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EXPO KOREA 2022 성황...‘산업 관계자부터 학생들까지 발길’ 한국인공지능협회, 서울 메쎄, 인공지능신문이 공동 주최한 국제인공지능대전(AI EXPO KOREA 2022)이 4월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 D홀에서 개최됐다. 2018년을 시작으로 매해 열려, 올해 5회째를 맞은 국제인공지능대전은 인공지능 분야 국내 최대 전시회일 뿐 아니라, 아시아 2대, 세계 7대 인공지능 전시회다. 올해 행사에는 230여개 기업 및 기관이 400여 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전시회 현장에는 산업계 관계자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과 중고등학생까지, 다양한 방문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아, 어느 때보다 뜨거운 인공지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실감할 수 있었다. 함께 개최된 'AI Tech 인공지능 융합 비즈니스 개발 컨퍼런스 2022'를 비롯한 AI 정부 사업 설명회, AI EXPO KOREA SUMMIT 기술 발표 세미나 등도 빈자리를 찾아보기 힘들 만큼 관람객들의 열기가 대단했다. AI+X Conference 모빌리티, 로봇, 헬스케어, 스마트팩토리 등 각 산업 AI융합 사례 발표 세미나에서도 많은 관람객들이 발표자의 발표에 열중하는 모습을 확인
아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공장자동화 AI SMART CAMERA, 가공기 계측기, 지진 대책 장비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아솜은 각종 AI디바이스의 글로벌 브랜드인 HMS사의 SinGRAY AI SMART 카메라 등의 디바이스와 중국의 동정광학(DZO)렌즈, 일본의 OPTEX FA조명의 한국 총판이다. 엔케이-2000은 여러 종류의 가공기에서 가공품을 떼어내지 않고도 계측이 가능하며, Chuck상태 그대로 가공 치수의 파악도 가능하여 그대로 추가 가공이 가능해 완성품의 정도를 향상하고 가공 시간을 단축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헬로티 함수미
크래비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리모트 I/O, 산업용 카메라, IPC 블록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크래비스는 산업제어의 핵심기술인 필드버스를 국내 상품화에 성공하고, 외국 선진업체에 공급하며 그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을 검증 받은 업체다. ISO9001 인증으로 품질관리 시스템을 공인 받았으며, 해외에서는 CE 인증서를 획득하는 등 다양하고 통합적인 필드버스 솔루션을 확보했다. 크래비스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편광 카메라는 신규 출시된 편광 저속 센서(IMX264MZR) 적용해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며 가격은 낮춘 제품이다. 영상/기능 확인 전용 툴을 제공하며, 0°, 45°, 90°, 135° 4ch 동시 출력 기능 제공한다. IPC 블록 시리즈는 컴팩트 사이즈로 비전모듈과 I/O 모듈을 확장 가능한 산업용 PC다. 다양한 산업용 프로토콜 호환 가능하며, 100종 I/O 모듈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전 어
에드몬드옵틱스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다양한 테크스펙 렌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에드몬드옵틱슼토리아가 선보인 TECHSPEC 1.1” HP Series Fixed Focal Length Lenses는 공장 자동화 및 머신 비전의 까다로운 요건을 충족하도록 설계된 제품이다. 두 번째, TECHSPEC TitanTL Telecentric Lenses는 넓은 FOV가 요구되는 머신 비전 시스템과 계측 용도에 적합하도록 설계됐다. 마지막으로, 반도체 및 전자기기의 검수, 측정, 경량 용도를 위해 설계된 제품인 TECHSPEC CoTECHSPEC PlatinumTL Telecentric Lenses를 선보였다. 이 렌즈는 고진동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탈부착식 recessed set screw를 가지고 있어 조리개를 제자리에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
사이더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비젼 카메라, AI 카메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사이더스는 미국의 이콘시스템스 사의 국내 대리점으로 이콘시스템스 사의 비젼 및 AI 그리고 임베디드용 카메라 모듈을 국내의 자율주행 차, 자율주행 로봇, 자율운항 선박, 스마트 의료 장비, 코로나 PCR 검사 장비, 온라인 교육 장비 등의 다양한 분야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공급하고 있는 회사다. 사이더스가 이번 전시회에 선보인 STURDeCAM20_CUXVR 제품은 온세미 2메가픽셀의 AR0230AT 센서를 사용한 풀에이치디(Full-HD) 멀티플(Multiple) 지엠에스엘2(GMSL2) 카메라로 엔디비다 젯슨 에이지엑스 자비어 개발 키트(NVIDIA AGX Xavier Developer kit)와 같이 사용이 가능하다. STURDeCAM20_CUXVR 제품은 풀에이치디(Full-HD) 에이치디알(HDR) 지엠에스엘2(GMSL2) 카메라와 방수 인증(
