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능 전력 모듈 분야의 선도기업 바이코는 7월 4일 서울에서 열리는 ‘2024 오토모티브 이노베이션 데이’(AID)에서 전기차(EV) 전력 공급 네트워크의 설계를 혁신할 수 있는 두 개의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바이코의 차량 부문 마케팅 디렉터인 그렉 그린은 ‘고밀도 전력 DC-DC 모듈을 통한 차량 경량화 실현’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이 발표에서는 배터리 전기차(BEV)의 주행 거리를 제한하고 충전 문제를 악화시키는 중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 밀도 모듈을 활용해 차량의 중량과 전체 설계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바이코 수석 필드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인 최연규 이사는 ‘BEV 배터리 팩 내부에 고전압을 유지하는 48V 존 아키텍처 설계’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이 발표에서는 전력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차량의 중량을 줄이는 방법을 설명하며, 48V 전력 모듈을 활용해 고전압 시스템을 배터리 팩 내부에 설계하는 방법을 소개할 예정이다. 자동차 업계가 완전 BEV 쪽으로 경로를 변경함에 따라, 전력 시스템 설계 엔지니어들은 우수한 중량, 크기 및 확장성을 갖춘 새로운 고전압 전력 변환 솔루션을 모색하고 있다. 바이
보그워너가 스웨덴 전기차 브랜드 폴스타(Polestar)와 유럽 주요 OEM의 순수전기차(BEV)용 분배형 전기 토크 벡터링(eTVD) 시스템을 시장에 처음으로 선보였다. eTVD는 보그워너의 전기 토크 관리 시스템(eTMS) 솔루션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휠 토크를 지능적으로 제어해 안정성을 높이고 우수한 동적 성능을 제공하며 출발 및 가속 시 트랙션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됐다. eTVD는 현재 폴스타3 SUV 탑재를 위해 생산 중이며 주요 유럽 OEM을 위한 생산은 올해 말에 시작될 예정이다. 보그워너 부사장이자 드라이브트레인 및 배터리 시스템 사장 겸 총괄 책임자인 볼커 웡은 “새로운 EV 토크 관리 시스템은 보그워너 팀의 다양한 전문성, 시스템 통합 역량과 뛰어난 성과를 보여준다”며 “시장이 더 많은 소프트웨어 기반 모듈 및 차량으로 전환함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서 차량 동작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계산·예측·제어할 수 있도록 eTVD와 같은 정교한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고 전했다. 고성능 eTVD는 디퍼런셜을 대체하는 3-in-1 시스템을 제공하며 토크 벡터링과 온디맨드 분배 기능을 탑재했다. 브레이크 기반 시스템과 달리 토크 벡터링은 불필요한
차량용 IoT 디바이스, 전기차 및 SDV 중심 모빌리티 등 데이터 플랫폼 분야 진출 오토앤이 차량과 사용자에 대한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빌리티 데이터 플랫폼(Mobility Data Platform)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모빌리티 데이터 플랫폼은 차량 및 고객 데이터를 수집·분석·활용하기 위한 창구다. 오토앤은 차량용 IoT 장치 개발 및 판매, 커머스 사이트 구축, 전기차 및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중심 자율주행차 등을 아우르는 모빌리티 데이터 플랫폼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한다. 오토앤은 이를 통해 차량과 사용자의 연결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찬욱 오토앤 대표이사는 “차량은 단순 이동수단에서 공간 컴퓨팅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오토앤은 완성차 업체와의 꾸준한 연계를 통해 모빌리티 데이터 플랫폼 실현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판매량 351대 기록...특유의 퍼포먼스와 높은 보조금 책정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 “성능, 주행 질감, 가격 등 ID.4의 상품성 입증돼...입지 굳힐 것” 폭스바겐 순수 전기차 ‘ID.4’가 3월 한 달간 한국수입자동차협회 기준 국내 판매량 351대를 기록하며 국내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폭스바겐에 따르면 ID.4는 전동화 전략인 e-테크놀로지가 집약된 모델로, 비틀(Beatle), 골프(Golf) 등 기존 폭스바겐의 DNA를 계승하면서도 글로벌 전동화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탄생했다. 1회 충전 시 도심 및 고속 복합 주행거리 421km를 제공하고, 에너지 소비효율 4.9km/kWh 성능을 갖췄다. 아울러 클리마트로닉 자동 에어컨, 360° 어라운드 뷰 기능 ‘에어리버 뷰’, 주행 보조 시스템 ‘IQ 드라이브’, 지능형 인터랙티브 라이팅 시스템 ‘IQ.라이트-LED 매트릭스 헤드램프’ 등 편의 기능을 담아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는 중이다. 여기에 운전자에게 운전 반응이 없을 때 알림을 제공하고 차량을 멈추는 ‘이머전시 어시스트’ 등 안전 기능을 탑재했다. 신동협 폭스바겐코리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상무는 “ID.4는 전기차 고유의 성능과 이질감 없는
