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위저 인트윗, 멀티스펙트럴, 위저 프로, RTU를 선보인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비즈캠은 인스피라즈의 머신비전 플랫폼이다. 인스피라즈는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양질의 서비스, 최첨단 제품 및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다양하고 고도화된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서 시스템/솔루션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비즈캠의 위저프로는 최신 기능을 보유한 머신 비전 소프트웨어로, 머신 비전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함하면서 뛰어난 생산성과 효율성으로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편의를 제공한다. 표준 PC 기반의 머신 비전 어플리케이션으로 새로운 Wizer 비전 소프트웨어는 최적의 성능과 안정성을 갖추고, 복잡한 프로그래밍 없이 머신 비전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는 올인원 소프트웨어다. 알티유는 비즈캠이 개발한 머신비전 소프트웨어와, 임베디드 산업용컨트롤러(IPC), 카메라, 렌즈, 조명 등을 세트로 구성하여
데키스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계측기, 데이터로거 제품군을 공개하며 이목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데키스트는 전시회에서 라디오노드 네트워크 계측기, 온도관리 데이터로거, 가스·공기질 모니터링 데이터로거 제품군을 선보였다. 라디오노드 네트워크 계측기 RN400은 다양한 센서의 측정을 지원하고 그 측정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측정 센서는 온습도, 공기질, 가스(산소,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황화수소, 이산화탄소, VOC, 미세먼지 등) 등을 지원한다. 라디오노드 계측기 제품은 IT 전문가가 만든 계측기로 기업용 와이파이 보안을 지원하고 고객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강화된 내구성으로 저온에서도 얼지 않고 IP65 이상의 방수방진 설계가 적용됐다. 데키스트는 혁신적인 데이터로거 전문 제조사다. 계측기 ‘라디오노드’ 제품군으로 온도, 습도, 가스 등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면 클라우드 기반의 SaaS형 소프트웨어인 ‘Radionod
지비드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산업용 3D 컬러 카메라를 선보인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비드는 로봇 및 산업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3D 머신 비전 카메라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노르웨이에 본사를 둔 회사다. 지비드는 Zivid One+ 와 Zivid Two 제품군으로 정확하고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3D 컬러 카메라로 스마트 팩토리에 도움을 준다. 지비드의 3D 카메라는 자동 포장, 분류, 조립, 빈 픽킹, 품질 관리 등 다양한 자동화 개발에 쓰일 수 있도록 산업 환경에 최적화되어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주)첨단, (사)한국산업지능화협회, (사)한
제이원코퍼레이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캠 랙, 캠 링, 롤러피니언 등 제품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제이원코퍼레이션은 전시회장에서 캠 링 인덱스 유닛, 캠 링&롤러피니언, 캠 랙&롤러피니언 등을 선보였다. 제이원코퍼레이션의 캠 링 제품은 상시 기어(롤러핀)가 2~3군데 접촉돼 있으므로 정역 방향으로 백래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경제적인 것이 특징이다. 이송 정밀도(회전 일직선비)와 위치결정 정밀도는 정밀 볼스크류급이다. 트로코이드 기어 위를 베어링으로 지지된 롤러가 원활하게 동력을 전달한다. 관계자는 “귀에 거슬리는 기어 맞물림 소리나 운전 소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진동도 적다”고 전했다. 제이원코퍼레이션은 국내에서 캠 랙&롤러피니언 그 외 제로백래시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정밀하고 경제적인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하비스탕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협동로봇용 맞춤형 3D프린팅 그리퍼 온라인 제조 서비스로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하비스탕스는 협동로봇용 맞춤형 3D프린팅 그리퍼 온라인 제조 서비스 ‘그립팜’을 선보였다. 그립팜은 협동로봇용 그리퍼를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맞는 옵션으로 맞춤화해 3D프린팅으로 개별 제조하는 온라인 설계/제조/주문 플랫폼 서비스다. 작업물의 치수, 무게와 로봇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직관적으로 빠르게 맞춤형 경량 그리퍼를 제작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 를 제공한다. 그립팜의 그리퍼 바디는 Markforged사의 Onyx 소재로 3D프린팅돼 가벼우면서 튼튼하다. 작업물 크기 등 사용자의 작업물 정보에 따라 맞춤화된 형상으로 디자인되고, 내부에 진공 라인을 포함하고 있어 원터치 피팅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작업물의 크기에 따라 메인바디 단독 또는 메인바디 + 익스텐션 바로 구성된다. 하비스탕스는
