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X엔진이 호주의 PENSKE Australia와 840억 원 규모의 미래형 궤도 보병장갑차(레드백) 디젤엔진 공급 및 기술이전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STX엔진은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디젤엔진을 공급하며, 호주 현지 생산 기반을 구축하는 기술이전 패키지를 제공할 예정이다. 6일 진행된 계약 체결식에는 STX엔진 이상수 대표이사와 PENSKE Australia의 주요 임원이 참석해 양사 간 협력을 공식화했다. 이번 계약은 STX엔진이 방산 기술 도입국에서 기술 수출국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PENSKE Australia는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방산, 운송, 에너지, 건설 및 광산업 분야의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특히 군용 차량 및 엔진 유지보수(MRO) 사업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STX엔진은 1977년 독일 롤스로이스 솔루션스(구 MTU)와의 디젤엔진 창정비 협정을 시작으로 국내 전차, 자주포 및 함정용 엔진을 국산화하며 방산 엔진 기술력을 축적해왔다. STX엔진은 이미 인도, 폴란드, 노르웨이, 튀르키예 등 여러 국가에 K9 자주포 엔진을 수출하며 검증된 성능과 품질을 입증해왔다. 이
STX엔진은 2일부터 6일까지 충남 계룡대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전시회(KADEX) 2024’에 참가해 차세대 방산 기술력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는 역대 최대 규모로, 26개국 44개 대표단이 방문하고 362개 국내 방산 기업과 14개국 38개 글로벌 방산 기업이 참가하는 글로벌 방산업계의 주요 행사다. 이번 전시회에서 STX엔진은 K9 자주포에 탑재될 1000마력급 ‘SMV1000’ 디젤엔진의 모형을 국내 최초로 공개할 예정이다. SMV1000 디젤엔진은 개발 착수 후 3여 년 만에 시제품 제작과 개발 시험평가를 통과했으며, 현재 이집트 수출 양산을 준비 중이다. 이 엔진은 해외 선진업체의 동일 출력대 엔진과 비교해도 동등 이상의 성능과 품질을 자랑해, 국내외 방산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STX엔진은 기존 기계식 엔진이 단종됨에 따라, 개발 중인 궤도차량용 전자식 범용 디젤엔진과 전차 방호력 및 기동력 향상을 위해 독자적으로 개발한 ‘SMV1360’ 엔진 실물도 함께 전시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미래 전장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미래 지상 전투 장비에 적합한 하이브리드 엔진 시스템 모형도 선보인다. 해당 시스템은 군용 장비
STX엔진은 최근 대만 중전기 제조 및 EPC 업체 Shihlin Electric & Engineering Corp.(SEEC)과 약 200억 원 규모의 엔진발전설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STX엔진은 이번 계약을 통해 사업자인 대만전력청(TPC)이 운영하는 도서내연발전소에 추가로 총 8.8MW 규모의 엔진발전설비를 공급하게 된다. 최근 대만 정부의 대기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해 선택적 환원촉매 설비도 함께 공급된다. 대만전력청은 설비 기준이 매우 까다로워 세계적인 기업들도 사업을 포기하는 사례가 발생하는 등 쉽지 않은 사업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STX엔진은 지난 20년간 신뢰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고, 까다로운 대만전력청의 기준을 만족시키며 엔진발전설비를 4개 도서 총 8대, 14.4MW 규모의 공급 실적을 확보할 예정이다. 앞서 STX엔진은 올 2분기 이라크 쿠르드 지역 시멘트플랜트의 전력공급을 위한 50MW 규모의 엔진발전설비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서울시 산하 물재생센터의 노후 펌프구동용 디젤엔진설비 교체 공사를 계약하는 등 엔진설비 및 엔진발전플랜트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입증해 나가고 있다.
