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Net이 호라이즌의 ‘저니’ 시리즈 컴퓨팅 솔루션에 생산 품질로 구현되는 데 초점 맞춰 스트라드비젼이 5일 중국 소재의 ADAS 컴퓨팅 솔루션 공급업체인 ‘호라이즌 로보틱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스트라드비젼의 험악한 기후 조건에서도 뛰어난 사물 탐지 및 인식을 제공하는 기술인 ‘SVNet’이 호라이즌의 ‘저니’ 시리즈 컴퓨팅 솔루션에 생산 품질로 구현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호라이즌의 저니 컴퓨팅 솔루션은 높은 컴퓨팅 효율성과 최소한의 전력 소비로 유명한데, 특히 ADAS 및 자율주행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정밀하게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의 목표는 자동차 OEM 및 Tier 1 업체에 고품질 주행 보조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양사는 호라이즌의 ‘오픈익스플로러’ 소프트웨어 개발 툴킷을 활용해 스트라드비젼의 SVNet이 저니 컴퓨팅 솔루션에 최적화하도록 노력해왔다. 이러한 노력으로 자동차 OEM 및 Tier 1 업체는 고성능, 저전력과 함께 비용 효율성이 높은 ADAS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궁극적으로는 최종 소비자에게 안정성과 편의성을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된다. 스트라드비젼의 김준환
이스라엘 기업과 '차량사물통신 통합제어기' 협업…'車 스스로 주행환경 판단' 텔레매틱스 통합기술 개발 목표…로보택시 시장 등 겨냥 현대모비스는 이스라엘의 통신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팹리스) '오토톡스'와 협업해 5G 기반의 차량사물통신(V2X·Vehicle to Everything) 통합 제어기 개발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오토톡스는 V2X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역량을 보유한 것으로 인정받아 최근 퀄컴이 인수한 회사라고 현대모비스는 소개했다. 현대자동차도 지난 2018년 오토톡스에 전략적 투자를 한 바 있다. 현대모비스가 오토톡스와 협업해 개발하는 5G 기반 V2X 통합제어기는 현재의 롱텀에볼루션(LTE·4G) 방식과 달리 차량과 차량 또는 차량과 시설 간의 대용량·실시간 정보전달을 가능케 하는 기술이다. 완전 자율주행을 의미하는 '자율주행 4단계'의 핵심 기술로 분류된다. 현재 완전 자율주행의 선행 기술인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은 차량에 장착된 센서가 주변 위험 상황을 인지하고 알림을 주는 수준이지만,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해지려면 차량이 스스로 주행 환경을 판단하고 제어해야 한다. 따라서 이동 중에도 주변 환경과 고속으로 데이터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 ADS 센서 등 차량용 애플리케이션 위해 설계 래티스 반도체(이하 래티스)는 지난 20일 첨단 차량용 시스템 설계 및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가속화하는 래티스 드라이브 솔루션 스택을 발표했다. 래티스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용 소프트웨어 솔루션 스택 포트폴리오를 자동차 시장으로 확장하는 래티스 드라이브는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 연결 및 데이터 처리,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센서 브리징 및 프로세싱, 운전자와 실내 및 차량 모니터링을 위한 저전력 구역 브리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됐다. 테크널리시스 리서치의 밥 오도넬(Bob O'Donnell) 사장 겸 수석 분석가는 “자동차 산업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자동차는 새로운 기술 발전, 특히 차량 모델에 걸쳐 다양한 센서와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는 구역 아키텍처를 통해 스마트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제 자동차 제조사는 차량의 혁신을 달성하는 한편, 업데이트를 위한 유연성까지 유지하도록 하는 솔루션을 필요로 한다”며, “래티스 소프트웨어 솔루션은 고객에게 이점을 제공하며, 첨단 자동차용 솔루션을 포함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래티스의
"소재와 기판 등 기술 융복합을 통한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파워인덕터를 '제2의 MLCC'로 육성할 방침" 삼성전기가 전기차·자율주행차의 필수 핵심 부품인 파워인덕터를 처음 양산하며 본격적으로 전장용 파워인덕터 시장 공략에 나선다. 삼성전기는 자율주행 시스템이 적용된 전기차 카메라에 탑재되는 파워인덕터를 양산한다고 16일 밝혔다. '제2의 적층세라믹캐패시터(MLCC)'라 불리는 파워인덕터는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막아 자율주행 정보를 처리하는 반도체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는 핵심 전자부품으로, 삼성전기가 전장용 파워인덕터를 양산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전기가 개발한 파워인덕터는 2016크기(가로 2.0mm, 세로 1.6mm)에 각각 1.0uH(마이크로헨리), 2.2uH 용량을 가진 제품 2종이다. 파워인덕터의 성능은 일반적으로 원자재인 자성체(자성을 지닌 물체)와 내부에 감을 수 있는 코일(구리선)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삼성전기 파워인덕터는 기판 위에 얇은 코일을 형성한 박막형 제품으로, 자성체에 코일을 감는 권선형보다 생산성이 높고 소형화에 장점이 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삼성전기는 MLCC로 축적한 재료기술을 바탕으로 특성이 우수하