마이크로센서(Micro Sensor Co., Ltd.)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각종 압력 센서, 압력 송신기, 전자기유량계 제품 등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마이크로센서는 전시장에서 압력 송신기 MPM480, 압력센서 MPM281, 전자기유량계 MFE600E 시리즈 등 제품을 선보였다. LED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MPM480 압력 전송기는 오일 탱크 압력 측정에 적합한 일반 및 플래시 다이어프램 유형을 갖추고 있다. 압력 범위는 -1bar...0~0.1bar…1000bar고 아날로그 4~20m 출력 ADC 및 0/1V~5/10V DC 신호 범위를 가지고 있다. MPM480은 CE, UL, RoHS 승인 제품이며, 자체적인 안전 폭발 방지 버전이 있는 선박용 제품이다. 전자기유량계 MFE600E 시리즈는 백라이트와 넓은 온도 범위 LCD 디스플레이를 갖추고 있다. 현장에서 관계나는 “MFE600E는 완벽한 실용적 기능, 시각적 디스플레이,
히스코센서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각종 압력전송기 제품군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히스코센서는 압력전송기 P603, 압력전송기 P601, 압력전송기 P400 등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였다. 압력전송기 P603의 경우 ▲측정압력범위 0.01부터 3MPa ▲Monocrystalline 센서 적용 ▲우수한 정밀도와 안정성 ▲버튼세팅 가능 ▲그래픽LCD ▲방폭인증(Ex d IIC T6 / IP67) 등 특징이 있다. 히스코센서는 각종센서의 국산화를 목적으로 1998년 설립해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개발을 통해 압력, 온도, 레벨 센서를 국내 계측기 시장에 보급하고 있다. 특히, Diaphragm Seal을 자체 개발, 식품 및 의약산업 계측에 필수적인 Sanitary 설계요건에 적합한 계측센서를 통해 수입 제품을 대체하고 있다. 1999년 8월 미국의 계측기 Reconditioning으로 유명한 QSA Inc.와 제휴해 계측현장에서 사용 중인 고가의
한국페트라이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WD PRO 수신기를 비롯한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페트라이트의 WD PRO 수신기인 'WDR-LE-Z2-PRO'는 페트라이트 무선 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일부다. 사용자는 이 무선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활용해 연결된 시그널 타워의 LED 유닛(및 부저) 상태를 무선으로 실시간 수집 가능하며 이를 CSV 파일로 출력·분석해 OEE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WD PRO 수신기는 이전 수신기의 향상된 버전으로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해 작업 현장의 호스트 시스템 및 기타 장치와 쉽게 통신할 수 있다. 페트라이트는 첨단 기술 엔지니어링 및 제조 기업이다. 페트라이트는 작업장과 지역사회의 안전 보안 및 편의를 강화하는 혁신적인 시그널 타워램프, 회전등, 표시등, 경보음 시청각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 터미널 블록 호이스트 스위치 등을 보유하고 있다. 페트라이트는 한국, 미국, 싱가포르, 중국, 유럽, 대만, 멕
맥파이온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모노레일 물류 시스템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맥파이온은 2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독일 몬트라텍 사의 한국 총판으로 2004년부터 국내와 미국, 중국에 몬트랙 모노레일 시스템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한계를 극복한 솔루션으로 인정 받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모노레일 시스템은 짧아지는 생산주기와 품종의 다양화 등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공정라인을 구성하고 스마트한 이송방식을 적용한 장비다. 지난 2004년에 설립된 맥파이온은 독일, 스위스, 미국 등 해외기업의 최첨단 자동화 부품과 솔루션을 도입해 자동차, 화학, 전자, 플라스틱 분야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물류 시스템 제작, 설치 및 유지 보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맥파이온은 차별화된 품질의 제품을 국내 고객사의 환경에 최적화하도록 응용해 안정감 있는 시스템 구축을 진행했다. 이에 현재까지 65건 이상의 국내, 미국, 중국 및 아시아 지역 제
