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제주 92MWh BESS 착공… BEP, 출력제어 문제 해결사 역할

URL복사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BEP)가 참여한 컨소시엄이 제주도에서 92MWh 규모의 장주기 BESS(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 구축을 시작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최초로 중앙계약시장형 장주기 BESS 구축을 목표로 하며, 2025년 11월 상업운전을 계획하고 있다.

 

이 사업은 한국남부발전, 탑솔라와의 컨소시엄을 통해 진행되며, BEP는 2023년 전력거래소가 주관한 ‘제주 장주기 BESS 중앙계약시장 공모 사업’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제주도는 풍력 및 태양광 발전이 활발하지만, 전력 공급 과잉으로 인해 잦은 출력제어가 발생해왔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풍력발전 285회, 태양광발전 93회 출력제어가 있었으며, 2024년 8월 기준으로도 풍력발전 51회, 태양광발전 32회의 출력제어가 보고되었다.

 

BEP의 BESS는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잉여 전력을 저장한 후 필요 시점에 공급하여 출력제어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봉주 BEP 재생에너지사업부문 대표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재생에너지 발전의 효율성을 높이고 전력 계통의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2026년부터 매년 500MW 규모의 장주기 BESS 설치를 계획하고 있으며, 2038년까지 총 21.5GW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BEP는 이번 제주 BESS 프로젝트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호남 지역에서도 장주기 BESS 사업에 적극 참여할 방침이다.

 

김희성 BEP 대표는 “재생에너지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BESS는 필수적이며, 제주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호남 지역에서도 기술력을 입증할 것”이라며 에너지 전환의 선도적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