루시드 비전 랩스(LUCID Vision Labs)는 카메라 내 적응형 톤 매핑 엔진인 AltaView를 탑재한 새로운 540만 화소 Triton HDR 카메라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Triton HDR(모델명 : TDR054S) 카메라는 소니 IMX490이면조사(back-illuminated) 적층형 CMOS 센서를 사용했다. 서브 픽셀(sub-pixel) 기술 덕분에 120dB HDR 이미징과 LED 깜박임 완화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 카메라는 LUCID의 적응형 톤 매핑 엔진인 AltaView를 탑재해 카메라에서 직접 실시간 톤 매핑 이미지 출력을 제공, 섀도우와 하이라이트의 디테일이 강화된 풍부한 8비트 데이터 이미지를 제공한다. AltaView에서의 최적화된 이미지 출력은 지각적으로 동등한 낮은 비트 심도의 HDR 이미지를 제공해 효율적인 AI 처리 및 모바일 센싱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CPU/GPU 리소스를 줄여주므로 호스트 PC에서 맞춤형 톤 매핑 알고리즘을 만들 필요가 없고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540만 화소, 2880 x 1860 픽셀의 대형 해상도를 갖춘 Triton HDR 카메라
LiDAR 설계 및 ADAS 전원 등 자동차 설계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기술 리소스 보유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이하 마우저)는 자율주행 차량 기술의 자원 및 개발을 집중 조명하는 광범위한 콘텐츠 허브를 통해 엔지니어가 최신 자동차 설계 트렌드에 앞서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하드웨어와 시스템이 갈수록 복잡해짐에 따라, 차량에는 원활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안정적으로 연결된 솔루션이 필요하다. 운전자의 안전은 상당한 고려가 필요한 사항이므로, 자동차 설계자는 신뢰할 수 있는 리소스와 주문 제작 부품에 접근하는 방식이 중요하다. 마우저는 포괄적인 콘텐츠 허브를 통해 LiDAR 설계 및 ADAS 전원 등 자동차 설계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기술 리소스를 제공한다. 마우저가 제공하는 기사, 비디오 및 블로그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모든 기술 수준의 설계자는 높은 품질의 부품이 포함된 고급 솔루션을 찾을 수 있다. 몇 가지 예를 들자면, 유블럭스 SAM-M10Q 표준 정밀 GNSS 안테나 모듈은 사용자 설계에 손쉽게 통합하는 인터페이스를 갖춘 소형 모듈이다. 저전력 소비는 배터리 구동 장치의 전력 자율성을 향상시킨다. 이 장치는 휴대폰과 같은 대역 외 전파
"국제 인증 낸드 솔루션 제품으로 차량용 반도체 시장 성장세 맞춰 수익성 높여나갈 것" SK하이닉스가 한국 반도체 기업으로는 최초로 '오토모티브 스파이스(이하 ASPICE)' 레벨2 인증을 획득했다고 20일 밝혔다. ASPICE(Automotive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 Capability dEtermination)는 자동차용 부품 생산업체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신뢰도와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유럽 완성차 업계가 제정한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표준이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당사의 우수한 기술력과 프로세스 관리 역량을 바탕으로 차량용 낸드 솔루션 제품에 필수적인 인증을 획득하며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며 "이번 인증을 통해 앞으로 연평균 20% 이상 성장세가 예상되는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 UFS(Universal Flash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 당사 낸드 솔루션 제품 공급을 늘리며 수익성을 높여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전기차 보급, 자율주행 시스템의 발전 등으로 자동차 산업에서 전장(차량 내부 전기·전자 장비) 분야 기술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ADAS(첨단운전자
