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ETRI, 디지털 신원지갑 국제표준 주도…글로벌 상호운용성 확보

URL복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디지털 신분증 시대에 대응해 디지털 신원지갑 기술의 국제표준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글로벌 상호운용성 확보와 함께 국내 기술 기반의 국제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디지털 신원지갑은 스마트폰에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신용카드 등 다양한 신원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활용할 수 있는 인증 기술로, 2021년 국내에서 모바일 공무원증으로 첫 도입된 이후 점차 확대되고 있다. ETRI는 사용자 중심 ID 관리 기술, 멀티팩터 인증 기술 등 디지털 신원지갑 핵심 기반 기술을 이미 확보하고 있으며 관련 특허(IPR)도 다수 보유 중이다.

 

ETRI가 개발한 사용자 중심 ID 기술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원 정보를 직접 선택·통제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해당 기술은 분산식별자(DID)를 적용해 개인정보보호와 신뢰성을 높였다. 멀티팩터 인증 기술은 생체 정보, PIN, 보안칩 등을 결합한 방식으로 FIDO2 프로토콜 기반으로 국제 보안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

 

이번 국제표준화 추진에는 금융보안원과 호패가 공동으로 참여한다. ETRI는 금융보안원과 협력해 국내 보안 요구사항을 반영한 신원 인증 기술을 실증하고 있으며 글로벌 오픈소스 플랫폼 '오픈월렛파운데이션(OpenWallet Foundation)'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호패와 함께 유럽 및 국내 시장에서의 기술 확산을 도모하고 있다.

 

유럽은 이미 디지털 신원 인증 법률 'eIDAS 2.0'을 시행하고 2030년까지 EU 시민 80% 디지털 신원지갑 활용을 목표로 제도화에 나선 상태다. 이에 따라 국제표준화기구(ITU), 리눅스재단 산하 오픈월렛포럼 등도 글로벌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협력체계를 확대하고 있다.

 

ETRI는 이번 과제를 통해 국제표준 특허 확보, 공적표준화기구와의 연계 기술 개발, 산업 전반에 걸친 실증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해당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정보통신방송 표준개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방승찬 ETRI 원장은 “디지털 신원 인증 기술 분야에서 대한민국이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