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투에스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 품질검사에 특화된 각종 머신비전 솔루션을 부스에 전시한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비투에스는 머신비전 하드웨어 솔루션 공급부터 컨설팅, 기술 서비스까지 지원하는 머신비전 토털 솔루션 업체다. 올해 전시장에는 반도체·이차전지·PCB 등 산업 공정 내 품질검사 기술을 한데 펼친다. 먼저, 비넥스(VIENEX) CIS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 로드 렌즈, 광원 등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바(Bar) 타입 라인 스캔 이미지 모듈이다. 렌즈 앞에서 물체까지의 거리를 뜻하는 Working Distance(WD)가 50mm로 설계돼 다양한 조명 활용을 지원하고, 기구 간섭을 최소화했다. 또 소형·경량화 디자인으
어드밴텍이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각종 파트너십으로 탄생한 산업용 컴퓨팅 솔루션을 선보인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어드밴텍은 1983년 대만에서 설립된 산업용 컴퓨터(IPC) 기술 업체다. 고객·파트너·이해관계와의 공동 성장 철학을 기반으로, 인공지능(AI) 자동화 솔루션을 지속 고도화하고 있다. IPC 및 솔루션뿐만 아니라 에지 AI(Edge AI) 플랫폼, 에지 디바이스, IoT 게이트웨이 등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올해 AW 2025 전시장에는 컴퓨팅 시스템 ‘MIC-732-AO’와 GPU 서버 ‘SKY-602E3’가 참관객을 맞이한다. MIC-732-AO는 엔비디아(NVIDIA
그리퍼 기술 업체 테솔로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전한다. 이 자리에서 다양한 형태의 그리퍼 솔루션을 참관객에게 선보여 눈길을 사로잡을 계획이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테솔로는 ‘능숙한 로봇 손으로 가치를 드높이다(Enhance with Dexterous Robotic Hand)’를 비전으로, 로봇 그리퍼 및 자동화 솔루션을 산업에 제시하고 있다. 테솔로 관계자는 “유연성·확장성을 갖춘 그리퍼를 통해 로봇의 활용 무대를 넓혀가는 중”이라고 소개했다. 이러한 철학을 기반으로, 그리퍼 시리즈 ‘델토 그리퍼(Delto Gripper)’를 각종 공정에 전파하는 중이다. 델토 그리퍼는 두 손가락 2지 모델 ‘델토 그리퍼-2F(DG
Q. 귀사의 주력사업, 경쟁력 등 간략한 회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오즈레이㈜는 1984년 엔아이피(NIP)라는 사명으로 출발하였습니다. 당사는 머신 비전 컴포넌트를 꾸준히 수입 및 판매해왔으며, 2013년부터는 적외선 카메라를 직접 개발 및 생산하고 있습니다. SWIR 카메라를 시작으로 열화상 카메라, MWIR 카메라, 초분광 카메라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구축하였으며, 성장하는 적외선 카메라 시장의 변화에 발맞추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Q. 회사의 주요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오즈레이㈜는 적외선 카메라 전문 기업으로, 카메라 자체의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먼저 SWIR 카메라는 웨이퍼 투과 검사, 수분 검출, 이물질 검출, 플라스틱 및 비닐 투과, 안개 투과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됩니다. MWIR 카메라는 열화상을 기반으로 한 저온 냉각 센서를 사용하여 노이즈가 적고 기상 환경에 유리한 것이 특징입니다. 원거리 감시 및 드론 탐지 등의 용도로 주로 사용됩니다. 열화상(LWIR) 카메라의 경우 MWIR과 달리 주로 비냉각식 센서를 사용하며, 포장 검사, 장비 온도 모니터링, 화재 감시, 주야간 감시 등 다양한
Q. 귀사의 주력사업, 경쟁력 등 간략한 회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유진로봇은 제조업, 자동차,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 공장 자동화 시스템 및 물류 로봇을 공급해온 35년 이상의 업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고중량 공정 자동화 로봇, 커스텀 AMR 등 고객 맞춤형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자율주행 로봇 GoCart(고카트)는 유럽 수출을 위한 국제 표준 인증 ‘ISO 13482’를 획득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제품으로,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미국 및 유럽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진로봇이 자체 개발한 FMS(Fleet Management System)과 연동해 엘리베이터, 자동문 등과도 연계하여 스마트 인터페이스 구축이 가능합니다. Q. 회사의 주요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당사는 공장 조립 자동화 설비, 공장 물류 자동화, 창고 물류 자동화 등을 위한 토탈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유진로봇은 35년간 다양한 제조 현장에서 공장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 및 공급하며 높은 신뢰도를 쌓아왔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AMR(고카트)을 결합해 제품 이송부터 생산까지 One-Stop Solution을 구축하
Q. 주력사업, 경쟁력 등 간략한 회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씨크코리아㈜는 독일 SICK AG와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2002년부터 국내 자동화 시장에 센서를 중심으로 스마트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공정 자동화부터 물류 자동화까지 SICK는 센서 솔루션을 통해 산업을 혁신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공정 제어, 인명 사고 예방, 환경 보호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최근에는 센서뿐만 아니라 머신 비전 시스템 및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솔루션에도 집중하여, 산업 현장에서 고객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있습니다. Q. 회사의 주요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SICK는 산업용 광전 센서뿐만 아니라 안전 솔루션, LiDAR, 머신 비전 시스템 및 디지털 전환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2024년에는 세계 최초로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광전 센서 W10, AI 기술이 적용된 차세대 2D 비전 센서 Inspector 83x, 그리고 UWB(Ultra Wide-Band) 기반 실시간 위치 결정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UWB 실시간 위치 결정 솔루션은 산업 현장에 Anchor를 부착해
