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센싱은 자사의 고성능 4D 이미징 레이더 플랫폼을 기반으로 KAIST AVE 연구실, 제타모빌리티(ZETA Mobility)와 함께 오토모티브 분야의 AI 기반 4D 이미징 레이더 기술 고도화 및 상용화를 위한 3자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각 기관이 보유한 전문성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협력 체계를 구축해, 자율주행 및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에 필수적인 4D 이미징 레이더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이를 차량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적용 가능한 임베디드 AI 기반 솔루션으로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협약에 따라 비트센싱은 고성능 4D 이미징 레이더 하드웨어 플랫폼을, KAIST AVE 연구실은 레이더 신호처리 및 센서융합 기반 AI 알고리즘, 제타모빌리티는 대규모 오토모티브 데이터셋과 임베디드 AI 기술을 각각 제공하며 공동 연구 및 개발을 추진한다.
4D 이미징 레이더는 기존 3D 정보에 고도(Z축) 데이터를 더해 객체의 거리, 속도, 방향, 높이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다. 레이더 특성상 비, 눈, 안개 등 악천후에도 안정적인 감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 자율주행차가 마주하는 다양한 도로 환경에서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도로 위 차량, 보행자, 인프라 요소에 대한 인식 및 분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이고 자율주행차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재은 비트센싱 대표는 “자율주행의 핵심 센서인 4D 이미징 레이더는 높은 정밀도와 악천후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요구받고 있다”며 “비트센싱이 보유한 독자적인 레이더 기술과 KAIST AVE 연구실, 제타모빌리티의 AI 및 데이터셋 역량이 결합되어 오토모티브 레이더 기술의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AIST AVE 연구실의 공승현 교수는 “이번 협약은 4D 레이더의 인공지능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보유한 기관들간의 협력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비트센싱, 제타모빌리티, KAIST AVE 연구실이 각자의 전문 역량을 결합해 인공지능을 내재한 첨단 4D 레이더를 개발하고 상용화하는데 세계를 선도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현석 제타모빌리티 대표는 “전문성을 갖춘 기관들이 협력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 세계적 수준의 솔루션을 개발하는 이번 파트너십은 매우 뜻깊다. 제타모빌리티는 보유한 임베디드 AI 기술로 자율주행 기술의 고도화와 상용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3사는 향후 ▲공동 연구개발 ▲성능 검증 및 실증 ▲기술 고도화 등 단계별 협력을 추진하며, AI 기반 4D 이미징 레이더 기술을 오토모티브 분야에 실질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술 완성도를 함께 높여갈 계획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