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폭스바겐의 내연기관 차량용으로 공급하고 있는 V2X(Vehicle to Everything, 차량·사물간 통신) 모듈이 세계 최초로 보안 안정성을 평가하는 국제공통평가기준(Common Criteria, 이하 CC) 인증을 획득했다고 26일 밝혔다. CC인증은 제품의 보안성을 평가하기 위한 국제표준으로 한국을 포함한 31개국이 상호 인정하는 평가 인증이다. LG전자는 고도화된 유럽 보안 인증 체계에 맞춰 운전자가 안심하고 주행할 수 있도록 이번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CC인증을 받은 LG전자의 V2X 모듈은 폭스바겐의 내연기관 전용 플랫폼(MQB)의 통신 모듈(VW Transceiver Module)에 탑재된다. LG전자는 연내 폭스바겐의 전기차용 플랫폼(MEB)에 탑재되는 V2X 모듈도 CC인증을 받을 계획이다. V2X는 자동차가 도로에 있는 다양한 사물과 정보를 주고 받는 기술을 일컫는다. 주변 교통 상황과 차량의 접근 등을 알려주는 V2V(Vehicle to Vehicle), 신호등과 같은 교통 인프라와 소통하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보행자 정보를 확인하는 V2P(Vehicle to Pedestrian) 등으
KT가 소프트웨어 기반 모빌리티 솔루션에 대해 ISO/SAE 21434에 기반한 사이버 보안 관리체계(이하 CSMS, Cyber Security Management System) 국제 인증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ISO/SAE 21434는 자동차의 소프트웨어 설계부터 개발, 테스트, 양산 이후의 단계까지 사이버 보안 프로세스 및 요구 사항을 정의하는 국제표준이다. KT는 글로벌 제품 안전 인증 기관인 UL솔루션스로부터 소프트웨어 기반 모빌리티 솔루션의 사이버 보안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최근 해킹 등 사이버 위협을 활용한 도난, 운행 방해 등의 해외 사례가 지속 발생하는 만큼 보안 역량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KT는 AI 활용 데이터 분석 등 AX 역량을 활용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n-Vehicle Infotainment, IVI) 및 교통 관제 솔루션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반 모빌리티 솔루션을 운영 중인 만큼 사이버 보안 대응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사이버 보안 관리 체계와 관련해 유럽은 2022년 7월부터 56개 협약국에 신차를 출시하기 위해 인증을 의무적으로 받아야하며 올해 7월부터 생산·판매되는 모든 자동차에 규제가 적용된다. 또한
SK쉴더스가 씨피식스와 자율주행차 보안 사업 확대를 위한 협력을 맺었다고 21일 밝혔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프리시던스 리서치 조사 결과 모빌리티 보안 시장이 연 18% 이상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SK쉴더스는 유망 스타트업 씨피식스와의 기술 협력을 통해 자율주행차 취약점 점검을 비롯해 모빌리티 보안 서비스 제공에 나선다. SK쉴더스는 IT기술에 발맞춰 보안 서비스 적용 분야를 넓혀왔다. 클라우드, AI 등 디지털 전환에 대응해 왔으며, 제조·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에서의 취약점 점검, 모의해킹을 수행하며 보안 수준을 높여왔다.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신기술이 집약된 자율주행차 보안 시장에서도 다년간 축적된 경험과 독보적인 보안 기술력을 선보인다. 최근 자율주행차, 전기자동차 등 모빌리티 산업에서의 데이터 및 통신 활용이 늘어나면서 이를 노린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정보보안과 관련한 인증제도와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유럽경제위원회(UNECE)가 제정한 차량 보안 규정(UNR155)에 따라 UNECE 협약국에 차량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사이버 보안 관리체계 인증(CSMS, Cybersecurity Management System)과
한국전기차인프라기술(이하 KEVIT)이 참가한 ‘제37회 세계 전기자동차 학술대회·전시회(EVS37)’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KEVIT은 전기차 충전 솔루션 및 기술 소개와 함께 전기차 충전기 라인업을 확인할 수 있도록 부스를 구성했으며 DR충전과 PnC기반의 충전 솔루션을 선보였다. DR충전은 전력 수요를 조절해 전력 계통 안정화 및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는 충전기술로 작년 3월 KEVIT이 국내 최초로 실증사업을 통해 사업화를 입증해낸 바 있다. 함께 선보인 PnC(Plug&Charge) 충전기술은 충전 커넥터를 차량에 꽂기만 하면 자동으로 인증부터 충전, 결제까지 이뤄지는 간편 충전 기술이다. 특히 KEVIT은 전시 둘째 날 세계 최대 eRoming플랫폼 허브젝트(Hubject)와 협업을 통해 자사 CSMS(충전관제시스템)과 인증서 관리시스템 간 안정적인 통신 및 신뢰성을 입증하며 PnC 충전을 시연했다. 오세영 KEVIT 대표는 “글로벌 전기차 전문가가 참석하는 행사를 통해 KEVIT의 기술적 발전을 선보일 수 있어 기쁘다”고 밝히며 “DR 스마트충전 및 PnC 기술을 통해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 한층 발전된 협업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며,
