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향 AI 반도체 'H20', 향후 몇 달간 100만 개 이상 공급될 예정 엔비디아가 미국의 규제에도 올해 중국에서 120억 달러(16조5000억 원) 상당의 인공지능(AI) 칩을 판매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반도체 컨설팅 회사인 세미어낼리시스의 추산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미국의 규제를 벗어나도록 설계된 새 칩 'H20'을 중국 고객에게 앞으로 몇 달 동안 100만 개 이상 공급할 예정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5일 보도했다. H20 칩의 개당 가격은 1만2000달러에서 1만3000달러 사이로, 엔비디아로서는 12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낼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런 매출 규모는 올해 1월에 끝난 회계연도에 PC 게임용 그래픽 칩을 포함해 중국 사업 전체에서 나온 103억 달러보다 더 많다. 판매 개수는 화웨이가 중국에서 생산한 경쟁 제품인 어센드 910B의 판매 추정치에 비교해 거의 배에 달한다. 엔비디아는 현재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의 한복판에 있다. 미국 행정부는 중국이 군사적 용도의 더욱 강력한 AI 시스템을 갖출 가능성을 우려하며 엔비디아의 반도체 수출을 차단하고 있다. 덩달아 엔비디아는 중국 고객사들이 화웨이와 같은 현지 업체를 찾아
회계연도 1분기 매출과 주당 순이익이 시장 예상치 크게 넘어서 엔비디아 주가가 처음 1000달러를 돌파하며 '천비디아'가 됐다. 23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전날보다 9.32% 급등한 1037.99달러(약 142만 원)에 거래를 마쳤다. 엔비디아 주가는 전날 시간외 거래에서 1000달러를 넘긴 했지만, 종가 기준으로 1000달러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날 949.50달러에서 거래를 마쳤던 주가는 이날 1020달러에서 거래를 시작한 뒤 상승 폭을 확대하며 장중 1063.20달러까지 치솟기도 했다. 작년 말 495.20달러였던 주가는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오르며 지금까지 상승률이 100%를 넘어섰다. 시가총액도 단숨에 2조5530억 달러로 불어나며 3조 달러를 향해 한 발짝 다가섰다. 엔비디아 주가의 이날 급등은 전날 실적 발표에 따른 것이다. 엔비디아의 회계연도 1분기(2∼4월) 매출과 주당 순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넘어섰다. 2분기(5∼7월) 매출 역시 월가의 전망치를 웃돌 것으로 예상됐다. 여기에 내달 10일부터 주식을 10분의 1로 분할한다고 발표했다. 2021년 7월 이후 3년 만인 이번 주식 분할은 가장 대폭적인 것이
엔비디아가 맞춤형 AI 칩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로이터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최근 첨단 AI 프로세서 등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등을 위한 맞춤형 칩 설계에 초점을 둔 새로운 사업부를 구축하고 있다. 현재 엔비디아는 전 세계 AI 칩 시장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엔비디아의 H100과 A100 칩은 범용 AI 프로세서 역할을 한다. 이에 많은 기업은 자신들의 특정한 필요를 위한 내부 칩을 개발하고 있다. 엔비디아의 칩이 범용인 까닭에 비용과 에너지가 많이 들기 때문이다. 엔비디아는 자신들의 기술을 이용해 이런 기업들이 데이터센터나 자동차, 5G 무선, 비디오 게임 등 맞춤형 AI 칩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전 세계 맞춤형 AI 칩 시장 규모는 약 300억 달러로, 전 세계 칩 매출의 약 5%로 추정되고 있다. 또 데이터센터를 위한 맞춤형 칩 설계는 미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과 마벨이 주도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맞춤형 AI 칩 시장 진출을 통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이 시장의 점유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H100과 A100 칩에 대한 대안을 찾는 다른 기
