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수가 지난 3일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FDI 서밋 2025(Fasoo Digital Intelligence Summit 2025)’를 개최하고 AI와 보안이 융합된 대응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금융, 유통, IT,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CIO, CISO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AI 혁명에서 살아남는 방법: 데이터 인프라, 거버넌스, 그리고 보안’을 주제로 진행됐다. 조규곤 파수 대표는 ‘생성형 AI와 사이버 보안’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AI 인프라에 대한 과도한 선투자보다는 데이터 인프라 강화와 AI 거버넌스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AI 적용을 위한 기반 프로세스 가이드라인 정립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사이버 위협과 지정학적 갈등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이버 보안 최적화,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보안, 공급망 리스크 관리를 제시했다. 조 대표는 복잡한 보안 환경 속에서 수십 개의 솔루션을 운용하는 기업들이 여전히 보안 위협에 노출돼 있으며 예산 부담도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리스크 정량화,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통합형 보안 플랫폼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구체적 적용 사례를 함께 공유했다.
[헬로즈업 세줄 요약] ·AI와 보안 기술의 융합, 산업 현장에서 실질적 과제로 부상 ·KAIST·KISA 등 각 분야 전문가들, 최신 위협과 기술 전략 공유 ·데이터 해석, 비용 구조, 오케스트레이션, AI 윤리까지 전방위 논의 에스투더블유(이하 S2W)가 지난 6월 26일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연례 기술 컨퍼런스 ‘SIS 2025: MOVEMENT’를 개최했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은 이번 행사는 약 600여 명의 산업계, 학계, 공공기관 실무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AI와 보안, 그리고 데이터의 흐름을 주제로 기술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장이 됐다. 서상덕 S2W 대표는 “SIS가 산업계·학계·공공부문이 함께하는 기술 인사이트 교류의 장으로서 입지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데 대해 뜻깊게 생각한다”며 “향후에도 안보와 산업을 아우르는 AI 생태계 전반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지식 공유의 기회를 적극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조연설은 KAIST 신승원 교수가 맡았다. 그는 '혼돈에서 통찰로: AI가 데이터에서 의미를 찾는 법'을 주제로, 정보 수집부터 통찰 도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AI의 역할을 입체적으로 조명했다. 신 교수는 “정보는 연결될
F5는 레드햇과의 협업을 확대해 기업이 안전하고 고성능 AI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5일 밝혔다. F5 애플리케이션 전송 및 보안 플랫폼과 레드햇 오픈시프트 AI 통합을 통해 F5 고객들은 RAG(검색 증강 생성), 안전한 모델 제공, 확장 가능한 데이터 수집 등 실용적이고 부가가치가 높은 사용 사례에 집중하며 더 빠르고 안전하게 AI를 도입할 수 있다. 쿠날 아난드 F5 최고혁신책임자는 “기업들은 AI의 힘을 활용하고자 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하고 보안을 유지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레드햇과의 협업은 성능, 보안, 가시성 요구사항을 해결하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해 이런 여정을 단순화하고 조직이 실질적인 AI 성과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이번 협업은 AI 도입이 가속화되는 시점에 이뤄졌다. F5의 ‘2025 애플리케이션 전략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조직의 96%가 AI 모델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2023년 25%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또한 응답자의 72%가 애플리케이션 성능 최적화에 AI 활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59%는 비용 최적화와 보안 강화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포티넷코리아가 27일 서울 롯데월드 호텔에서 연례 컨퍼런스 ‘포티넷 액셀러레이트(Accelerate) 2025’를 개최하고, AI 기반 위협에 대응하는 차세대 보안 전략을 공유했다. ‘Fortify Your Tomorrow’를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실무 중심의 세션과 함께 글로벌 보안 인텔리전스 리더들의 키노트 발표가 이어졌다. 