자동차 산업이 100년에 한 번 있는 변혁으로서 자동차의 전동화·지능화에 대응하는 가운데, 닛산자동차에서는 세계 최초로 2010년에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Battery EV, BEV) ‘닛산 리프’을 양산하기 시작했다. 그 후 많은 전기자동차가 BEV 시장에 진출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차량의 모델 체인지에 맞춰 전동 파워트레인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그 제어도 개량·발전시켜 왔다. 2016년에는 BEV의 전동 파워트레인과 구동계를 공용하는 100% 모터 구동 e-POWER를 일본 시장의 ‘닛산 노트’용으로 선보였다. e-POWER는 파워트레인 방식으로서 시리즈 하이브리드로 분류되는데, 다른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차별화해 높은 가속 성능과 액셀 조작성을 BEV의 개발로 얻은 전동 파워트레인의 제어를 통해 실현하고 있다. 현재는 BEV를 비롯해 100% 모터 구동 차량이 많이 시장에 투입되고 있는데, 전동 파워트레인 제어의 관점에서 정리된 문헌은 많지 않다. 이 글에서는 닛산자동차의 전동 파워트레인 발전을 사례로 BEV와 e-POWER 모두를 다루어 보고, 특히 양산차에 채용된 전동 파워트레인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전동 파
각형·파우치형·21mm 원통형 이은 차세대 이차전지용 폼팩터 갖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업체 피아이이는 전기차에 탑재되는 차세대 46파이 원통형 이차전지 전용 비전검사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알렸다. 피아이이가 이번에 론칭한 이 기술은 피아이이가 보유한 각형·파우치형·21mm 원통형에 이은 차세대 기술이다. 이번 개발로 이차전지 비전검사 확장성이 확보됐다는 평가다. 이는 지난 2020년 개발돼 현재 각종 전기차 모델에 탑재되는 직경 46mm, 높이 80mm 규모 원통형 배터리 ‘4680’의 비전검사에 활용된다. 최정일 피아이이 대표는 “피아이이는 그동안 이차전지 전 폼팩터 및 공정에 적용 가능한 AI 기반 비전검사 솔루션 개발과 관련 현장 경험을 축적했다”면서 “앞으로도 차세대 배터리에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지속 개발해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국내 5050대, 국외 1950대 팔아...전년 동기 대비↓, 전월 대비↑ “토레스 EVX 출고 시작으로 회복세 전환 기미” KG모빌리티가 글로벌 총 판매량 7000대를 올려 전월 대비 9.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달 출고를 시작한 EV 모델 ‘토레스 EVX’의 영향으로 도출된 성과로 분석된다. KG모빌리티에 따르면 국내 시장은 렉스턴 스포츠의 판매 실적 저조로 전년 동월 대비 21.4%가량 판매 수치가 감소했다. 반면 토레스 EVX 출고를 기점으로 판매량이 전월 대비 32.8% 반등했다. 해외 시장은 평택 공장 조립라인 통합 공사로 생산 물량이 감소해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이 떨어졌다. KG모빌리티 관계자는 “토레스 EVX의 국내외 출고로 판매 실적 회복세를 보이는 만큼,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국내외 시장 판매량을 늘려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4세대 전동화 구동 시스템 ‘EMR4’ 생산 공장 ‘활짝’ 물류 시스템 ‘오토스토어’ 결합한 차세대 자동화 생산 설비 구축 모습 시연 스테이터·로터·인버터 조립 라인, 완제품 보관 구역, 최종 조립 공정 등 생산 설비 공개 최근 완성차 시장은 중국·미국·독일·대한민국을 필두로 전동화 기반이 마련됐다. 올해 2분기까지 전동화 자동차는 전 세계 총 약 737만 대가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1.2% 증가한 수치다. 내수 시장도 활기를 띄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하이브리드 자동차(HEV)와 전기차(BEV)는 2년 전 동기 대비 각각 두 배, 4.5배에 오른 판매고를 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완성차 시장의 전동화 전환 열기가 고조됨에 따라,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에 적용되는 핵심 장기의 기술 고도화가 발빠르게 진행 중이다. 일부 완성차 기업은 전동화 올인 전략을 내밀며 완전 전동화 실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흐름에서 완성차 부품 업계도 각자 전동화 전략을 마련해 글로벌 시장 도약 및 선점 기회를 엿보고 있는 양상이다. 여기서 업계는 전동화 자동차 최적화 및 효율화를 달성하는