美 수출 통제로 생겨난 중국 반도체 암시장에서 조달됐을 가능성 제기돼 미국 당국의 강력한 대 중국 인공지능 수출 규제에도 미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반도체가 중국 군과 국영 기관에 공급됐다고 로이터통신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는 관련 입찰 문서를 인용해 미 정부의 수출 통제 조치 후에도 중국 국영기관 수십 곳이 엔비디아 반도체를 구매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미 정부는 2022년 10월 미 기술을 사용한 첨단 반도체 장비나 AI 칩 등의 중국 수출을 포괄적으로 제한하는 수출통제를 발표했다. 지난해 10월에는 저사양 AI 칩도 중국 수출을 금지했다. 엔비디아의 첨단 반도체인 A100과 H100 칩뿐 아니라, 저사양 AI 칩인 A800과 H800도 수출 통제 대상에 들어간다. 그러나 해당 문서에 따르면, 중국 국가 기관이 A100 칩을 100건 조달했고, 지난해 10월 이후에는 A800을 수십 건 구입한 내역이 확인된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하얼빈 공과대학은 딥러닝 모델 훈련 명목으로 작년 5월 A100 칩 6개를 사들였고 중국전자과학기술대는 2022년 12월 A100 칩 1개를 구매했다. 지난달에는 국립칭화대와 중국 공업정보화부
GTC 2024, 내년 3월 18일부터 21일까지 美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서 개최 엔비디아 창립자 겸 CEO인 젠슨 황(Jensen Huang)이 오는 GTC 2024서 기조연설에 나선다고 밝혔다. 젠슨 황 CEO 기조연설은 2024년 3월 19일 화요일 오전 5시(한국 시간)에 생중계되며, 이후 온디맨드로 제공된다. 5년 만에 대면 행사로 열리는 GTC 2024는 2024년 3월 18일부터 21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개최되며, 온라인으로도 참석 가능하다.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젠슨 황 CEO 기조연설을 비롯해 업계 리더, 개발자, 연구진 등으로 구성된 연사들이 진행하는 600개 이상의 세션과 200개 이상의 전시가 진행된다. 이로써 참가자들은 AI와 가속 컴퓨팅 등 모든 기술 수준과 관심 영역에 맞는 인사이트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바이두, 지난 8월 화웨이에 '910B 어센드(Ascend)' AI 칩 1600개 주문해 바이두가 화웨이에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주문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7일 보도했다. 미국의 대중국 수출 규제가 중국산 반도체 개발을 오히려 촉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는 가운데 바이두가 AI 칩 수급 노선 전환을 꾀한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바이두는 지난 8월 화웨이에 '910B 어센드(Ascend)' AI 칩 1600개를 주문했다. 어센드 칩은 화웨이가 엔비디아 A100의 대체제로 개발한 것으로, 지난달까지 화웨이는 주문의 60% 이상인 약 1000개의 칩을 인도했다. 바이두가 발주한 양은 대략 4억5000만위안(약 809억 원) 규모이며, 화웨이는 연말까지 모든 주문을 소화할 예정이다. 바이두는 올해 '챗GPT' 대항마로 AI 챗봇 '어니봇'을 출시하면서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반도체가 대거 필요한 상황이다. GPU는 챗GPT 같은 생성형 AI에서 두뇌 역할을 하는 칩으로 엔비디아는 세계 AI용 GPU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바이두를 비롯해 알리바바와 텐센트도 엔비디아의 오랜 고객이다. 그러나 미국은 지난해 엔비디아의
中 현지에서 엔비디아가 책정한 A100 소매가 1만 달러의 두 배 수준으로 팔려 엔비디아의 첨단 반도체에 대한 미국의 수출 규제로 중국에서 관련 밀수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2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기업들이 AI 개발에 앞다퉈 뛰어들면서 그에 필요한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반도체 수요가 급증했지만, 대체재가 없어 수출금지 품목인 'A100', 'H100' 등 엔비디아 GPU 밀수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앞서 지난해 8월 미국 상무부는 중국군이 AI용 GPU 반도체를 사용할 위험이 있다며 엔비디아와 AMD에 관련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금지했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의 A100과 그 업그레이드 버전인 H100의 중국 수출에 제동이 걸렸다. 엔비디아는 세계 AI용 GPU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중국의 알리바바 클라우드와 텐센트 클라우드, 바이두 스마트클라우드, H3C, 인스퍼, 레노버 등이 엔비디아로부터 A100을 공급받아왔다.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바이트댄스 등은 모두 '중국판 챗GPT' 개발에 뛰어들었다. 미국의 수출 규제로 인해 엔비디아는 A100과 H100의 데이터 전송 속도 등 성능을
