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인재 양성 및 공동 연구 확대 도모...AI 에이전트 기술 개발 공식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AI 스타펠로우십 지원사업’ 기반 파트너십 4차원(4D) 시공간, 다감각 정보, 6대 로봇 기술 등 융합한 초지능형 AI 에이전트 핵심 기술 확보 정조준 원익로보틱스가 서울대학교 인공지능대학원(이하 서울대AI대학원)과 인공지능(AI) 인재 양성 및 공동 연구 확대에 공감했다. 양 기관의 이번 협력체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AI 스타펠로우십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결성됐다. 초지능형 AI 에이전트(AI Agent) 핵심 기술을 공동 확보하고, 인력 교류 및 교육과정 협업을 통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특히 AI 스타펠로우십 사업은 서울대학교가 주관기관으로, 원익로보틱스가 협력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강유 서울대AI대학원 주임교수는 이번 협력에 대해 “AI 에이전트 분야의 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고, 신진 연구자들이 세계적 수준의 AI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비전을 밝혔다. 이들은 4차원(4D) 시공간 데이터, 오감(5Senses) 및 6대 로봇 기술(6R) 등을 융합한 초지능형 AI 에이전트 핵심 기술을 확보하기로
스마트 시티 구현의 중심에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은 도시의 안전과 교통 효율을 좌우하는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스마트 시티의 핵심, 지능형 교통 시스템 구축 전략’ 웨비나는 글로벌 ITS 시장의 흐름부터 지능형 교통 인프라에 요구되는 하드웨어 기술, AI 기반 LiDAR 활용 사례까지 실무 중심으로 구성됐다. 모빌리티, 도로 인프라, 교통 데이터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다. 첫 발표에서 김경연 어드밴텍케이알 책임은 ‘ITS 핵심 트렌드로 보는 스마트 모빌리티 혁신’을 주제로 글로벌 및 국내 ITS 동향을 소개하고, 교통 관리·안전·효율화 중심의 기술 발전 방향을 설명한다. 이어 김승환 어드밴텍케이알 매니저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 솔루션과 제품 라인업을 소개하며, ITS 인프라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구성 요소를 상세히 다룬다. AI 기반 센싱 기술도 주요 주제로 포함됐다. Itai Dadon Ouster 부사장은 ‘AI-Powered LiDAR: Redefining Road Safety’ 세션에서 LiDAR 센서가 도로 안전과 교통 상황 인식을 어떻게 고도화하는지, AI
스마트 시티 구현의 중심에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은 도시의 안전과 교통 효율을 좌우하는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스마트 시티의 핵심, 지능형 교통 시스템 구축 전략’ 웨비나는 글로벌 ITS 시장의 흐름부터 지능형 교통 인프라에 요구되는 하드웨어 기술, AI 기반 LiDAR 활용 사례까지 실무 중심으로 구성됐다. 모빌리티, 도로 인프라, 교통 데이터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다. 첫 발표에서 김경연 어드밴텍케이알 책임은 ‘ITS 핵심 트렌드로 보는 스마트 모빌리티 혁신’을 주제로 글로벌 및 국내 ITS 동향을 소개하고, 교통 관리·안전·효율화 중심의 기술 발전 방향을 설명한다. 이어 김승환 어드밴텍케이알 매니저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 솔루션과 제품 라인업을 소개하며, ITS 인프라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구성 요소를 상세히 다룬다. AI 기반 센싱 기술도 주요 주제로 포함됐다. Itai Dadon Ouster 부사장은 ‘AI-Powered LiDAR: Redefining Road Safety’ 세션에서 LiDAR 센서가 도로 안전과 교통 상황 인식을 어떻게 고도화하는지, AI
카스퍼스키가 사이버 보안 인재 양성을 목적에 둔 디지털 플랫폼 ‘사이버 패스웨이’를 공개했다. 기업과 조직의 위협 환경이 복잡해지는 상황에서 보안 전문 인력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지속되며 현업에서 요구되는 실무형 역량 강화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카스퍼스키는 이번 플랫폼을 통해 보안 직무 이해와 기술 학습을 체계화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며 인재 부족 문제를 해소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사이버 패스웨이는 주요 보안 직무, 핵심 기술, 필수 도구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용자는 인터랙티브 진단 테스트를 통해 본인의 전문성 수준을 확인하고 여러 직무 중 가장 적합한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이 테스트는 사이버 보안 입문자, 고급 전문가, 조직 및 기업 등 세 그룹을 기준으로 설계됐으며 각 그룹의 목적과 수준에 따라 직무 방향성을 제시하는 구조다. 또한 사이버 보안 입문자부터 숙련된 전문가까지 폭넓은 사용자를 위한 지식 기반을 제공한다. 플랫폼의 중심 구성에는 ‘카스퍼스키 사이버 히어로즈’가 포함돼 있으며 사용자는 여섯 가지 핵심 분야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위협 인텔리전스, 악성코드 분석, 보안 운영, 보안 평가, 네트워크 보안, 정보
