 주요 플랫폼과 협력해 빠른 배송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는 풀필먼트 생태계를 구축했다. 특히 지난 8월부터는 카페24 ‘매일배송’과 아임웹 기반 자사몰을 대상으로 24시 주문 마감·주7일 배송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9월에는 G마켓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판매자 스타배송’을 운영 중이다. 실제로 카페24 매일배송을 도입한 한 브랜드는 한 달 만에 자사몰 가입자가 67% 증가하며 빠른 배송이 고객 경험 개선에 직접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고는 자사몰을 비롯한 다양한 판매 채널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할 수
글로벌 물류 DX(디지털 전환) 파트너 콜로세움코퍼레이션(대표 박진수)이 일본 최대 IT·DX 산업 전시회인 ‘2025 Japan IT Week Autumn’에 참가해 AI 기반 풀필먼트 솔루션 ‘Colo AI’를 일본 시장에 공식 선보인다. 이번 행사는 22일부터 24일까지 도쿄 마쿠하리 멧세에서 열리며, RX Japan이 주최하는 일본 대표 IT 비즈니스 전시회다. 콜로세움은 이번 전시에 KDB산업은행이 주관하는 ‘NextONE Japan Roadshow 2025’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참가한다. 이를 통해 AI 물류 기술력과 SaaS 기반 글로벌 물류 플랫폼 역량을 선보이며 일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콜로세움은 이번 전시에서 ‘Colo AI’를 중심으로 자동화 예측 및 통합관리 기술을 소개한다. ‘Colo AI’는 주문부터 입출고, 재고, 정산까지 전 과정을 하나의 플랫폼 내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AI 풀필먼트 SaaS 솔루션이다. 형태소 분석 AI 엔진과 예측 모델을 활용해 주문량, 재고 흐름, 출고 패턴을 실시간 분석하고, 피킹·패킹·배송 시점과 운영 전략을 자동으로 제안한다. 또 포장 박스 자동 추천, 물류비 자동 정산, 모바일 현장
CJ대한통운이 글로벌 BPO(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 전문기업 트랜스코스모스코리아(transcosmos Korea, 이하 TCK)와 손잡고 초국경물류(Cross-Border E-commerce, CBE) 협력 체계 구축에 나섰다. CJ대한통운은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TCK와 ‘CBE 상호 협력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글로벌 셀러의 한국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직구·역직구를 아우르는 통합 물류·마케팅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협약식에는 CJ대한통운 장영호 IFS본부장, 김태호 CBE사업담당, TCK 타니 히로유키 대표, 이정아 대표 등 양사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이번 협력은 CJ대한통운의 글로벌 물류 인프라와 TCK의 디지털 마케팅 및 셀러 지원 역량을 결합해, 상품 기획부터 판매·배송까지 전 과정을 포괄하는 원스톱 이커머스 물류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CJ대한통운은 TCK를 통해 한국 시장에 진출하는 일본 기업에 고도화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전국 단위 물류망과 주 7일 배송 체계를 기반으로, 뷰티·아웃도어·생활용품 등 일본 직구 인기 제품의 빠르고
글로벌 물류 시장이 디지털 전환(DX)의 거센 물결에 휩싸이고 있다. 이커머스 성장과 공급망 불확실성이 맞물리며 포워더(Forwarder)들의 생존 전략이 시험대에 올랐다. 대형 포워더와 IT 기업은 앞다투어 가시성과 자동화로 무장한 반면, 중소 포워더는 여전히 수작업의 벽에 갇혀 있다. 디지털 혁신 없이는 도태될 수밖에 없는 현실이,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은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그 뒤편에는 예측 불가능한 운임 변동성과 불안정한 정시성이 자리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5배 이상 치솟았던 운임은 여전히 불안 요소로 남아 있으며, 화주들은 단순히 저렴한 운송비가 아닌 실시간 추적, 투명한 정보, 그리고 예측 가능한 신뢰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자본과 기술력을 갖춘 글로벌 대형 포워더와 IT 서비스 기업에게는 기회가 되지만, 시장의 90%를 차지하는 중소형 포워더에게는 생존의 위협으로 다가온다. 이제 물류는 단순한 운송을 넘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결과 예측을 구현하는 ‘살아있는 물류’로 진화하고 있다. 이 흐름에 올라타지 못하는 기업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 불확실성의 시대, 물류의
