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전 세계 제조업 자동화가 역대 최고 속도로 가속화되고 있다. 국제로봇연맹(IFR)이 발표한 ‘세계 로봇 2024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평균 로봇 밀도는 직원 10,000명당 162대를 기록하며 7년 전의 74대에서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제조업의 자동화 수준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IFR 회장 이토 타카유키는 “로봇 밀도는 전 세계 제조업에서 자동화가 얼마나 도입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바로미터”라고 말했다. IFR 보고서는 아시아, 유럽, 북미 등 주요 지역의 제조업에서 자동화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 싱가포르, 중국이 세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시아, 로봇 도입 선도...한국이 단연 1위 아시아는 직원 10,000명당 182대의 로봇 밀도를 기록하며 7.6%의 증가율을 보였다. 한국은 1,012대라는 압도적인 수치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로봇 밀도는 2018년 이후 매년 평균 5%씩 증가하고 있으며, 전자 산업과 자동차 산업이 주요 도입처로 꼽힌다. 싱가포르는 직원 10,000명당 770대로 2위를 차지했다. 제조업 종사자 수가 적은 소규모 국가임에도 높은 자동화
국제로봇연맹(IFR)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 제조 기업들이 자동화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있으며, 2023년 산업용 로봇 설치 대수가 12% 증가하여 44,303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에서 로봇을 가장 많이 도입한 분야는 자동차 산업으로, 전기 및 전자 분야가 그 뒤를 잇고 있다. IFR은 자동차 부문의 매출이 1% 증가하여 2023년에 14,678대의 로봇이 설치되며, 이는 2022년 설치 대수가 47% 급증한 14,472대 이후의 기록적인 수치라고 보고했다. 이로 인해 자동차 및 부품 제조업체의 시장 점유율은 2023년 미국 내 전체 산업용 로봇 설치의 33%를 기록했다. IFR의 마리나 빌(Marina Bill) 회장은 "현재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주로 전기자동차 전환을 촉진하고 노동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로봇에 투자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마리나 빌은 또한 ABB의 글로벌 마케팅 및 영업 로봇 부문 책임자이기도 하다. 전기 및 전자 산업의 설치 대수는 2023년에 37% 증가한 5,120대를 기록했으며, 이는 팬데믹 이전 기록인 2018년의 5,284대에 거의 도달한 수치다. 이 최신 결과는 미국 제조업에 설치된 전체 산업용 로봇의
ChatGPT와 같은 도구로 대표되는 생성형AI의 통합은 자연어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로봇을 변화시키고 있다. 예측AI와 머신러닝은 로봇 성능을 최적화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한다. 협동 로봇(코봇)은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산업용 로봇을 보완하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모바일 매니퓰레이터(MoM)는 자재 취급을 자동화하여 디지털 세계와 물리적 세계 사이의 간극을 좁혀준다. 전 세계 작업 로봇의 재고량은 약 390만 대라는 신기록을 세웠다. 이러한 수요는 여러 가지 흥미로운 기술 혁신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국제로봇연맹(IFR)은 2024년 5대 자동화 트렌드를 선정했다. 1.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AI/ML) 로봇 및 자동화에 인공지능(AI)을 사용하는 추세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생성형AI의 등장으로 새로운 솔루션이 등장하고 있다. 이 AI의 하위 집합은 훈련을 통해 학습한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데 특화되어 있으며 ChatGPT와 같은 도구를 통해 대중화되었다. 로봇 제조업체들은 코드 대신 자연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로봇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생성형AI 기반 인터페이스를
전 세계 물류 산업이 국제 무역의 중심축으로서 성장하며, 전 세계 GDP의 약 10%를 차지하는 가운데, 이 분야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로보틱스와 자동화 기술에 대대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품 및 화물 운송을 위한 전문 서비스 로봇의 판매가 전년 대비 44%나 증가했다. 로봇 AI의 역할과 노동력 부족 문제 국제로보틱스연맹(IFR)의 마리나 빌 회장은 "트럭 운전사, 창고 직원 및 부두 작업자의 부족이 전 세계적으로 공급망 관리에 큰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자동화 하드웨어와 스마트 소프트웨어의 결합이 창고 및 물류 산업의 특정 요구에 부합하는 제품을 제공하고,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I 장비 로봇은 변동성과 예측 불가능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물류 제공업체들이 국경 간 배송, 전자 상거래, 마지막 마일 배송 등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글로벌 트럭 운전사 부족 현상 현재 전 세계적으로 300만 명 이상의 트럭 운전사가 필요한 상황이며, 이는 젊은 운전사와 노인 운전사 간의 인구 통계적 격차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 국제도로운송연합(