엔비디아 A800, 미 규제 피해 데이터 전송속도 초당 400GB로 낮춘 것으로 보여 엔비디아가 조 바이든 미 행정부의 수출 규제를 피해 중국에 공급할 수 있는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반도체 생산에 들어갔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엔비디아는 전날 성명을 통해 3분기부터 미 정부가 중국 수출을 금지한 고성능 GPU 반도체인 A100과 H100을 대체하는 제품인 A800 생산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새로 만들어진 A800이 정부의 수출 규제 규정에 부합하는 제품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8월 31일 엔비디아는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미국 정부가 AI용 최첨단 반도체의 중국 수출 중단을 골자로 하는 중국·홍콩 수출 관련 새로운 허가 규정을 통보해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는 AI용 GPU 반도체인 A100과 H100의 중국 수출이 막혔다. A100은 3년 전에 개발된 7nm GPU 칩이며, H100은 지난 3월 출시한 4nm 공정의 GPU 반도체다. 이어 미국 정부는 지난달에도 중국의 반도체 생산기업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 판매를 사실상 금지하고 AI·슈퍼컴퓨터용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는 수출 통
엔비디아, "중국 공장에서 개발해 공급하는 것은 가능" 조 바이든 행정부의 중국 수출 금지 통보로 대 중국 수출에 직격탄을 맞은 미국 반도체 제조업체 엔비디아가 부랴부랴 해명에 나섰다. 엔비디아는 1일(현지시간) "미 정부가 중국에서 H100 인공지능 칩을 계속 개발하는 것은 허용할 것"이라며 "또 H100 칩 개발에 필요한 수출과 재수출 및 국내 이전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미 정부가 AMD와 함께 엔비디아에 대해 H100과 A100 등 AI용 최첨단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중단하라고 통보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뒤 주가가 장중 10% 이상 떨어지는 등 급락한 데 대한 해명이다. 전날 엔비디아는 미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미 정부가 지난달 26일 이런 내용의 중국·홍콩 수출 관련 새로운 허가 규정을 통보해왔다고 밝혔다. 엔비디아의 해명은 미국 공장에서 AI용 칩을 만들어 중국에 수출하는 것은 안 되지만, 중국 공장에서 개발해 공급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H100과 A100은 슈퍼컴퓨팅과 인공지능에 사용할 수 있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반도체다. H100은 곧 출시될 모델이고, A100은 3년 된 구형 모델이다. 미 경제매체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엔비디아가 자사의 A100 텐서코어 GPU가 탑재된 AI 슈퍼컴퓨터와 대학 교육 지원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 대학과 연구기관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은 최신 가속 슈퍼컴퓨터인 에이게이트를 구축 중이며, 이번 학기가 마무리되기 전까지 7페타플롭의 성능을 제공할 예정이다. 미네소타 슈퍼컴퓨팅 연구소(MSI)에 설치되는 에이게이트는 엔비디아 HDR 200Gb/s 인피니밴드 네트워크로 265개의 엔비디아 A100 텐서 코어 GPU를 연결한다. 이를 통해 MSI는 사회 경제적 경향부터 천체에 관한 연구까지 완벽하게 진행할 예정이다. 에이게이트는 지난 1월부터 MSI 기존 시스템의 13만 8,612개의 GPU 가속 작업을 실행해 온 1,000명의 주요 조사관을 위해 일하는 약 4,500명의 사용자를 지원할 예정이다. 미네소타 대학의 연구 컴퓨팅 책임자인 제임스 윌겐부쉬는 휴렛 팩커드 엔터프라이즈가 구축하고 있는 가속 슈퍼컴퓨터 에이게이트에 대해 "기초과학 및 인문학을 아울러 모든 분야에 관련된 연구원들과 학생들은 해당 슈퍼컴퓨터를 곧바로 사용하길 바라고 있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지질학, 역사학, 정치학 및 마케팅 분야를 비롯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