Q. 주력사업, 경쟁력 등 간략한 회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발루프는 1921년 독일 노이하우젠 아우프 덴 필덴에서 창립된 산업 자동화 솔루션의 글로벌 리더로, 현재 한국을 비롯한 유럽, 아시아, 북미, 남미 등 전 세계 68개국에 진출해 있습니다. 발루프는 산업용 센서 전문 기업으로, 고품질의 산업용 센서뿐만 아니라 RFID, 네트워크 및 비전 기술, 통합형 소프트웨어 솔루션 등 30,000개 이상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IO-Link 기술의 선도 기업으로서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객 맞춤형 솔루션 제공과 뛰어난 품질 관리로 시장에서 높은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발루프의 한국 지사인 발루프코리아는 2016년에 설립되어 수원 광교와 부산 영업소를 운영하며, 고객과의 접점을 강화하고 신속하고 효과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Q. 회사의 주요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발루프는 고성능 산업용 센서, IO-Link 네트워크 솔루션, RFID 시스템 등을 중심으로 산업 자동화 전반을 지원하는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발루프의 산업용 센서는 포지션, 거리, 온도,
Q. 주력사업, 경쟁력 등 간략한 회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마이크로엡실론(Micro-Epsilon)은 독일 본사를 둔 하이엔드 센서 분야의 선도적인 제조사로, 50년 이상 인라인 측정 센서를 전문적으로 개발·생산·공급해 왔습니다. 당사의 제품은 전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 항공, 자동차, 조선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카탈로그에 소개된 일반 제품 외에도 고객의 제조 환경과 요구사항에 맞춘 특주품을 개발·공급하고 있으며, 센서 등의 단품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설계 및 제작, 측정 알고리즘과 전용 UI 등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포함한 맞춤형 턴키 시스템 형태의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Q. 회사의 주요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마이크로엡실론은 거리, 두께, 변위, 온도, 색상 측정용 센서와 표면 검사 시스템, 두께 측정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으며, 1D 측정 방식뿐만 아니라 2D/3D 측정이 가능한 레이저 스캐너 및 3D 표면 측정 센서도 제공합니다. 정밀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측정 대상의 재질과 주변 환경을 고려해 적절한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마이크로엡실론은 일반적인 레이저 기반 제품뿐만 아니라 공초
Q. 주력사업, 경쟁력 등 간략한 회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뉴로클은 AI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으로,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출신의 인재들과 LG, 한화 등 주요 IT 기업 출신의 우수 인력들이 모여 2019년 6월 창립했습니다. 뉴로클은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AI 딥러닝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겠다는 사명 아래, 딥러닝 기술을 컴퓨터 비전 분야에 접목한 비전 검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로클의 독보적인 기술인 오토딥러닝 알고리즘은 모델 구조와 학습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최적화하여, 딥러닝 전문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고성능 딥러닝 모델을 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러한 기술력을 인정받아 아시아와 유럽을 포함한 해외 25개국에 진출했으며, 국내외 유수 기업에 딥러닝 비전 검사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Q. 회사의 주요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뉴로클의 주요 솔루션은 뉴로티(Neuro-T)와 뉴로알(Neuro-R)입니다. 뉴로티는 오토딥러닝 알고리즘이 탑재된 AI 비전 검사 모델 학습/생성 소프트웨어로, 사용자는 원하는 성능의 딥러닝 검사 모델을 몇 번의 클릭만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진공 솔루션 업체 슈말츠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진공 기반 자동화 기술로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독일 소재 슈말츠는 진공 자동화·핸들링 원천기술을 보유했다.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자동차·전기전자·물류·식음료(F&B)·우주항공·목재 등 다양한 영역에 진공 기술을 전파해왔다. 지금까지 진공 자동화 부품, 진공 리프터·크레인, 로봇팔 종단장치(EOAT) 등을 개발·생산했다. 지난해 11월에는 핑거 그리퍼 ‘엠그립(mGrip)’을 출시하고, 비즈니스 순항을 알렸다. 지난 2005년 설립된 한국 지사를 통해 국내 시장에서도 활발한 활약을 전개하고 있다. 슈말츠는 이번 AW 2025 전시장에