자동차의 자율주행 관련 기능 증가로 라이다(LiDAR), 레이더 및 3D 서라운드 뷰 카메라 시스템과 같은 엣지 센서 탑재가 자동차 시장에서 더욱 보편화되고 있다. 자율주행 기능을 위해 더 많은 센서를 탑재해야 하기 때문에 빠른 신호 처리와 장비 비용 절감, 소형화 등 새로운 요구 사항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자율주행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요건인 기능 안전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AMD는 이러한 시장의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AMD 오토모티브 XA 아틱스 울트라스케일+ 제품군에 비용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 두 종의 새로운 프로세서인 XA AU10P 및 XA AU15P를 추가했다고 25일 밝혔다. 새로운 제품은 모두 전장급 품질 인증을 받았으며,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센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됐다. 아틱스 울트라스케일+ 디바이스는 자동차용 스파르탄 7, 징크 7000 및 징크 울트라스케일+ 제품군과 함께 검증된 기능 안전, 탁월한 확장성을 갖춘 AMD의 자동차용 FPGA 및 적응형 SoC 포트폴리오를 한층 확장한다. XA 아틱스 울트라스케일+ 프로세서는 카메라에서 라이다에 이르기까지 자동차용 ADAS 센서의 핵심 요
스텔란티스 코리아가 푸조의 새로운 도약을 예고하는 '뉴 푸조 408'을 23일 국내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뉴 408은 독창적인 실루엣과 디자인으로 C-세그먼트에 새로운 서막을 알리는 모델로, 개성을 중시하고 자기표현에 적극적이며 감각적인 MZ세대를 적극 공략한다. 역동적인 디자인, 세단과 SUV의 강점을 모두 즐길 수 있는 활용성, 최신 편의·안전 사양, 다양한 첨단 기술 등이 특징이다. 스텔란티스 코리아는 뉴 408 출시를 통해 한국 시장에서 더욱 공고히 입지를 다진다는 계획이다. 기존에 없었던 '408' 라인업을 추가해 경쟁이 치열한 국내 C-세그먼트 시장에서 푸조만의 경쟁력을 공고히 함은 물론이고 고객 선택의 폭도 확장한다. 뉴 408은 푸조 브랜드의 오랜 역사는 물론, 기존 자동차 시장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디자인을 채택했다. 차체에 흐르는 유연하면서도 각진 라인과 조각한 듯한 차체 디자인, 새로운 스타일링 각도가 뉴 408의 매혹적인 디자인에 독특함을 더한다. 세련되고 대담한 인상을 자랑하는 전면부 그릴은 사자 머리 형상의 최신 엠블럼과 조화를 이루며 주행 보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레이더 기능을 내포했다. 전면은 푸조만의 상징인 사자 송곳니
온세미가 하이퍼룩스(Hyperlux) 자동차용 이미지 센서 제품군을 출시한다고 12일 발표했다. 해당 제품군은 2.1µm 픽셀 크기, 150dB 울트라 HDR(High Dynamic Range) 및 전체 차량 온도 범위에서 LFM(LED flicker mitigation) 기능을 갖췄으며 고성능, 속도 및 고급 기능을 제공해 차세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의 발전을 지원한다. 이는 레벨 2 이상의 주행 자동화로 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레벨 2 이상에서 운전자는 기술의 경고가 있을 때만 운전대를 잡으면 된다. 하이퍼룩스 제품군은 3메가픽셀(MP)에서 8MP 이상의 해상도를 가진 제품으로 구성되어 센싱 및 뷰잉(viewing)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 모두 적합하다. 해당 제품군은 150dB의 HDR로 저조도 감도의 저하 없이 극한의 조명 조건에서도 고품질 이미지를 캡처한다. 플랫폼의 LFM 기능은 펄스 광원이 깜박이는 것처럼 보이지 않도록 깜박임으로 인한 머신 비전 문제를 방지한다. 후홍 장 드사이 SV(Desay SV) 지능형 주행 센서 사업부 부총괄 책임자는 "HDR과 LFM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면 매우 어둡거나 밝은 장면에서 잠재적인 위험을
푸조 고유의 아이덴티티 및 408 형상화한 퍼포먼스 영상 및 음원 공개 예정 스텔란티스 코리아가 '뉴 푸조 408(이하 뉴 408)'의 앰배서더로 크럼프 댄스 크루 '프라임킹즈(PRIMEKINGZ)'를 선정하고 본격적으로 뉴 408의 매력 알리기에 나선다. 프라임킹즈는 세계 대회를 휩쓸며 수많은 우승을 거머쥔 크럼프(KRUMP, 스트릿댄스의 한 종류) 크루로 국내 최정상 스트릿 댄스팀이 경합을 겨루는 엠넷의 서바이벌 예능 '스트릿 맨 파이터'에 출연해 이름을 알렸다. 푸조는 프라임킹즈만이 전달할 수 있는 폭발적인 에너지와 더불어 크럼프 장르가 가진 자유로움과 역동적인 움직임이 도로 어디서든 시선을 끄는 뉴 408의 강렬함을 효과적으로 표현해낼 수 있다고 판단해 프라임킹즈를 뉴 408의 앰배서더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푸조는 뉴 408의 공식 출시에 앞서 프라임킹즈와 색다른 캠페인을 전개한다. 프라임킹즈는 푸조가 뉴 408을 테마로 기획한 몽환적인 음원에 맞춰 직접 창작한 댄스 퍼포먼스를 통해 '춤'이라는 언어로 뉴 408을 풀어낸다. 푸조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및 뉴 408의 실루엣 등 주요 특징을 역동적인 안무로 형상화한 댄스 비디오는 오는 19일 푸조 공식
산업, 국방, 소비자 부문의 수요 증가로 인해 2028년 SWIR 이미징 시장 규모가 약 30억 달러로 전망됐다. Yole Intelligence는 최근 이 같이 전망한 SWIR Imaging 2023 시장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산업부문의 경우, 꾸준한 수요와 가격 인하에 힘입어 향후 5년간 연평균 28% 성장하여 2028년에 3억 9,5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국방 부문은 2022년 2억 2,800만 달러에서 2028년 4억 5,500만 달러로 연평균 10% 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이러한 성장의 이유로 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지정학적 긴장, 대만 주변의 긴장, 그리고 점점 더 많은 국가들이 SWIR 기술에 관심을 갖게 됨에 따라 국방 수요가 가파르게 늘어날 것이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자동차 부문의 경우, ADAS가 주도하면서 2028년까지 4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기서 SWIR은 저조도 및 가혹한 조건에서 비전 기능과 3D 감지 기능을 제공한다. 소비자 부문은 2028년까지 86% 성장해 20.7억 달러 규모로 놀라운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Yole은 SWIR를 보급형 스마트폰과 AR/VR 헤