CC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산업용 조명, 컨트롤러, 기타 광학 컴포넌트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CCS는 자회사 GARDASOFT의 제품과 더불어 다양한 산업용 조명, 컨트롤러, 기타 광학 컴포넌트를 선보여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GARDASOFT VISION은 머신 비전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고성능 조명 펄스 컨트롤러, LED 스트로브 컨트롤러, 액체 렌즈 컨트롤러 및 타이밍 컨트롤러를 설계 및 제조한다. Shadow Metric System을 이용해 표면 불량 검사를 할 수 있는 HIVE VISION의 특수 조명 시스템도 전시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지테크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멀티 모듈 컨트롤러(MMC) 등 컨트롤러 제품들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테크시스템이 자체 개발한 MMC는 6개 모듈을 1개의 컨트롤러에 내장해 공간 효율성 확보했고, EtherCAT & POE를 지원해 네트워크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안정적인 전원 설계로 과전압, 과전류를 사전 차단하고, 모듈 별 핫 스왑 기능을 지원해 유지 보수가 쉽도록 했다. 함께 전시된 'FLX06R01' 역시 지테크시스템의 자체 개발 제품이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를 포함한 모든 자동화 산업 장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소형화 PC로 공간 효율성을 확보했고, NVMe M.2 Slot을 내장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였다. 전면 2.5" SSD Rack 2개를 지원해 여유 용량을 확보했으며 다수 I/O 및 PCI Card Slot을 지원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삼원액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리모트 I/O 터미널 보드, 케이블 시스템, 신개념 전원분배블럭 등 솔루션으로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삼원액트가 전시한 리모터 I/O 터미널 보드는 다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 가능하며, 정확한 동기화 성능으로 모션제어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리모트 I/O 교체 시 단자대 배선을 해체하지 않고 단자 부분만 분리해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삼원액트는 또한 케이블 시스템 에코플렉스를 선보였다. 에코플렉스는 LCD 및 OLED, 반도체 설비의 클린룸에서 사용하는 케이블 베어 내 케이블을 포설하는 부분에 대체 적용해 분진발생 및 소음, 수명으로 인한 유지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킨 케이블 시스템이다. 부스 한편에 함께 전시된 삼원액트의 전원분배블럭은 부스바(Bus-bar) 제작이 필요없는 신개념 전원분배블럭이다.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으며, 케이스 일체형 IEC 표준으로 제
노바인스트루먼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데이터로거, 압력센서, 노점 측정기 등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노바인스트루먼트는 Driesen + Kern의 다양한 데이터로거를 전시했다. Driesen + Kern의 데이터로거는 기본 8, 16채널로 구성되며,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온도, 습도, 풍속, 압력 등 다양한 센서와 결합해 사용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열전대 및 저항식 PT100센서의 연결이 가능하며, 특히 PT100센서의 경우 ± 0.3℃ 의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 SD카드를 이용, 데이터를 최대 1억개까지 저장할 수 있다. Halstrup-Walcher의 다양한 차압센서 및 차압 교정장비도 함께 전시됐다. P26, P34 차압센서의 경우 최소 10 Pa 범위로 다양한 옵션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류 및 전압 출력을 이용해 측정값을 외부에 전달할 수 있으며 범위에 따라 정확도 0.2% F.S까지 구성할 수 있다. 센서 뿐만 아
더블에이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공급 중인 스트라타시스 3D프린터와 장비로 제작된 시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더블에이엠은 3D 프린팅 솔루션 기업인 스트라타시스의 플래티넘 파트너사로, 스트라타시스의 다양한 산업용 전문 3D프린터를 국내 고객에게 공급하며, 전문 엔지니어를 통해 해당 프린터에 대한 기술 지원 및 CS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더블에이엠의 적층제조센터에서는 다수의 FDM, POLYJET, SL(SLA), P3(DLP) 방식의 다양한 3D프린터를 운용하고 있어 국내 각 산업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3D프린팅 시제품 제작, 지그 & 픽스처 및 최종 사용 파트 제작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3D스캐닝, CAD 디자인 및 3D프린팅 소프트웨어 등 3D프린팅을 위해 필요한 모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