세계 최대 복합소재 전시회인 ‘2025 JEC World’가 오는 3월 4일부터 6일까지 프랑스 파리 노르 빌팽트에서 열린다. 올해는 JEC World의 60주년을 맞아 다양한 신규 프로그램이 도입될 예정이며, 특히 ‘JEC 인베스터 데이(JEC Investor Day)’를 통해 스타트업과 투자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이 강화된다. 이번 전시회에는 1,300개 이상의 전시업체와 43,500명의 전문가가 참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투자자들은 혁신적인 기술을 확인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할 기회를 얻을 전망이다. 올해 JEC World에는 한국의 복합소재 관련 기업 30개사가 대거 참가해 국내 기술력을 전 세계에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은 지난해보다 확대된 규모로 유망 기업 12개사를 모집해 한국관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복합소재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해외 바이어들의 관심을 집중시킬 전망이다. 또한 경상남도와 경남테크노파크는 도내 나노융합기업의 해외시장 진출과 수출 확대를 돕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공동관을 구성한다. 이를 통해 7개 기업이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한화
풍림무약은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해 Computar 브랜드의 산업용 렌즈 솔루션을 선보인다. Computar는 전 세계 산업용 렌즈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유한 브랜드로, 고해상도, 소형화, 자동화, 넓은 파장 대역폭을 지원하는 렌즈 설계를 통해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대응하고 있다. 풍림무약은 CBC사의 Computar 브랜드 국내 정식 총판으로, FA 및 보안용(Security) 렌즈를 수입·판매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풍림무약은 Lens Connect Series와 MPX Series를 출품한다. Lens Connect Series는 USB 케이블을 통해 초점, 조리개, 줌을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전동형 렌즈다. 고정초점뿐만 아니라 가변초점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제공하며, I2C 및 Serial 인터페이스를 지원해 여러 산업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고해상도 광학계와 정밀한 스테핑 모터를 적용해 정밀한 조정과 우수한 반복성, 내구성을 갖추었으며,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으로 사용 편의성을 높였다. MPX Series는 소니 4세대 센서를 포함한 고해상도 카메라에 대응할 수 있도
아이코어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해 하이엔드 머신비전 컴포넌트 및 모듈을 선보인다. 아이코어는 스마트 팩토리 및 머신비전 산업에서 점점 높아지는 정밀성과 생산성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스트로브 컨트롤러, 초고휘도 조명, 오토포커스 모듈, 리피터&스플리터 등 4종 제품 라인업을 개발·제조하고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독일, 미국,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아이코어는 iPulse 스트로브 컨트롤러(COM Series)와 iFocus 오토포커스 모듈(IT-AF-MBK2)을 출품한다. iPulse는 고속 전류 제어를 통해 외부 신호와 동기를 맞춰 조명을 제어하는 스트로브 컨트롤러로, 순간적으로 강한 조명을 켜는 오버드라이빙 기능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빠르게 움직이는 대상체를 정지된 듯한 영상으로 구현해 생산성을 높이고 검출력을 향상시킨다. iPulse COM Series는 0.5㎲ 초고속 응답 속도와 최대 10배 오버드라이빙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범용성과 가격 효율성을 제공한다. iFocus는 고배율 광
트리비젼은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해 머신비전 카메라와 조명 솔루션을 선보인다. 트리비젼은 산업용 조명, 컨트롤러, 케이블을 자체 생산하며 하드웨어 광학 설계와 비전 소프트웨어 개발을 함께 제공하는 기업으로, 고객 맞춤형 기술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MV-CH650-90XC-M58S-NF와 FTS1-8250M-ME를 출품한다. MV-CH650-90XC-M58S-NF는 고정밀, 고속 프레임 속도를 갖춘 카메라로,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자체 냉각 기술을 적용해 일정한 품질의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으며, 내장된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를 통해 렌즈 보정 및 핫 픽셀 보정을 실시간으로 처리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제공해 사용자가 이미지를 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FTS1-8250M-ME는 다양한 파장대를 지원하는 LED 조명과 컨트롤러로, 고해상도 카메라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AC 80V240V 입력 전원을 지원하며, DC 5V24V 출력을 제공한다. 모든 채널을 동시 또는 개별 제어할 수 있으며, 방수 기능을 포함한
싸이로드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최신 2D·3D 머신비전 솔루션을 선보인다. 25년 이상의 머신비전 기술 노하우와 현장 경험을 보유한 싸이로드는 고성능 2D·3D 카메라, 렌즈, 필터, 조명 시스템 등 다양한 비전 솔루션을 공급하며, 고객 맞춤형 기술 지원과 컨설팅을 제공한다. 이번 전시에서 싸이로드는 LUCID의 Atlas10 모델과 SICK의 Ruler3000 모델을 출품한다. Atlas10은 10GigE PoE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대 1.2GB/s의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글로벌 셔터 및 롤링 셔터 CMOS 센서를 탑재해 뛰어난 이미징 성능을 제공한다. ROI와 binning 옵션을 활용해 더 높은 프레임 레이트를 구현할 수 있으며, RDMA를 지원해 Lucid의 RDMA HCA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와 함께 사용하면 CPU와 OS를 우회하는 zero-copy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스트리밍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Ruler3000은 높은 정확도와 빠른 측정 속도를 자랑하는 3D 스캐너로, 산업용 이미지 처리 분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