모빅랩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초음파 대역의 음향신호를 활용한 고장진단 AI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제조 설비 고장은 수리 비용뿐 아니라 생산성, 품질, 납기 등 사업 전 영역에 영향을 끼치므로 항시 가용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설비 고장은 진동, 소음, 전류 등의 다양한 이상 신호를 통해 예측하는데, 모빅랩은 소음 신호 특히 초음파 영역대의 음향 신호를 수집 및 분석해 설비 이상을 예측하고 있다. 초음파 신호는 설비의 이상 신호 중 가장 빠른 시점에 발생하는 신호로 충분한 대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기존 다른 센서를 활용한 방식이 적용되기 어려운 다양한 설비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도를 인정받고 있다. 모빅랩은 자체 개발한 고성능의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탑재된 AIoT 디바이스를 통해 최대 1Mhz까지의 음향 신호를 수집하며, 수집된 신호를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 및 분석해 고장을 판단
금성에이스산업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파이프 래킹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금성에이스산업은 파이프 랙킹 시스템을 위한 코팅 파이프, 조인트, 롤러 트랙 등을 생산하고 있다. 지난 2014년에는 세계 시장의 니즈에 맞춰 알루미늄 파이프 랙킹 시스템을 위한 알루미늄 파이프, 알루미늄 조인트를 특허출원해 판매를 진행했다. 알루미늄 제품들을 포함한 파이프 래킹 시스템은 현쟁 개선, 부품선입출용에 주로 사용되며, 완성차 메이커와 자동차 부품 벤더, 전기·전자 제조업체, 우주항공 등 전 산업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주)첨단, (사)한국산
콩가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컴퓨터 온 모듈 솔루션과 네트워크 시스템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콩가텍은 SMARC 에코시스템 프레젠테이션에서 최고의 에너지 효율을 가지며 NXP의 I.MX8 프로세서 패밀리 비전 시스템과 AI 그리고 가장 쉬운 WiFi 구현에 관련된 현실적인 솔루션이라고 밝혔다. 콩가텍은 고객이 새로운 프로세서를 쉽게 디자인하는 것을 목표로, 바로 개발을 시작하도록 깃 허브를 통해 개별적으로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제공해 개발자가 플랫폼을 쉽게 테스트하는데 기여한다. COM Express Type 6 모듈 기반으로 만들어진 Ready-To-Use 플랫폼은 11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또는 인텔 아톰 x6000E 시리즈 프로세서로 구성되며 TSN이 지원되는 다중의 1기가비트 또는 2.5기가비트 이더넷을 제공한다. 콩가텍은 오랫동안 TSN 기능을 지원했으며 이미 가상화 서비스 상에 TSN으로 실시간 동기화하는 개별 플랫폼
윈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설비용 블랙박스를 주력으로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윈텍이 소개한 설비용 블랙박스 '머신아이'는 영상 기반 원격 비대면 공정 및 품질 관리를 위한 영상 수집 장치다. 생산라인의 설비 순간정지 또는 제품 불량이나 설비 알람, 소재의 정상조립 유무, 외관 손상, 이종품 혼입 등을 감시한다. 또한, 영상 스트리밍 기능으로 스마트폰 또는 PC에서 실시간으로 생산 현장을 모니터링해 반도체,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 가능한 안드로이드 APK 기반 장치다. 윈텍은 자동차 부품과 관련된 조립·시험 설비 제작 및 자동화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기업이다. 윈텍은 축적된 자동차 부품 공정 및 설비에 대한 독보적인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 니즈에 걸맞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
삼부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당사의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삼부시스템은 HPC 관련 제품 가운데 네트워크 관련 장비를 비롯해 GPU 서버와 통신 장비 이더넷, NVMe 스토리지 카드, 백업 장비 등 하드웨어를 취급하고 있다. 특히 삼부시스템은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에 주력하고 있다. OPC 서버, OPC Client 소프트웨어, OPC 디벨로퍼 툴킷, CNCnetWARE, MediaRich, 대용량 초고속 파일 전송 솔루션 Aspera, 미디어 소프트웨어 등 각종 소프트웨어를 고객 니즈에 맞게 공급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
Studio 3S 코리아(이하 Studio 3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물류로봇과 물류 관리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무인운반로봇인 'TAGON Shelf Lifter'는 선반 아래로 진입한 후 수직으로 들어 올려 다음 위치로 운반하게끔 돕는 로봇이다. 선반 아래에서 360도 회전해 이동 방향에 제약이 없으며, 다른 선반을 피해 목적까지 운반한다. 이뿐 아니라 보관 중인 선반 사이의 간격과 이동에 필요한 통로 폭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간 효율을 최대로 높인다. 또한, 작업자가 제품을 찾아 돌아다니며 직접 피킹하는 기존 방식 대비 로봇이 제품이 있는 선반을 작업자에게 가져오는 방식으로 최대 9배 높은 물류 처리량을 달성한다. 자율 케이스 핸들링 로봇은 최대 높이가 6.5m로 높은 층고 활용을 통해 재고 보관 밀도를 높이고 GTP 시스템과 결합해 빠르고 안전하게 상품을 피킹하는 효율적인 로봇이다. 다층 구조의 선반에 있는 제품을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