첫 번째 키노트에 나선 조원균 포티넷코리아 지사장은 “사이버 공격은 시간과의 전쟁에 가깝다”며 위협 탐지부터 대응까지 평균 3주 이상 걸리는 현재의 대응 체계로는 공격의 속도를 따라잡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미국 증권거래소 규정상 침해 발생 시 4일 내 유형, 목적, 범위를 공시해야 하는 현실을 언급하면서 보안 대응 속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조원균 지사장은 최근 급증하고 있는 데이터 탈취형 공격의 양상에 주목했다. 지난해 국내 침해사고는 48% 증가했고 특히 랜섬웨어 공격은 점점 더 고도화되어 피해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서버 해킹을 통해 기업의 민감한 정보를 빼내고 이를 외부에 유출하거나 협박 수단으로 활용하는 공격 유형이 늘고 있다는 설명이다. 재택근무의 확산과 SaaS 기반 애플리케이션 도입으로 네트워크 구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는 AI 전용 보안 솔루션 ‘AI 방화벽(Firewall for AI)’을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솔루션은 무단 쿼리, 적대적 입력, 대규모 데이터 스크래핑 등 다양한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AI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한다. AI 기술이 산업 전반에 걸쳐 빠르게 확산하면서 기업들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 에이전틱 AI, 기타 최신 AI 툴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적대적 공격, 모델 추출, API 악용, 대규모 데이터 스크래핑 등 기존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WAF)으로 방어하기 어려운 새로운 형태의 보안 위협도 증가하고 있다. 아카마이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PI LLM 디스커버리(API LLM Discovery)’ 등 새롭게 향상된 기능과 결합한 AI 방화벽을 통해 기업들이 AI 기술을 보다 안전하게 관리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루페시 초크시 아카마이 애플리케이션 보안 담당 수석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는 “기존 보안 시스템만으로는 AI를 겨냥한 새로운 형태의 공격을 차단하기 어렵다. AI 시대를 맞아 기업들이 생산성 향상을 위해 AI를 적극 도입하려는 시점에서 이제 AI 보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AI 보안 전문기업 에버스핀(대표 하영빈)이 실시간 악성앱 탐지 서비스 ‘RTAS(Real Time Alarm Service)’를 공식 출시하며, 금융권이 공동으로 보안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RTAS는 악성앱에 의한 피싱 범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금융사 간에 공유하는 방식으로 기존 개별 대응 체계의 한계를 뛰어넘는 보안 생태계를 제시한다. RTAS는 지난 2021년 5월 24일, 에버스핀의 보안 애플리케이션 ‘캐치(Catch)’ 앱(구글플레이 버전 v2.1.8)을 통해 최초 적용된 기술이다. 해당 기술은 사용자가 앱을 실행하지 않아도 백그라운드에서 스마트폰 내 설치된 악성앱과 그 행위를 실시간으로 탐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해 금융사는 자사 앱의 실행 여부와 관계없이 고객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위협을 즉시 인지할 수 있다. 개인정보보호법을 철저히 준수해 설계된 RTAS는 특허법인의 검토 결과, 관련 기술 분야에서 선행기술로 인정받으며 기술력을 입증 받았다. 특히, RTAS는 금융기관 간 정보 연계를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 예를 들어, A금융사의 고객이 악성앱에 노출되었을 경우, RTAS는 해당 정보를 에버스핀의 페이크
글로벌 보안 솔루션 기업 슈프리마(대표 이재원, 김한철)가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ISC West 2025에 참가해 AI와 클라우드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통합 보안 플랫폼을 대거 공개했다. 슈프리마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엔터프라이즈급 통합 보안 플랫폼 '바이오스타 X(BioStar X)'를 글로벌 시장에 정식 출시했다. 바이오스타 X는 출입통제와 영상분석을 단일 플랫폼으로 통합해 AI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이상 행동 감지, 테일게이팅(미승인 접근) 방지 등 고도화된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대시보드를 통해 실시간 비디오 모니터링, 출입 로그 기록, 건물 도면 연동 등을 직관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이 플랫폼은 수만 명의 사용자 등록과 5,000개 이상의 보안 장치 연동을 지원하며 공항·병원·정부기관 등 대규모 시설에 최적화됐다. 또 CES 2025 최고 혁신상을 수상한 AI 알고리즘을 적용해 침입, 배회, 쓰러짐 등 위험 상황을 자동 감지하고 즉시 대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온프레미스 인프라 없이도 클라우드로 간편한 보안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바이오스타 에어(BioStar Air)'