‘1000마력’ K9 자주포 엔진 국산화 개발로 연구개발 역량 인정 받아 “전 세계에 K-방산 경쟁력 알리는 주요 성과” STX엔진은 올해 달성한 K9 자주포 엔진 국산화 성과가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3 R&D 우수성과 10선’에 선정됐다고 이달 7일 전했다. 2023 R&D 우수성과 10선은 이달 7일부터 사흘간 진행되는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을 통해 처음 시행되는 R&D 영역 포상 정책이다.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이 6688개 산업 기술 중 올해 R&D 우수성과를 종합했고, 국민·전문가 등이 투표를 통해 선정했다. 올해 R&D 우수성과로 선정된 STX엔진 1000마력급 K9 자주포 엔진 국산화 성과는 부품 국산화를 통해 기술적 독립을 달성하고, K-방산 기술을 알리는 데 주요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STX엔진의 해당 성과는 방산 수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기획된 연구개발 과제를 통해 탄생했다. 엔진 설계, 시제품 제작, 엔진 성능 시험 등 개발 과정을 3년 여만에 수행해 특화된 엔진 기술을 인정받았다. 이상후 STX엔진 대표는
STX엔진은 지난 8일 자사 및 MAN ENERGY SOLUTIONS(이하 MAN ES)와 공동 개발 중인 선박용 친환경 엔진(L35/44DF CD)의 1ST FIRING 시동식 행사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STX엔진은 선박용 엔진 전문 생산업체로 출범해 1976년부터 지금까지 민수 선박용 디젤엔진 약 1만1500대, 3000만 마력을 생산해왔다. 이런 축적된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친환경 선박 엔진과 기자재 국산화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번 시동식에는 엔진 개발 주관사인 MAN ES 본사 최고 기술 경영자(CTO)인 Dr. GUNNAR STIESCH 및 임직원이 화상 회의를 통해 참석했으며 STX엔진에서는 이상수 대표이사 외 다수 임직원이 참석했다. 선박용 친환경 엔진(L35/44DF CD) 개발은 2030년까지 기존 유류 선박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70% 이상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기 위한 일환이며, L35/44DF CD는 STX엔진이 2019년 국내 대형 조선소와 엔진 계약 체결 및 납품 완료한 L35/44DF CR 엔진을 더 개선한 모델로 시장의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미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적극적으로
STX엔진은 신임 대표이사 사장에 이상수 STX엔진 특수본부장을 선임했다고 31일 밝혔다. 이 대표이사는 이날 취임사를 통해 STX엔진의 생존과 회사의 지속 성장을 위한 '독자 기술 확보'와 '책임 경영', '소통을 통한 신뢰 향상'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임직원 모두가 현재와 미래를 위해 무엇을 실행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다 같이 고민해달라"고 당부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궤도차량용 전자식 범용 디젤엔진 국산 개발업체 선정 STX엔진이 K21 보병장갑차 등 궤도차량용 3종 전자식 범용 디젤엔진 국산화 개발업체로 최종 선정돼, 12월 15일 국방기술진흥연구소와 무기체계 부품 국산화 개발 지원 사업 협약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현재 육군이 운용하고 있는 K21보병장갑차, 비호복합/천마, K200A1 계열 장갑차 디젤엔진의 내구 연한 도래 및 단종에 따른 대체 엔진 개발 소요가 제기됐다. 이에 이번 궤도차량 3종 전자식 범용 디젤엔진 개발은 국방기술진흥연구소가 주관하는 무기체계 부품 국산화 개발 지원(전략부품 국산화) 사업으로 추진됐다. 육군은 이번 방위산업용 국내 엔진 개발을 통해 기존 기계식 엔진 단종에 따른 후속 군수 지원 제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안정적 후속 전력화 및 미래 무기체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주요 핵심 부품 개발을 통해 전투차량 및 엔진 수출 장애 요인을 제거해 K-방산 수출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STX엔진은 2021년 우리 군의 명품 무기로 손꼽히는 K9 자주포 1000마력급 디젤엔진 국산화 개발업체로 선정되기도 했다. 중동 국가, 이집트 등 수출 제한 국가를 대상으로 한 추가 수