고속도로 이어 일반도로 구축 마쳐…27일부터 누구나 무상으로 이용 가능 고속국도에 이어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한 정밀도로지도가 완성돼 자율주행을 지원한다.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고속국도와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자율주행의 핵심 인프라인 정밀도로지도 구축을 완료하고 지난달 27일부터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정밀도로지도는 차선, 표지, 도로시설 등을 도로 디지털트윈으로 구현한 고정밀 전자지도로 차선 단위의 차량위치 결정이 가능해 자율주행을 지원하도록 제작된 지도를 말한다. 자율주행 뿐만 아니라 고정밀 내비게이션과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차량이 스스로 인지해 판단하는 전자 제어 시스템인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에 활용할 수 있다. 정부는 지난 2019년 고속국도 5,858km, 지난해 일반국도 1만 6,820km의 정밀도로지도를 완성했다. 아울러 오는 2027년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일정에 맞춰 올해는 특별광역시도·지방도를 대상으로 한 정밀도로지도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수도권의 4차로 이상 특별광역시도 및 지방도 구축을 시작으로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등으로 범위를 확대해 제작한다는 계획이다. 정밀도로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자동차 품질 인증 MEMS 관성 센서 모듈인 ASM330LHB를 출시해, 차량의 다양한 기능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전용 소프트웨어로 최대 ASIL B 레벨의 기능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이 모듈은 차량 수명주기 동안 사용하도록 설계된 3축 디지털 가속도 센서와 3축 디지털 자이로스코프를 갖추고 있으며, 6채널의 출력을 동기화하여 제공한다. 모듈의 고정밀 관성 측정 기능은 상황에 따라 자동차의 정확한 위치를 개선하는 데 사용된다. ADAS나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을 지원하고, 레이더, 라이다, 비주얼 카메라와 같은 주요 센싱 시스템을 안정화시켜 주며, 최대 L2+ 레벨의 반-자동주행(Semi-Automated Driving)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차체의 다양한 기능을 활성화하는 데도 사용한다. ASM330LHB는 함께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엔진을 통해 ASIL 레벨 B에 이르는 안전성이 필수인 자동차 시스템의 채택을 가능하게 해준다. 페일-세이프(Fail-Safe) 이중화를 위해 두 개의 ASM330LHB 센서 모듈 조합을 사용하면, 차선 유지
한국교통안전공단(KOTSA)은 독일 기업 dSPACE(디스페이스)와 Dürr(듀어)의 혁신 기술을 적용해 첨단 안전장치 장착 자동차의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정기 검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공단은 시뮬레이션 및 검증 전문기업인 dSPACE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체인 Dürr와 협력해 시뮬레이션 환경을 활용한 첨단 안전장치 장착 자동차에 대한 정기 검사 방법과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김천시와 경상북도는 이 사업 지원을 위해 별도의 행사를 통해 참여 업체 및 기관 간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으며 2026년까지 약 50억원 규모의 지방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은 차선 이탈 경고(LDW),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ACC), 비상 브레이크 지원(AEB)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 운전자의 운전을 돕는 시스템으로, 사고 및 충돌 위험을 줄여 도로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자동차 검사 기관과 그 공급업체들의 글로벌 산하 조직인 국제 자동차 검사 위원회(CITA) 컨퍼런스에서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교통안전공단은 국내 최초로 개발한 VIL(Vehicle-in-the-Loop) 테스트 방법을 활용해 ADAS 기능 테스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