카스퍼스키가 보안 정보 및 이벤트 관리(SIEM) 솔루션의 대규모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이번 업데이트로 카스퍼스키 SIEM은 AI 모듈과 리소스 시각화 기능을 추가해 보안팀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새롭게 도입된 AI 모듈은 과거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경고 및 사고 분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AI 기반 자산 위험 점수를 제공해 신속한 대응을 지원한다. 특정 활동과 다양한 자산 간의 연관성을 분석해 비정상적인 이벤트를 빠르게 식별할 수 있다. 리소스 시각화 기능도 강화됐다. ‘리소스 종속성 그래프’로 필터·규칙·목록 등 리소스 간 관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계층적 폴더 구조를 활용해 대규모 팀이나 복잡한 검색 쿼리 환경에서도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는다. 분석가는 검색 쿼리의 시작 및 종료 시간을 설정해 ‘롤링 윈도우 보고서’를 생성하고 검색 기록을 저장해 이전 쿼리를 재사용할 수 있다. 카스퍼스키 엔드포인트 시큐리티 에이전트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 방식도 간소화됐다. 기존에는 각 워크스테이션에 SIEM 에이전트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중간 호스트를 거쳐 데이터를 수집해야 했으나, 이제는 추가 설정 없이 SIEM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할 수 있어
Criminal IP 기반 공격표면 관리와 위협 인텔리전스 활용 인사이트 공유 AI스페라가 6일 ‘Criminal IP Conference 2025 선제적 방어 : 공격 표면 관리와 위협 인텔리전스’를 서울시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했다. AI 시대가 도래하면서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함과 동시에 이를 악용한 사이버 공격이 날로 정교해지고 있다. 기업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보안 전략을 보다 능동적으로 전환하고 있다. 특히, 공격 표면 관리(ASM)와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TI)를 결합한 접근법이 주목받는다. ASM을 통해 자산 노출 지점을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CTI 분석을 활용해 위협의 유형과 공격자의 전술을 사전에 파악함으로써 방어력을 높이는 방식으로 단순한 방어를 넘어 선제적 위협 차단 전략을 수립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AI 기술과 OSINT 기반 데이터 수집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150개국에서 서비스 중인 공격 표면 기반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Criminal IP가 최신 보안 위협과 대응 전략을 다룬 컨퍼런스다. Criminal IP CEO, 창립자, 핵심 개발진, 실제 고객사가 공격 표면 관리와 위협 인텔리전스
코오롱베니트가 글로벌 데이터 보호 기업 코헤시티(Cohesity)와 베리타스(Veritas)의 합병을 계기로 국내 AI 기반 데이터 보안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코오롱베니트는 2020년부터 베리타스 국내 총판을 맡아왔으며, 이번 합병으로 AI 기반 데이터 보호 솔루션을 추가로 확보했다. 기존 베리타스의 데이터 보호 제품군과 코헤시티 AI 기반 보안 및 분석 기술을 합쳐 보다 정밀한 데이터 보호 및 자동화된 보안 대응 역량을 제공한다. 이번 합병으로 ‘넷백업(NetBackup)’, ‘알타(Alta)’, ‘DataProtect(백업·복구)’, ‘DataHawk(침해 감지)’, ‘Gaia(AI 검색 도우미)’ 등 솔루션으로 데이터 보호 및 사이버 복원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기존 베리타스 일부 사업 부문은 별도 기업 아크테라(Arctera)로 분사됐다. 코오롱베니트는 제조·금융·유통·공공기관 등 다양한 산업군을 대상으로 맞춤형 AI 기반 데이터 보호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기존 고객 기술 지원과 업그레이드를 지속하면서 AI 기반 보안 기능을 결합한 새로운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손동일 코오롱베니트 이사는 “AI 기반 데이터 보호 솔루션은 데이터 보안,
AI 기반 보안 솔루션 기업 에버스핀이 글로벌 금융그룹 SBI의 여러 계열사에 자사의 보안 솔루션을 대거 공급하며 시장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에버스핀은 SBI그룹의 디지털 자산 부문을 총괄하는 SBI디지털 에셋 홀딩스 및 그 산하 기업 두 곳, 금융정보 서비스 기업 웰스어드바이저 등 총 4개 기업에 보안 솔루션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SBI그룹과 에버스핀의 합작회사인 SBI에버스핀을 통해 성사됐다. SBI디지털 에셋 홀딩스는 디지털 자산의 발행, 관리, 유동성 확보를 위한 밸류 체인 구축을 목표로 하는 기업이다. 웰스어드바이저는 ‘Wealth Advisor’, ‘My투자신탁’, ‘주식신문 웹’ 등의 금융기관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금융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기업으로, 투자신탁 위탁사, 보험사, 기업연금 등 다양한 기관에 공정한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SBI디지털 에셋 홀딩스에는 에버스핀의 ‘에버세이프’ 솔루션이 도입됐다. 에버세이프는 해킹방지 보안모듈을 무한대로 생성해 매일 새로운 보안코드가 동작하는 MTD(Moving Target Defense) 기술이 적용된 보안 솔루션이다. 이 기술은 미국 정부가 필요성을 강조한 보