[세 줄 요약] AI 기반 공격 확산 속 팔로알토 네트웍스, 이그나이트 서울 2025에서 보안 전략 제시 유닛42 한국 전담 조직 공식 출범으로 현지 대응·위협 인텔리전스 강화 브라우저·클라우드·AI 공격 증가에 맞춘 차세대 보안 아키텍처 강조 팔로알토 네트웍스가 지난 18일 서울에서 개최한 ‘이그나이트 온 투어 서울 2025’가 성황리에 진행됐다. 행사에는 국내 주요 보안 리더와 산업 전문가가 참석해 AI 시대 급증하는 위협과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회사는 AI 기반 공격이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상황에서 한국 기업을 위한 새로운 보안 로드맵을 발표하고 위협 인텔리전스 및 사고 대응 조직인 유닛42(Unit 42)의 국내 공식 론칭 소식을 전했다. 미디어 브리핑에서 환영사를 맡은 박상규 팔로알토 네트웍스 코리아 대표는 지난 1년간 한국 기업 전반에서 발생한 침해 사고를 언급하며 현재 보안 환경을 “더 이상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없는 비상시국”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기업들이 마주한 현실을 세 가지 질문으로 설명했다. “왜 우리나라 기업에 해킹이 이렇게 자주 일어나는가, 우리 회사는 안전한가, 그리고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며 최근 사고들이
엔닷라이트, 3차원(3D) 모델링 엔진 및 컴퓨터지원설계(CAD) 데이터 자동 생성 기술 공급 에이로봇,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술 결합 로봇 인공지능(AI) 학습·시뮬레이션 분야서 시너지 창출 나선다 엔닷라이트와 에이로봇이 로봇용 3차원(3D) 합성 데이터 개발에 협력한다. 이번 협력체계 구축은 피지컬 AI(Physical AI)와 로봇 인공지능(AI) 학습 및 시뮬레이션 분야에서 각자의 역량을 극대화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로써 양사는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개발에 필수적인 정밀 3D 합성 데이터의 대량 생산 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제조·물류 등 실제 산업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로봇 AI 학습 파이프라인을 공동 개발하는 것이 이번 파트너십의 궁극적 목표다. 엔닷라이트는 피지컬 AI 기반 로보틱스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인공지능(AI) 반도체 및 컴퓨팅 기술 업체 엔비디아(NVIDIA)가 주관하는 스타트업 경진대회에서 결선에 진출했다. '엔비디아 인셉션 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NVIDIA Inception Startup Grand Challenge)' 파이널리스트로 선정된
SAP코리아가 금융권 클라우드 도입 과정에서 요구되는 CSP 안전성 평가를 완료했다. 금융보안원이 수행하는 CSP 안전성 대표평가는 금융사가 상용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을 도입할 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절차로, 국내 금융사들이 클라우드 ERP와 HR 시스템을 검토할 때 핵심 근거로 활용된다. 금융권에서 클라우드 전환이 본격 확대되는 시점에 SAP코리아는 주요 솔루션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공식적으로 확인받으며 도입 장벽을 낮추는 기반을 확보했다. 이번 대표평가는 SAP S/4HANA Cloud Private Edition과 SAP SuccessFactors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SAP코리아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대표평가를 통과한 CSP가 됐다. 국내에서는 KB국민은행, SC제일은행, 케이뱅크 등이 SAP SuccessFactors를 도입하며 클라우드 기반 HR 시스템을 구축해 왔다. 금융보안원의 대표평가 결과는 이들 금융사가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과 운영 안정성을 검증할 때 참고 지표로 사용되며 SAP 솔루션의 도입 확산에도 기여하게 된다. SAP S/4HANA Cloud Private Edition은 전사적자원관리 분야의 클라우드 기반 ERP 솔루션으로 유