현우데이타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공급하는 3D프린터와 장비로 제작된 시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산업용 3D프린터를 취급하는 현우데이타시스템은 HP 한국 공식 대리점이다. 동시에 프리즘랩·테크진 사의 한국 총판으로서 산업용 3D프린터 판매, A/S, 시제품 제작, 및 고객 1대1 맞춤형 3D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우데이타시스템은 이번 전시에서 HP 4200과 HP 5200에 대해 소개했다. 사출보다 강한 강성을 자랑하는 플라스틱 3D프린터로서 언패킹을 제외한 모든 재활용 과정이 자동화한 산업용 장비다. 공급 중인 프리즘랩 SLA600은 ABS와 같은 레진을 사용해 조형하는 3D프린터다. 제작 가능 사이즈 및 재료비가 경쟁력 있는 장비로, 가성비가 좋으며 표면이 매끄러우면서 탄성과 강성 또한 높은 것이 특징이다. 끝으로, 현우데이타시스템이 소개한 테크진의 TS300은 금속 3D프린터로, 기존 금속 3D프린터에서 사용했
브라이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당사의 케이블 제품군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브라이트코리아는 고객 중심, 유연성, 본질 추구, 전체 최적화, 최고지향이라는 5대 핵심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브라이트코리아는 스마트 팩토리 분야에서 고객 중심적 사고와 축적된 경험으로 다양한 케이블 솔루션을 제안하고 있다. 브라이트코리아는 일반 케이블에서부터 특수 케이블에 이르는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함으로써 목적에 적합한 케이블 컨설팅을 진행하며 엄격한 품질 관리와 효율적 생산 시스템을 통해 고객사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IPLUSMOBOT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스마트제조 물류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IPLUSMOBOT은 아이플러스모봇은 중국 산업 물류 자연항법 AMR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는 등 자율주행 로봇 분야에서 글로벌 선도기업 중 하나다. 지난 2016년에 설립된 IPLUSMOBOT은 중국 항저우에 본사를 두고 톈진, 선전 등의 지역에 자회사를 세웠다. IPLUSMOBOT은 물류 자동화, 디지털 및 지능형 제품을 제조 산업에 제공하고, 고객사가 순환 자원뿐 아니라 구성 및 운영 효율성을 높이도록 지원한다. 지금까지 IPLUSMOBOT은 반도체, FPD, 전자, 배터리, 태양광, 자동차, 항공, 가전, 제약, 에너지, 식품 등 다양한 업종에 솔루션을 적용해왔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
비스텔리젼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공정 엔지니어링 및 스마트팩토리 예지보전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비스텔리젼스는 고객 경험의 만족도를 극대화하도록 팩토리 전체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정보화 전략 컨설팅, 시스템 확장 및 운영, 공동 개발, 유지보수, 기술지원 및 교육까지 고객 맞춤형 토탈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비스텔리젼스는 보유한 핵심 솔루션 및 솔루션 엔지니어링 기술을 고객의 제조 환경에 최적화해 맞춤화된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당사의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을 고객의 제조 환경에 맞게 다양한 디지털 기술과 융합해 새로운 가치 창출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커스텀 솔루션 개발 서비스도 제공한다. 비스텔리젼스가 제공하는 설비 모니터링 및 분석 솔루션은 제조 설비·센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해 기업의 주요 자산인 설비를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 솔루션은 실시간 모니터링,
한영넉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각종 포토센서, 근접센서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한영넉스는 표준형 포토센서 PB series를 전시했다. PB series는 25.4mm 표준 취부홀 채용하고 자사 신규 ASIC 칩을 사용해 동작 안정화, 장거리 검출을 실현했다. VR에 의한 편리한 동작모드 선택이 가능하고 감도조절 VR이 내장돼 있다. 출력 단락 알림 기능으로 과부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우수한 내노이즈 특성 및 외란광 영향 최소화를 실현했다. 한영넉스는 UP 고주파발진형 원주형·각주형 근접센서를 전시했다. 해당 센서는 ▲세계최초 C-MOS 전용 I.C 채용 ▲폭 넓은 사용전압(5- 35 V d.c : 직류 3선식) ▲내노이즈 강화회로 외 특허 4건 ▲2선식 무극성 적용 등 특징이 있다. 1972년에 설립된 한영넉스는 자동차, 반도체, 플라스틱, 고무, 포장, 공작기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필요한 약 2만4000여종의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