세상의 흐름을 읽는 스마트한 습관 [글로벌NOW] 매주, 세계는 조용히 변화를 시작합니다. 기술이 바꾸는 산업의 얼굴, 정책이 흔드는 공급망 질서, 기업이 선택하는 미래 전략. 세계 곳곳에서 매주 벌어지는 이 크고 작은 변화는 곧 우리 산업의 내일과 맞닿아 있습니다. 글로벌NOW는 매주 주목할 만한 해외 이슈를 한 발 빠르게 짚어주는 심플한 글로벌 브리핑입니다. AI, 제조, 물류,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벌어지는 굵직한 사건과 트렌드를 큐레이션해 독자들이 산업의 큰 그림을 한눈에 파악하도록 돕겠습니다. [AI] 오픈AI, 기업가치 5,000억 달러 돌파…빅테크 AI 경쟁 이끈다 챗GPT(ChatGPT)로 전 세계 인공지능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오픈AI(OpenAI)가 기업가치 5,000억 달러를 달성했다. 이는 최근 현직 및 전직 직원들이 약 66억 달러 규모의 지분을 매각한 데 따른 것으로, 소프트뱅크를 비롯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회사 가치가 단숨에 3,000억 달러에서 2,000억 달러 이상 상승했다. 이번 지분 매각에는 스로브 캐피털(Thrive Capital), 소프트뱅크, 드래고니어 인베스트먼트 그룹(Dragoneer Invest
글로벌 헬스케어 정밀 물류 기업 마켄코리아(MARKEN Korea)가 인천국제공항 내에 바이오의약품 전용 콜드체인 보세물류센터를 공식 오픈하며 국내외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할 새로운 거점을 마련했다. 지난 달 30일 열린 개소식에는 UPS코리아 및 UPS Healthcare 관계자를 비롯해 마켄코리아 경영진이 참석해 테이프 커팅식을 진행했다. 이번에 문을 연 보세물류센터는 연면적 1,411㎡(약 426평) 규모로 GDP(Global Distribution Practice, 의약품 우수 유통관리 기준)에 따라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센터는 ▲항온(15~25℃) ▲냉장(2~8℃) ▲냉동(-15~-25℃) 환경은 물론 ▲-60℃ 이하 초저온 구역까지 지원해 다양한 조건의 바이오의약품 보관이 가능하다. 또 비상 전력 공급 장치와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CMS) 등 첨단 안전 설비를 갖춰 글로벌 수준의 안정성을 확보했다. 이번 센터 개소로 국내외 고객사들은 수입·수출 화물을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면서 물류비 절감과 리스크 최소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드라이아이스 보충 ▲온도 제어 구역 내 재포장(Repacking) ▲콜드체인
세계 최대 특송 기업 페덱스(FedEx)가 아마존 글로벌셀링, 페이오니아와 협력해 국내 이커머스 기업들을 위한 특별 웨비나를 개최한다. 이번 웨비나는 최근 미국 무역 정책 변화로 인한 새로운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 전략과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페덱스는 오는 23일 오후 2시에 열리는 이번 웨비나에서 미국 통상 정책 변화와 관세 규제 강화가 한국 이커머스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다룬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은 15% 상호관세 부과와 ‘드 미니미스(De Minimis)’ 제도 폐지 등 수출입 기업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국내 이커머스 판매자들은 비용 증가와 통관 절차 복잡화라는 이중고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번 웨비나는 페덱스를 비롯해 아마존 글로벌셀링과 페이오니아가 각각의 전문 분야를 맡아 발표한다. 페덱스는 미국 수출입 관련 최신 규제와 통관 문서 요건을 소개하며 변화하는 정책 환경에서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물류를 운영할 수 있는 대응 전략을 공유한다. 아마존 글로벌셀링은 미국 시장 진입 전략과 신규 판매자 온보딩 프로세스를 설명하며, 페이오니아는 글로벌 계좌·결제 솔루션과 함께 구매 전환율을 높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