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일반뉴스

배너

‘무인이동체 산업 정책을 논하다’...무인이동체 컨퍼런스 개최

URL복사

 

국내 무인이동체 산업 ‘현재와 미래’ 진단 행사...이틀간 진행

군·산·학·연 등 전문가 연사로 1일차 발표 내용 구성

 

무인이동체는 원격 조종 및 자율 주행이 가능한 물체다. 놀이 및 취미 영역에서 시작해, 국방부터 유통, 농업 등에서 주로 활용됐다. 최근에는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산업 분야 등으로 활용 분야를 넓히고 있다. 전 산업 내 기존 수단 대비 효율성·경제성·안전성 측면에서 작업 및 업무 수행이 가능한 점이 최대 특징으로 평가받는다.

 

이에 정부는 지난 2017년 무인이동체 혁신성장 10년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후 3년 동안 무인이동체 산업의 연평균 성장률 39%를 달성했다. 올해는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사업을 이름으로 정책을 펼치고 있다.

 

해당 배경에서 국내 무인이동체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담는 ‘2023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 국제 컨퍼런스’가 이달 21일 서울 삼성동 소재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이번 컨퍼런스는 ‘무인이동체, 새로운 세상과의 연결’을 주제로 같은 날 개최한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의 부대행사다. 컨퍼런스 첫날 내용은 ‘무인이동체 관련 정책 동향 및 활용’을 제목으로, 에르네스토 다미아니(Ernesto Damiani) UAE 칼리파 대학교 C3PS 센터장과 칼레드 엘토하미 허니웰 UAM/UAS 엔지니어링 이사가 기조연설을 맡았다.

 

다음 홍단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실장이 좌장으로 참석해 진행된 ‘무인이동체 정책 동향’ 세션과 이관중 서울대학교 교수가 진행한 ‘UAM 비전’ 세션이 이어졌다.

 

특히 무인이동체 정책 동향 세션에서는 임형남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통부) 사무관, 이호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사무관, 고성필 국방부 중령, 정치곤 국군방첩사령부 소령 등이 발표를 진행했다.

 

먼저 임형남 사무관은 “드론은 전쟁 판도에 지각변동을 일으키는 기술”이라며 “국내에서는 아직 선도 기업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국내 드론 분야는 군 수요가 토대인 생태계로, 민영기업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게 임 사무관 설명이다.

 

이에 산통부는 국내 드론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공공수요기반 산업 생태계 구축, 핵심부품 제조 전문 기업 육성, 기술 제도 규제 혁신 등이 산통부가 추진하는 정책의 지향점이다.

 

 

이어 과기정통부 부분 발표를 맡은 이호준 사무관은 무인이동체 관련 현황, 과기정통부 역할, 향후 정책 추진 방향을 구성으로 발표에 임했다.

 

과기정통부는 현재 국토부·산업부 등 기관과 무인이동체 활용 인프라 구축, 미래 모빌리티 기술 개발 및 전문 인재 양성 등을 목표로 연계 사업을 진행 중이다. 특히 무인이동체를 대상으로 핵심기술 개발 사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020년부터 2027년까지 총 1609억을 들여 무인이동체 원천기술 확보와 기술경쟁력을 제고하겠다는 구상이다.

 

또 무인이동체 분야 초기 시장 창출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도 준비 중이다. 특히 인프라 구축 측면에서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총 475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 사무관은 “빅데이터·AI·5G 등 기술과 무인이동체의 융합 기술에 중점을 두고 산·학·연이 협력 중”이라며 “이를 통해 다양한 AI 모델 및 범용 플랫폼이 탄생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호준 사무관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총 150억 원을 투입하는 ‘433MHz 기반 무인이동체 응용 통신 기술 개발 및 실증 사업’,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총 379억 원을 들이는 ‘성층권 무인이동체 개발 사업’ 등에 대해 설명했다.

 

과기정통부는 해당 사업 및 정책과 더불어 2022년부터 6년간 300억 원을 투입해 무인이동체 관련 인재양성에 힘을 쏟을 계획이다. 이미 서울대학교·부산대학교·충남대학교 등 대학시설과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연구소·산업체 등 산·연과도 협업 중이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무인·유인이동체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환경분석을 진행한다. 이는 연구개발 정책기획 연구 수행이 목적으로, 향후 사업 추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이어지는 발표는 고성필 국방부 중령의 국방 무인체계 발전계획이다. 고 중령은 “군·산·학·연이 협력체를 결성해 12개 중점 추진 과제에 대해 워킹그룹을 시행 중”이라며 발표를 시작했다. 이어 “국방부는 국방부 주도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국방 무인체계 발전 기반을 조성하겠다”고 국방부의 비전을 설명했다.

 

정치곤 국군방첩사령부 소령은 무인이동체의 보안 영역에 대해 발표를 진행했다. 정 소령은 2020년 12월 처음 제정한 ‘국방드론 보안 가이드라인’, 2022년 ‘국방드론 보안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국방 요구사항을 수립한 국방표준서 KDS STD-0230을 언급했다. 국방 무인이동체 보안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이어 국방 분야 무인이동체 보안 관련 훈령 및 이와 관련한 계획도 덧붙였다. 산업계는 국방 요구사항이 반영된 보안 기술 구현을, 국방부는 사전 보안확인 드론 목록 등재·보안확인 지시 등 역할을 해야할 것을 분명히 했다.

 

 

국방부는 사전보안확인제도 시범 시행 공고를 올 7월에 실시할 예정이다. 우선 1개 제품을 대상으로 제도를 시행하고, 추후 대상 제품을 확대한다는 방향성을 수립했다. 이와 더불어 필요 서류 및 절차, 확인 방법 등을 구체화하며 제도 안착에 집중할 계획이다.

 

정 소령은 “그동안 국방 분야에서 무인이동체를 활용하는 데 보안 계획이 많이 있었다”며 “보안 이슈를 해결해야 무인이동체 산업이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