보그워너가 글로벌 주요 OEM 업체의 유럽 경차 프로그램에 적용될 400볼트(V) 고전압 수가열 히터(high voltage coolant heater, HVCH)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해당 제품은 2026년에 생산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계약은 OEM 업체와 두 달에 걸쳐 체결한 두 번째 HVCH 계약으로, 두 계약은 각각 다른 지역에서 체결됐다. 보그워너 관계자는 "보그워너는 전 세계를 아우르는 솔루션으로 OEM 업체의 출시 예정인 배터리 전기차(BEV) 플랫폼에 발 빠른 지원으로 대응하며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다졌다"고 전했다. 조셉 파둘 보그워너 ETTS(Emissions, Thermal and Turbo Systems) 사장 겸 총괄 책임자는 "보그워너 엔지니어링 팀이 해당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다양한 패키징 관련 어려움을 훌륭하게 해결해 보그워너 HVCH 제품이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는 적합성과 확장성을 갖춘 최적의 모델로 거듭났다"고 말했다. 보그워너의 400볼트 HVCH는 BEV 배터리 및 캐빈의 열 제어 기능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고출력 에너지 밀도의 모듈 설계를 특징으로 하며, OEM 업체의 크기 및 무게
보그워너가 북미 주요 OEM 업체의 프리미엄 승용차 배터리 전기차(BEV) 플랫폼에 적용될 양방향 800볼트(V) 온보드 차저(OBC)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보그워너의 기술은 실리콘 카바이드(SiC) 전력 스위치를 사용해 효율성을 개선하고 최적화된 전력 밀도 및 전력 변환을 제공하며 안전 규정을 준수한다. OBC의 생산은 2027년 1월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그워너 부회장 겸 파워드라이브 시스템 사장 겸 총괄 책임자인 스테판 데멀레는 "이번 계약은 해당 OEM 업체와 체결한 첫 OBC계약이자 북미에서 체결한 첫 OBC계약으로, 보그워너 팀에게 큰 성과"라고 전했다. 이어 "보그워너는 세계적 수준의 파워 일렉트로닉 전문성과 800V 및 실리콘 카바이드 기술에 대한 시장 선도적 지위를 통해 충전 기능을 극대화하고 전력 밀도를 확장하며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다양한 지역의 전력 그리드 구성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그워너의 OBC 기술은 전기차에 탑재돼 전력망의 교류(Alternating Current, AC)를 직류(Direct Current, DC)로 변환, 배터리를 충전한다. OBC는 19.2킬로와트(
2024년 전기자동차 출하량 총 1790만 대 예상…. 2030년 출시 차량 절반 이상 전기차 전기차 가격, 2027년까지 내연기관차와 동등한 수준으로 떨어져…기업 행보 변화 귀추 가트너(Gartner)가 올해 전 세계적으로 약 1500만 대의 전기차가 출하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24년에는 올해 대비 19% 증가한 총 1790만 대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다. 가트너는 2024년 승용차, 버스, 밴, 대형 트럭 등 모든 종류의 전기차(EV) 출하량이 총 185억 대에 달할 것이며, 그 중 승용차의 출하량은 전체의 97%를 차지할 것이라 전망했다. 전 세계 순수전기차(BEV) 출하량은 2022년 900만 대에서 2023년 말까지 1100만 대로 증가할 전망이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는 2022년 300만 대에서 2023년 400만 대로 다소 완만한 성장이 예상된다. 조나단 데이븐포트(Jonathan Davenport) 가트너 시니어 디렉터 애널리스트는 “미국, 캐나다, 일본의 경우 소비자들이 BEV보다 PHEV를 선호함에 따라 전체 전기차 중 PHEV의 비율이 소폭 증가할 것”이라며, “순수 내연기관차(ICE)에서 EV로 전환하려는 미국 소비자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베트남 전기차 회사인 빈패스트와 8500만 달러(약 1009억 원) 규모의 전기차 부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로써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글로벌 전기차 부품 수주 전체 금액은 4억 달러(약 4748억 원)를 돌파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빈패스트와 공급계약을 체결한 것은 2020년 하반기 5500만 달러, 작년 상반기 9300만 달러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이외에 신생 전기차 업체인 미국 리비안 등과 1억7000만 달러의 부품 계약을 체결하는 등 약 1년간 총 4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전기차 부품 수주 실적을 기록했다. 이번 계약으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빈패스트에 배터리전기차(BEV)에서 구동축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인 하프샤프트를 공급하게 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중소 자동차 부품사들과의 동반 상생에 나서며 전기차 부품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 특히 친환경차 핵심부품인 구동모터코아 분야를 전략사업으로 선정하고 집중 투자를 진행 중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중국 포스코아 지분 참여, 멕시코 생산법인 설립 등에 이어 연내 유럽지역에도 생산거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