포티넷 코리아가 최신 G 시리즈 차세대 방화벽(NGFW) ▲포티게이트 70G(FortiGate 70G), ▲포티게이트 50G(FortiGate 50G), ▲포티게이트 30G(FortiGate 30G) 3종을 선보였다. 이번 솔루션은 분산된 기업 환경에서 보안과 네트워크 성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지원한다. 포티게이트 G 시리즈는 포티넷 ASIC 기술과 통합 운영체제인 FortiOS를 기반으로 네트워킹 지원 및 포티가드 AI 기반 보안 서비스와 결합해 사이버 공격 위험을 줄이고, 고객이 운영 비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포티게이트 G 시리즈는 성능 저하 없는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포티게이트 70G는 IPsec VPN 처리량 Gbps당 62배, 방화벽 처리량 Gbps당 42배 적은 전력을 소비하면서도, 업계 평균 대비 최대 11배 많은 IPsec VPN 및 7배 많은 방화벽 처리량을 제공한다. 더불어 포티가드 AI 기반 보안 서비스는 실시간 자동 위협 탐지 및 대응으로 지능형 랜섬웨어, 멀웨어, 제로데이 익스플로잇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포티넷 생성형 AI 어시스턴트인 FortiAI는 작업을 자동화하고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위협 탐
IBM 기업가치연구소와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연구에서 전 세계 기업 평균 29개 공급업체가 제공하는 83개 보안 솔루션을 활용 시 보안 복잡성 문제에 직면했다고 밝혔다. 보안 플랫폼화 수준이 높은 기업 10곳 중 7곳은 사이버 보안 투자가 운영 효율성 향상 및 매출 증대로 이어졌다고 답했다. 팔로알토 네트웍스와 IBM이 발표한 ‘사이버보안 가치 창출(Capturing the cybersecurity dividend: How security platforms generate business value)’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임원 중 52%가 사이버 위협 대응 역량 제한 요소로 보안 솔루션 단편화를 꼽았다. 반면 보안 플랫폼화를 도입한 조직 75%는 보안·하이브리드 클라우드·AI 및 기술 플랫폼 간 통합이 필수적이라고 답했다. 증가하는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더 많은 보안 솔루션을 도입하는 것이 오히려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성과 및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보안 플랫폼화 접근 방식으로 전환하면 보안 효과는 유지하되 대응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연구됐다. 이번 조사에 응답한 기업 임원은 보안 시스템의 단편화와 복잡성으로 인해 평균 5
팔로알토 네트웍스가 AI 시대를 맞이하는 2025년 최신 사이버보안 트렌드와 팔로알토 네트웍스의 전략을 주제로 지난 14일 서울 강남 조선 팰리스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이먼 그릴 팔로알토 네트웍스 아태지역 총괄사장은 AI 시대를 맞아 금융을 비롯한 모든 기술 분야에서 보안 위협이 더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고자 기업들은 평균 50~60개의 보안 툴을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사이버 공격의 범위가 다양해지고 실시간 공격이 빠르게 증가하는 만큼 AI 복잡성을 줄여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이먼 총괄사장은 지난해를 ‘메가 브릿지해’로 헬스케어, 자동차, 리테일 분야에 이르기까지 특히 다양한 분야에서 짧은 시간 내에 다수의 침해를 겪은 해로 분석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약 80만 개의 언어모델이 AI에 활용되고 있고 지금은 약 96퍼센트 정도의 기업에서 AI를 활용하고 있다”며 “위협 행위자 역시 AI를 활용해 취약점을 무기화해 공격에 며칠씩 걸렸던 문제가 AI 도입으로 몇 시간 만으로 단축됐다”고 말했다. 이에 박상규 팔로알토 네트웍스 코리아 대표는 “이제 AI 활용으로 전문 해커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악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지원한 AI 보안 육성사업 수행 기업에서 이글루코퍼레이션이 우수사례 기업으로 선정됐다. 본 사업으로 이글루코퍼레이션은 폐쇄된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구축형 어플라이언스 방식 AI 보안 어시스턴트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은 AI 탐지모델 ‘에어(AiR, AI Road)’에 리벨리온의 AI 연산에 특화된 신경망처리장치(NPU)를 결합해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로써 데이터 유출 위험 없이 AI를 사용하는 안정성과 생산성을 확보했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은 서비스 모델 다양화로 국내외 기업·기관 대상 AiR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에 개발한 NPU 기반 구축형 AiR 서비스뿐 아니라, 온라인 및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연동과 다각화 언어 모델을 지원하며 구독형으로 제공한다. 현재 AiR에는 챗지피티(ChatGPT), 제미나이(Gemini), 클로드(Claude) 등 대형언어모델(LLM)과 더불어 이글루코퍼레이션이 자체 개발한 보안 특화 소형언어모델(sLLM) ‘그린 Ai(GREEN Ai)’가 적용됐다. 이득춘 이글루코퍼레이션 대표는 “더 많은 조직이 보안 환경에 최적화된 AI 보안 서비스를 활용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