국제로봇연맹(IFR)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 공장에 설치된 산업용 로봇 대수는 553,052대에 달해 전년 대비 5%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전체 신규 도입 로봇의 73%가 아시아에, 15%가 유럽에, 10%가 아메리카에 각각 설치되었다. IFR 회장인 마리나 빌(Marina Bill)은 "글로벌 산업용 로봇 도입수가 최근 2년 연속 50만 대를 기록했다"며 "2023년 산업용 로봇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7% 성장하여 59만 대 이상을 출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러한 산업용 로봇 시장의 성장은 전 세계적으로 제조업의 자동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산업용 로봇은 자동차, 전자, 기계, 화학 등 다양한 산업에서 다양한 작업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더믹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과 공급망 문제로 인해 제조업체들은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을 위해 산업용 로봇의 도입을 앞당기고 있다. 중국은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 세계 최대 시장이다. 2022년에는 290,258대가 설치되어 2021년의 기록을 5% 갱신했다. 이는 2020년 대비 57% 증가한 2021년 결과를 능가하는 괄목할 만한 성장이다. 이 활발한 시장의 수요를 충족하
자동차 산업의 산업용 로봇 밀도 1위 '대한민국'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의 로봇이 일하고 있는 공장은 바로 자동차 산업이다.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자동차산업에는 약 100만대의 로봇이 일하고 있으며, 이는 모든 산업에 설치된 로봇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다. 국제 로봇 연맹의 마리나 빌(Marina Bill) 회장은 "자동차산업은 효과적으로 자동화되니 제조를 발명했다. 오늘날 로봇은 연소 엔진에서 전력으로 이 산업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로봇 자동화는 자동차 제조업체가 오랫동안 확립된 제조 방법과 기술에 대한 대대적인 변경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라고 말했다. 로봇 밀도는 주요 자동차 생산국의 현재 자동화 수준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입다. 대한민국이 로봇 밀도는 세계 1위로, 2021년 1만 명당 2,867대의 산업용 로봇이 운영되고 있다. 독일은 1,500대로 2위이고 미국은 1,457대, 일본은 1만 명당 1,422대로 집계됐다. 세계에서 가장 큰 자동차 제조업체인 중국은 772대의 로봇 밀도를 가지고 있지만 곧 선두권을 따라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1년 만에 중국 자동차 업계의 신규 로봇 설치 대수는 202
일본은 전 세계 공급량의 45%를 공급하는 세계 최고의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가 포진하고 있다. 최근 몇년 동안 일본의 로봇 공급업체는 생산 능력을 크게 늘렸다.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일본의 수출을 보면 2020년에는 전년 대비 78% 증가한 136,069대의 산업용 로봇이 출하됐다. 국제로봇연맹 회장인 Milton Guerry는 "일본 산업용 로봇의 수출은 지난 5년 동안 연평균 6%의 성장률을 보였다"며 “동시에 로봇 수입은 항상 극도로 낮았다. 2020년에는 일본 설비의 2%만 수입되었다. 일본 국내 로봇 시장은 중국에 이어 세계 2위다”라고 말했다. 일본 로봇 및 자동화 기술 수출의 36%가 중국으로 향했다. 다른 글로벌 로봇 공급업체와 마찬가지로 일본 제조업체도 중국 공장에서 직접 중국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IFR에 따르면, 세계 최대 산업용 로봇 시장에 있는 이러한 공장은 2020년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붕괴되었을 때 주요 이점임이 입증되었다. 일본 공급업체는 중국의 위기 이후 2020년 2분기에 시작되어 하반기에 탄력을 받은 중국 붐으로 종합적인 혜택을 볼 수 있었다. 시장 점유율이 22%인 미국은 일본의 로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로봇 자동화 AI 추천 서비스 ‘마로솔’을 개발한 빅웨이브로보틱스가 카카오인베스트먼트와 KB인베스먼트(이하 KB)로부터 프리 시리즈 A(Pre Series A) 15억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1일 밝혔다. 