세일포인트가 ‘아이덴티티 보안의 핵심 트렌드와 전략’ 보고서를 발표하며 아이덴티티 보안이 기업 보안 투자 가운데 가장 높은 ROI를 제공하는 영역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급속한 기술 변화 속에서 아이덴티티 보안이 단순 백오피스 통제에서 벗어나 민첩성과 효율성을 확보하는 전략 플랫폼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AI 도입 확산과 함께 아이덴티티 보안의 성숙도 기준이 높아지면서 선도 기업과 후발 주자 간의 격차도 뚜렷해지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조직 중 약 63%가 여전히 기초 단계에 머무르고 있으며 고도화 단계에 도달한 조직은 10% 수준이다. 일부 기업은 성숙도가 후퇴한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높은 수준의 기준이 새로 제시된 데 따른 결과다. AI 에이전트 보안, 정교한 아이덴티티 데이터 모델, 적시적 접근 제어 등이 성숙도 달성을 위한 필수 기준으로 추가되며 단순 자동화만으로는 대응이 어려운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매트 밀스 세일포인트 사장은 “보고서에 따르면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아이덴티티 관리가 보안 투자 중 최고 ROI 창출 요인으로 부상해 기업의 비용 절감, 리스크 경감, 성장 가속화에 기여하고 있다”며 “오늘날 아이덴티티는 정
벡터코리아가 미래자동차 보안 인재 양성을 위한 ‘AutoHack 2025’ 후원을 통해 자동차 보안 분야의 실전 역량 강화에 나선다. 이번 대회는 국민대학교 미래자동차사업단이 주관하고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부산광역시,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단 등이 공동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 자동차 해킹·방어 경진대회로 예선과 본선 사전 교육을 거쳐 부산 벡스코에서 본선이 진행된다. 벡터코리아는 원활한 대회 운영과 참가자 실력 향상을 위해 실질적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본선 참가자에게 CANoe 라이선스를 지원하고 시뮬레이션 환경, 가상 차량 문제, 테스트 장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선 대비 교육과 멘토링에 참여해 산업 현장을 기반으로 한 학습 경험을 지원한다. 단순 후원을 넘어 자동차 보안 인재 육성을 위한 전략적 협력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대회는 이론보다 실습 중심으로 구성됐다. 예선에서는 취약점 분석과 리버싱 등 기초 보안 기술을 평가하고, 본선에서는 무인이동체를 대상으로 한 공격 시나리오 분석과 방어, 퍼징 기법 적용, 침입 탐지 시스템 구현 등 고난도 과제가 이어진다. 벡터코리아는 자사의 사이버보안 테스트 경험을 바탕으로 챌린지 문제를 제작해 CANoe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서 자사 반자동 방제기 최신 제품 시연 내년 1월 정식 출시를 앞두고 연말까지 사전 예약 행사 진행 아이오크롭스가 지난 19일 경북 상주 소재 상주스마트팜혁신밸리에서 최신 반자동 방제기 제품을 시연하고 정식 출시를 본격화했다. 이날 현장에는 전국 스마트팜 기술 보급 및 연구 담당자가 참석해 아이오크롭스의 방제기를 경험했다. 시연은 전국 스마트팜 기술 담당자들이 참관한 가운데 진행됐다. 먼저 무거운 농약통을 조종기로 레일 시작점까지 이동시키는 작업이 공개됐다. 이후 작업자가 간단한 버튼을 조작하면, 방제기는 레일을 진입·진출하며 방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했다. 이 두 단계를 결합한 반자동 작업 방식은 작업자의 부담을 크게 줄이면서 정밀 방제를 구현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시연에 참관한 농업 관계자들은 조작 편리성, 직관적인 화면 구성, 강력한 방제 분사력, 다국적 언어 지원 기능 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해당 최신 반자동 방제기는 자동 조향 시스템을 탑재한 점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전문지식 없이도 누구나 쉽게 조작 가능하며, 250L 방제 탱크로 시간당 약 1000평 규모의 방제 작업을 지원한다. 또한 제품에 적용된 10
중소벤처기업부는 24일 열린 첫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활용·확산을 위한 지원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국가 AX 대전환’의 일환으로 AI 민생 10대 프로젝트 추진방향, 국방 AX 발전 전략, 과학기술 AI 국가전략과 함께 중소기업 AI 활용·확산 지원방안이 주요 의제로 상정돼 확정됐다. 중기부가 제출한 이번 방안은 최근 글로벌 100대 AI 스타트업에 국내 스타트업이 포함되지 못한 상황과 대기업 대비 낮은 중소기업의 AI 활용률,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지역 격차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AI 대전환 시대로 접어든 가운데 기술개발을 선도할 벤처·스타트업 육성과 중소·소상공인의 AI 활용 확산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판단이다. 중기부는 기존 정책과 향후 추진할 AI 관련 사업을 통합해 ▲혁신 AI·딥테크 스타트업 육성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중소·소상공인 AI 활용·확산 촉진 ▲AI 활용 기반 구축 등 네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먼저, AI 유니콘 육성을 위해 기업 성장단계별 집중 투자를 포함한 ‘NEXT UNICORN Project’를 추진하고, 구글·엔비디아 등 글로벌 기술기업과 국내 스타트업