STX엔진이 지난 11일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KOMERI)과 상선 및 특수선용 K-DRIVE 기술 협력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K-DRIVE의 성공적인 기술 개발과 사업화 수주 유치를 위한 것으로, 양 기관의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협약식에는 KOMERI 배정철 원장 외 4명, STX엔진 박기문 대표이사와 신재용 실장(개발자) 외 4명이 참석한 가운데 KOMERI에서 진행됐다. K-DRIVE란 추진용 컨버터(인버터) 및 고조파 필터가 필요 없는 전기추진시스템으로, 기존 전기추진시스템보다 △Capex 20% △Opex 30% △Space 50% △Weight 30% 이상 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배터리 및 연료 전지 등 친환경 기자재를 통해 추진하는 전기추진 및 하이브리드 추진 선박뿐만 아니라, 디젤 일렉트릭 추진 선박에도 적용된다. 기존 전기추진시스템 시장은 ‘인버터와 고조파 필터’ 업체들이 해외 업체들로 구성되고 진입 장벽이 높아 국내 업체들은 진출하기 힘든 영역이었다. 그러나 STX엔진은 K-DRIVE라는 새로운 추진 시스템을 통해 국내 조선 기자재 업체와의 상생 협력이 가능한 SUPPLY CHAIN을 구성
STX엔진이 ‘2022 국제해양안전대전(KOE)’에 참가한다. 올해 6회째를 맞는 이번 전시회는 해양경찰청·인천광역시가 공동 주최하는 행사로, 최신 선박 및 조선 기자재를 200개사 500부스 규모로 선보이는 수도권 유일의 해양 특화 전시회다. STX엔진은 이번 전시회에서 해양경찰의 최신 200톤 경비정에 탑재되는 실물 디젤 엔진을 메인으로 전시한다. 전시되는 엔진은 가로×세로×높이(340×185×207㎝) 약 10톤 규모, 4700마력의 동력을 제공한다. 해양경찰의 최신 200톤 경비정에 2개 세트로 탑재돼 프로펠러 및 워터젯을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STX엔진은 이 같은 해경 200톤 경비정은 물론 해경 5000톤 경비함에 이르기까지 해경 대부분의 주요 경비함정에 국산화 엔진을 공급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엔진 정비를 수행함으로써 대한민국 해경의 해양 안전 수호에 든든한 동반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STX엔진은 디젤 엔진 외에도 지능형 수출용 해안 감시 레이더(GPS-800K)도 실물 전시한다. 2021년 방사청 및 국방기술품질원 지원을 받아 국산화 독자 개발한 이 제품은 우리 해군이 운영하는 신형 탐지 레이더의 반도체 전력 증폭 소자 등 이미 검증된 기
STX엔진은 독일 메카트로닉스 솔루션 제품 전문 기업으로 알려진 VINCORION사와 ‘하이브리드 엔진 시스템 사업 전략적 협력 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는 다가오는 미래 전투 장비에 적합한 방산용 하이브리드 엔진 시스템과 관련 소요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존 육상용 전투 장비에 탑재된 엔진의 시동기와 발전기를 떼어내 하나로 통합하고, 이를 변속기 사이에 설치해 ▲연료 효율 상승 ▲추가 전력 확보 ▲순간 가속 성능을 더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 엔진 시스템을 구축한 뒤에는 엔진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장비를 추가 설치해 실시간 엔진 상태 및 최적의 정비 소요 시점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STX엔진은 이런 시스템 구축을 통해 군용 전투 장비의 작전 범위 증가 및 전투 생존 능력 향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데이터 수집 센서와 연계해 실시간 엔진 상태 모니터링 및 최적의 정비 시점을 제공해 장비 가동율을 더 높게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TX엔진 박기문 대표이사는 “4차 산업 혁명에 발맞춰 방위 산업용 디젤엔진 하이브리드 추진화는 필수”며 “지난 46여 년간 당사가
Tekomar XPERT, 엔진 성능 최적화 및 운영비 절감 지원 ABB 터보차징이 2021 국제조선 및 해양산업전(KORMARINE 2021)에서 STX엔진과 체결한 테코마 엑스퍼트 신규 리셀러 계약에 따라 앞으로 STX엔진 고객사는 엔진 성능 최적화를 통한 연료 절감 및 운영비 절감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ABB 터보차징의 디지털 성능 최적화 플랫폼 Tekomar XPERT는 모든 엔진에 적용할 수 있으며, 고품질의 신뢰 높은 엔진 운전 데이터를 실행 가능한 통찰력으로 변환해 엔진 성능 최적화와 정비를 지원한다. STX엔진 부품 서비스 영업사업부 김종귀 본부장은 “STX 엔진은 스마트 솔루션을 통해 더 친환경적인 사회로 가는 선두에 서고자 한다. 고객에게 Tekomar XPERT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역량은 이런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ABB 터보차징 디지털 솔루션 영업·마케팅·파트너십 총괄 마우로 디 미켈리는 “새로운 리셀러 계약은 STX 엔진과 고객에게 Tekomar XPERT 가치를 입증한다. 업계 최고의 엔진 제조사가 보이는 Tekomar XPERT 기능에 대해 확고한 지지이며, 우리는 STX엔진과 협력