한국전기차인프라기술(이하 KEVIT)이 최근 진행된 ‘OCPP Plugfest’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며 성공적으로 행사를 마쳤다고 18일 밝혔다. OCPP Plugfest는 OCPP를 탑재한 전기차 충전기와 충전관제시스템(CSMS)의 상호 호환성 및 OCPP 표준 준수 여부를 교차 검증하는 과정이다. 지난 9월부터 KEVIT은 미국의 ChargePoint, Switch EV와 스위스의 ABB, 네덜란드EVBOX 등 다수의 글로벌 전기차 충전 대표 기업들과 충전관제시스템 및 충전기에 대해 상호 간 테스트를 진행해 왔다. KEVIT은 이번에 진행된 Plugfest에서 글로벌 기업과 함께 OCPP 1.6/2.0.1 기반의 전기차 충전기와 충전관제시스템 테스트를 안정적으로 구현해내며 상호 간 원활한 통신 및 높은 호환성을 성공적으로 검증했다. 이는 곧 KEVIT의 전기차 충전기 및 충전관제시스템이 글로벌 충전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써 KEVIT은 전기차 충전 솔루션의 신뢰성과 보안성,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해냈다. 이번 성과는 전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충전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전기차 사용자에게 나은 충전 경험을 제공할 수
한국전기차인프라기술(KEVIT)은 12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토에서 진행 중인 'EVS36(Electric Vehicle Symposium) 전시회'에서 세계 최초로 전기차 초급속충전기와 충전시스템(CSMS)에 대해 OCPP 2.0.1을 동시 인증받았다고 14일 밝혔다. OCPP는 국제 개방형 충전 통신규약으로 OCA(Open Charge Alliance)가 충전기와 충전시스템 간 원활한 통신 및 제어를 위해 개발한 프로토콜로 50개 이상의 국가에서 표준 프로토콜로 채택했으며, 국내에서는 작년 환경부가 충전기 보급사업에 OCPP 1.6 인증을 의무화하면서 대다수 충전 인프라의 운영체계로 자리잡았다. KEVIT이 세계 최초로 인증받은 OCPP 2.0.1은 기존 1.6버전보다 보안이 강화된 통신환경을 지원하며 향상된 충전기술 대응이 가능하여 PnC(플러그앤차지), 무선충전 등 스마트 충전기술에 더 적합한 통신규약이다. 이번 OCPP 2.0.1 인증은 글로벌 11개 기업이 참여했으며 충전기와 충전시스템 둘 다 인증 받은 곳은 KEVIT이 전 세계에서 유일하다. 이로써 KEVIT은 지난 2021년 OCPP 1.6.3을 세계 최초로 인증 받은 것에 이어
SK온이 글로벌 시험 인증기관 'TUV 라인란드'로부터 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 대한 '사이버보안 관리체계'(CSMS) 인증을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CSMS 인증은 차량용 소프트웨어와 전기·전자 부품에 대한 사이버보안 위험을 조기에 인식하고 이를 조치할 수 있는 기업에 발급하는 것으로, 이 인증을 획득한 것은 한국 배터리 기업 중 처음이라고 SK온은 전했다. SK온은 이번 인증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할 수 있는 발판을 조기에 마련했다. 유럽경제위원회(UNECE)가 2021년 발효한 차량 사이버보안 규정 'UNR155'에 따라 2022년 7월부터 신차는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인증이 있어야 UNECE 협약국에서 판매할 수 있으며, 2024년 7월부터 적용 대상이 전 차종으로 확대된다. UNECE는 유럽연합(EU)뿐 아니라 북미, 아시아 내 총 56개 국가가 참여 중인 만큼, UNR155 규정은 사실상 글로벌 스탠다드로 통한다. 실제 글로벌 완성차 업체는 이를 근거로 부품 제조사에 사이버보안 관리체계를 갖춘 제품을 요구하고 있다. SK온은 선제적 대응을 위해 지난해 TUV 라인란드에 BMS에 대한 CSMS 인증 시험을 의뢰한 뒤 1년여에 걸친 심사를
미래 모빌리티, 통합형 오토모티브OS와 OTA를 비롯한 차량용 소프트웨어 중심 핵심 기술 부상 자동차가 단순한 운송수단을 넘어 스마트폰처럼 다양한 기술이 융복합 된 스마트 모빌리티로 진화하고 있다. 자율주행에 필요한 레이다, 라이다, 카메라 등 고사양 첨단 센서가 장착되고 자율주행 인프라와 협력하여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운전 환경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진화하는 것이다. 이에 소프트웨어 중심의 모빌리티(Software Defined Vehicle, 이하 SDV)가 자동차 업계에서 화두로 떠오르고 있으며, 자동차 사이버보안 역시 관심을 받고 있다. SDV는 과거 하드웨어를 통해 한정되던 자동차의 영역을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차의 주요 성능과 상품을 인공지능(AI), 5G 통신 연결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기술력으로 차량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하드웨어 교체를 통한 새로운 서비스의 접근을 소프트웨어를 통해 보다 손쉽고 효율적으로 누릴 수 있게 된 점이 큰 특징이다. SDV는 단순히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운영된다는 의미를 넘어선다. SDV는 차량 내 소프트웨어를 통해 차량 하드웨어를 최적화 운영할 뿐 아니라, 운전자 및 교통흐름을 바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