원/달러 환율은 25일 미국 금리 인하 기대와 당국 개입 경계감 속에 1470원대 초반으로 하락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일보다 4.7원 내린 1472.4원이다. 환율은 1.9원 낮은 1475.2원으로 출발한 뒤 1470.6∼1477.0원에서 등락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 인하 기대가 확산한 가운데 위험선호 심리가 일부 회복됐다. 코스피는 전일보다 11.72포인트(0.30%) 오른 3857.78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약 1160억 원을 순매수했다. 외환당국이 거듭 환율 안정 의지를 밝히고 있는 점도 환율 하락 요인이다. 기획재정부는 전날 보건복지부·한국은행·국민연금과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확대 과정에서의 외환시장 영향 등을 점검하기 위한 4자 협의체를 구성했다면서 첫 회의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보다 0.06% 오른 100.204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9.36원이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인 943.08원보다 3.72원 하락했다. 엔/달러
로봇 휠체어 시장 확대 목표...한국 내 신제품 판매, 글로벌 시장 공동 진출, 공급망 최적화, 공동 기술 개발 등에서 협력 인공지능(AI) 서비스 로봇 기술 업체 에브리봇의 자회사 에브리봇모빌리티가 로봇 휠체어 시장 점유율 확보에 나선다. 사측은 중국 소재 스마트 로봇 휠체어 업체 ‘상하이방방로보틱스’와 함께 글로벌 로봇 휠체어 시장 사업 확대를 꾀한다. 여기에 원가 절감, 공동 기술 개발을 통한 개인용 모빌리티 시장 주도를 목표로 한다. 양사는 세부적으로 상하이방방로보틱스의 신제품을 국내에 전파하는 활동을 함께 전개한다. 또한 글로벌 시장 공동 진출, 판매 제품 및 채널 다각화, 원가 절감 및 효율성 제고, 공급망 최적화, 공동 기술 개발 등에 힘을 합칠 예정이다. 에브리봇모빌리티는 지난해 자체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고 AI 자율주행 휠체어 연구개발(R&D)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최근 정부 주관 벤처기업 인증 제도 ‘혁신성장유형 벤처기업인증’을 취득하며 기술 혁신성 및 사업 성장성을 인정받은 바 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벡터코리아는 미래자동차 보안 인재 양성을 지원하기 위해 오는 26일부터 28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AutoHack 2025(2025 자동차 해킹·방어 경진대회)’를 공식 후원한다고 25일 밝혔다. AutoHack 2025는 국민대학교 미래자동차사업단이 주관하고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부산광역시,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단 등이 공동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자동차 보안 경진대회다. 예선은 11월 1일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본선 대비 교육은 11월 15일 오프라인으로 열렸다. 벡터코리아는 이번 대회의 원활한 운영과 참가자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실질적 후원을 제공한다. 본선 참가자에게 CANoe 라이선스와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대회에 필요한 가상 차량 문제, 시뮬레이션 환경, 테스트 장비 등을 지원한다. 또한 본선 대비 교육과 멘토링에도 참여하며 단순한 후원을 넘어 현장 중심 인재 양성을 위한 전략적 협력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대회는 이론 중심이 아닌 실습 기반 미션으로 구성됐다. 예선에서는 취약점 분석(Pwnable), 리버싱(Reversing) 등 보안 기초 기술을 평가하며, 본선에서는 무인이동체(CAN, RF, GPS 등)를 대상으로 공
동물 복합문화공간 ‘반려마루’에 스팀 진공 물걸레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 제공...사회공헌 활동 정책 전개 “동물 보호시설 청소 환경 개선 및 복지 향상 캠페인 지속” 로보락이 국내 최대 규모의 반려동물 복합문화공간 ‘반려마루’에 자사 각종 청소 제품을 전달했다. 이번 활동은 사측의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반려마루 운영 업체인 'ha인터랙션'에 스팀 진공 물걸레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를 기부했다. 이는 까다로운 위생 기준을 가진 보호동물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공공 협력을 통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앞으로 로보락의 청소 솔루션을 활용하게 될 반려마루는 경기도가 동물 보호 및 복지 향상과 성숙한 반려 문화 확산을 위해 조성한 시설이다. 약 2700평 규모의 동물 생활 공간과 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총 다섯 개 동으로 구성된 대규모 공간이다. 여기서는 보호동물의 체계적인 관리와 입양 활성화를 위한 전문적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로보락은 반려동물 보호시설의 특성상 일반 실내 환경보다 청소 빈도가 높고 위생 기준이 까다로운 점을 고려해 고성능 청소 솔루션을 지원했다. 이 가운데 반려마루 내 보호동물들의 생활 공간에는 스팀 진공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