헬로티 조상록 기자 | STX엔진의 전자통신본부가 해안 감시 레이더 분야의 특화한 기술력과 검증된 해안 감시 장비를 선행 개발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에 방위사업청이 진행하는 ‘해안 감시 레이더-Ⅱ 체계 개발 사업’에 도전한다. STX엔진 전자통신본부는 2020년 6월 방위사업청 및 국방기술품질원 지원으로 최첨단 지능형 수출용 해안 감시 레이더(GPS-800K) 국산화 개발을 완료했다. GPS-800K는 우리 해군이 운용하는 신형 탐지 레이더의 반도체 전력 증폭 소자(SSPA), 소형 표적 탐지 및 추적 등 이미 검증된 기술을 적용했다. GPS-800K은 서해안에서 실시된 공인 기관 운용 시험 평가에 합격하고, 동해안에서 군 시범 운용까지 성공적으로 마쳐 어떤 해안 환경에서도 운용할 수 있는 장비라는 점이 입증됐다. 이 장비는 국제해양·안전대전, MADEX 등 전시회를 통해 국내외 관계자들에게 소개를 진행한 바 있다. STX엔진 전자통신본부는 레이더 및 소나 분야의 전신인 대우통신 시절부터 30년간 해안 감시용, 함정용 등 다양한 레이더를 개발했다. 현재 우리 해안에서 운용되는 GPS-98K도 1998년 최초로 국산화 개발해 전력화한 해안·해상 감시 레이더 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STX엔진 박기문 대표이사는 지난 7일 국방과학연구소 해양기술연구원을 취임 이후 처음 찾아 류존하 해양기술원장 등 관계자들과 그간 수행한 수중 음향 분야 사업에 대한 상호 의견을 논의했다. 류 원장은 “지난 30년간 수중 음향 분야에서 꾸준히 노력한 STX엔진 임직원의 노고에 감사하다”며 “앞으로도 수중 음향 분야 연구 개발 사업에 소통·상생하면서 발전할 수 있도록 STX엔진 역량을 집중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해양원과 시제 업체 연구원들이 야외 시험장에서 시험 평가 등 목표를 완수하기 위해 서로 간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시험에 몰입해 성공한 이야기 등을 나눴다. 현재 STX엔진과 해양기술연구원은 FFG급부터 KDDX급까지 함정별 선체 고정형 소나 사업의 시제 업체로 개발 및 양산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이번 결정은 정부가 2030년까지 기존 유류 선박과 비교해 온실가스 배출량 70% 이상 저감하는 친환경 선박 기술을 개발하는 데 적극적으로 동참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는 액화천연가스(LNG), 전기, 하이브리드 핵심 기자재 기술 국산화 및 고도화에 이어 혼합 연료 등 저탄소 기술을 적용하고 최종적으로 수소, 암모니아 등 무탄소 선박으로 가기 위한 친환경 선박 기술을 개발하는 데 적극적인 지원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최근 국내 대형 조선사 위주로 대규모 수주 소식이 전해지고 있으나, STX엔진을 비롯한 국내 중소형 조선소 및 기자재 업체는 여전히 큰 어려움에 처해있는 게 사실이다. 특히 STX엔진은 최근 10여년간 조선 경기의 극심한 부진으로 민수 엔진 사업에서 상당히 고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신규 사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 및 도전으로 정부 관공선 프로젝트를 수주해야만 하는 절박한 입장에 놓여있다. STX엔진은 2010년부터 700~1950t급 어업 지도선 40여척에 디젤 주기 엔진을 공급하면서 기술과 경험을 축적했고, 안정된 품질과 고객 지향적 서비스로 고객들에게 호평을 받아왔다. 이에 힘입어 지난해 어업 관리단 친환경 선박 전환 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STX엔진은 6월 9~12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리는 2021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에 참가한다고 9일 밝혔다. 올해 12회를 맞는 MADEX는 대한민국 해군, 부산광역시 그리고 한국무역협회가 공동 주최하는 행사로 최신 함정, 잠수함, 조선 기자재를 450여 개 부스 규모로 선보이는 국내 최대 규모 해양 방위 체계 전시회다. STX엔진은 이번 전시회에서 해군 최신 호위함(FFX-II)에 탑재되는 실물 디젤 발전기 세트를 메인으로 전시한다. 가로×세로×높이(595×259×446㎝) 총 25t 규모의 디젤 발전기 세트는 함정 내외부 소음 배출 감소를 위해 차음 상자와 함께 구성되며, 1400KW의 전력을 생산, 함정 추진 체계에 해당하는 프로펠러를 구동하거나 함정 운용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한다. STX엔진은 실물 디젤 발전기 세트 외에도 해경 500t급 경비함에 탑재되는 모형 디젤 엔진 추진 세트와 독자 기술로 개발한 해안 및 항만 감시용 안테나 세트도 전시한다. STX엔진 박기문 대표이사는 “방위 산업은 국가 안보 기여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 발전·수출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사업”이라며 “40여 년간 축적한 방위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