마로솔은 로봇 자동화를 희망하는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을 효과적으로 매칭해주는 국내 유일의 로봇 자동화 온라인 플랫폼이다. 이번 투자를 계기로 마로솔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검증된 로봇과 패키지 솔루션에 대한 로봇 전용 금융서비스 출시와 향후 중고로봇 시장 형성에 핵심이 될 RaaS (Robot-as-a-Service)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국내 유수 벤처캐피탈사의 국내 최초, 유일의 로봇 플랫폼에 대한 선도적인 투자는 가파르게 성장하는 로봇시장에 대한 투자 열기와 그 동안 하드웨어에 치중되었던 로봇 생태계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파급력을 높이 평가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카카오인베스트먼트의 전수안 수석은 “마로솔은 출시 1년도 안 되어 로봇 업계 내 필수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정보비대칭 문제 해소는 물론 매출성장과 수익화까지 가능한 비즈니스모델의 우수성과 팀의 역량을 높이 평가했다”라고 말했다. KB의
헬로티 임근난 기자 | 국제로봇연맹(IFR)이 발표한 ‘World Robotics 2021 – 서비스 로봇’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서비스 로봇 시장은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전문 서비스 로봇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67억 달러(샘플 방식)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2020년에는 12% 증가했다. 동시에, 새로운 소비자 서비스 로봇의 매출액은 44억 달러로 16% 증가했다고 보고서는 발표했다. 국제로봇연맹의 밀턴 게리 회장은 “서비스 로봇은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시장 잠재력을 입증하는 성공적인 경로를 계속하고 있다”며 “지난해 전문 서비스 로봇의 판매가 13만 1,800대로 41%나 증가했다”고 말했다. 전문 서비스 로봇에 대한 5가지 상위 애플리케이션 트렌드는 글로벌 팬데믹의 추가 수요에 의해 주도됐다. 3대 중 1대는 제품이나 화물 운송용으로 제작됐다. 자율이동로봇(AMR) 및 배송 로봇의 매출은 11% 증가하여 10억 달러 이상을 기록했다. 판매되는 대부분의 장치들은 생산 및 창고용으로 실내 환경에서 작동된다. 전문 청소 로봇의 수요는 92% 증가한 34,400대가 팔렸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위생 요구사항 증가에 대응하여, 50개 이
헬로티 임근난 기자 | 국제로봇연맹(IFR)이 발표한 ‘The World Robotics 2021-산업용 로봇’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공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산업용 로봇은 10% 증가한 3백만 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로봇 판매 또한 글로벌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0.5% 소폭 증가했으며, 2020년에는 384,000대가 출하됐다. 이러한 추세는 중국의 긍정적인 시장 발전에 의해 주도됐다. 국제로봇연맹의 밀턴 게리 회장은 “2020년 2분기 중국 제조업의 수주와 생산이 급증하기 시작했고 북미 경제는 하반기부터 회복되기 시작했으며 유럽도 조금 뒤를 따랐다”고 말했다. 밀턴 게리 회장은 또 “전 세계 로봇 설치는 2021년에 13% 증가한 435,000대로 크게 반등하여 2018년에 달성한 기록 수준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보고했다. 지역적으로 보면 북미는 17% 증가한 43,000대, 유럽은 8% 증가한 73,000대, 아시아는 15% 증가한 300,000대가 예상되며, 거의 모든 동남아 시장은 2021년에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아시아·유럽 및 미주 아시아는 산업용 로봇의 세계 최대 시장이다. 2020년에 새로 배치된 모든 로봇의 71
헬로티 임근난 기자 | 국제로봇연맹(IFR)이 발표한 '2021년 산업 로봇'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내 공장에서 가동 중인 산업 로봇의 수가 6% 상승한 343,000여 대라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2020년 판매량은 7% 감소해 설치된 로봇은 30,500대였으나 전망은 긍정적이라고 소개했다. 또, 2021년과 2022년에 한국 로봇 시장은 성장할 걸로 예상했다. 국제로봇연맹 회장 밀튼 궤리는 “연간 설치 물량을 보면 한국은 일본, 중국, 미국 다음으로 4번째로 큰 로봇 시장”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한국의 수출 중심의 경제는 지금까지 팬데믹 상황에 놀랍도록 잘 대처해오고 있으며 2020년의 GDP 하락률은 단지 1%였으며 2021년과 2022년에는 4% 이상, 3% 이상의 강력한 GDP 성장이 예측된다”라고 전했다. 보고서는 또, 중국은 한국의 중간재 주요 수입국으로 중국의 상승세는 한국 경제에 큰 수혜가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전자 제품 업계와 반도체 업계의 투자가 크게 증가했으며 2021년 5월에 시작한 투자 지원 프로그램은 기계류와 설비에 대한 투자를 더욱 증대시킬 것으로 보인다고 소개했다. 대표적인 분야로, 전자 제품 업계와 자동차 부품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