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군집 AI 기술 협력...장기적 파트너십 구축으로 무인기 시장 ‘정조준’ 군집 조율 및 통합 관제 기술 고도화 시동 자율비행 제어, 지능형 분산 임무 통제 시스템 공동 개발 착수한다 파블로항공이 대한항공과 ‘군집 인공지능(AI)’ 기술 협력에 합의했다. 군집 AI는 차세대 드론 운용의 핵심으로 꼽히는 기술이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군집 AI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개발(R&D)부터 사업 확대, 해외 시장 공동 진출, 무인기 생태계 구축까지 아우르는 광범위한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이에 따라 파블로항공·대한항공은 핵심 기술인 ‘군집 조율(Swarm Coordination)’, ‘통합 관제(Swarm Control Platform)’ 기술을 고도화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를 기반으로 군집 AI 기반의 자율비행 제어 기술과 지능형 분산 임무 통제 및 군집 운용체계를 공동으로 개발한다. 아울러 AI 기반 항공기 정비(MRO) 기술, 검사·점검용 드린인 인스펙션 드론(Inspection Drone) 기술 등 고도화·상용화를 목표로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이원찬 파블로항공 대표는 “이번 대한항공과의 협력은 파블로항공이 무인기 및 무인
국방 인공지능(AI) 기반 첨단 운용 기술 개발 착수해 인재 관리, 행정 지원, 장비 운용 효율화 등 국방 분야 혁신에 ‘뜻모아’ 소버린 AI 기술 구축에 기여 퀀텀에어로와 국내 인공지능(AI) 기술 업체 콕스웨이브가 국방 AI 기반 첨단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양사 협력 주체인 콕스웨이브는 글로벌 AI 기술 업체 앤트로픽(Anthropic)의 국내 파트너사로 활동하고 있다. 각종 문제 해결 중심의 최적 기술 조합(Orchestration) 능력을 보유한 업체로 알려졌다. 특히 국내 최초로 생성형 AI(Generative AI) 서비스를 직접 개발·운영하고 매각까지 성공시킨 경험을 통해 주목받았다. 김주원 콕스웨이브 대표는 "AI 서비스의 경험을 바탕으로, 퀀텀에어로의 국방 AI 기술 역량과 시너지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창의적 시나리오를 지속 구축해 국방 추진 방향의 완성도를 높이고, 문제 해결 중심의 최적 기술 조합(Ochestration) 능력을 강화할 것을 천명했다. 퀀텀에어로는 이 같은 콕스웨이브의 AI 역량을 발판 삼아 국방 분야 혁신을 본격화했다. 인재 관리, 행정 지원, 장비 운용 효율화 등 국방·방위 혁신 과제
군집 드론 전투체계 통신 기술 공동 개발 돌입한다 비행 자율 구성 네트워크(FANET) 기반 차세대 통신체계 예고..군집 자폭 드론 전술 완성도↑ 기대 파블로항공이 글로벌 방산·항공 기술 업체 휴니드테크놀러지스(이하 휴니드)와 군집 드론 전투체계 통신 기술 공동 개발에 들어간다. 양사는 지난달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 현장에서 앞선 내용을 핵심으로 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들은 급증하는 국방 수요에 대응하고 신규 시장 진출 등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를 구축했다. 앞으로 두 회사는 비행 자율 구성 네트워크(FANET) 기반 군집 드론 통신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때 FANET은 고정된 통신 기반 시설 없이, 비행 중인 드론이나 무인 항공체들이 스스로 통신 주체가 돼 네트워크를 구성·유지하는 무선 통신 기술이다. 이를 적용하면 드론의 군집 활동이 즉각적이고 유연하게 구현된다. 양사는 해당 기술 고도화를 비롯해, ▲연구개발(R&D) 과제 발굴·추진 ▲국내 항공기 정비(MRO) 및 품질관리 체계 강화 ▲글로벌 공급망 확대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파블로
UMR과 합작 기업 설립...드론 기술 글로벌 현지화 및 네트워크 구축 기반 마련해 드론 기술 이전·교육 체계 신설 “카자흐스탄 내 자주적 드론 생산 인프라 조성한다” 프리뉴가 카자흐스탄 소재 장비·기계 및 특수 장비 업체 ‘UMR(UNITED MACHINERY RESOURCES)’과 손잡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양사는 국내 드론 개발 기술과 카자흐스탄의 글로벌 네트워크 결합을 통한 해외 수출 가속화를 목표로 합작 기업 설립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해당 업무협약(MOU)은 지난 20일 경기 일산 소재 전시장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 현장에서 이뤄졌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종경 최고경영책임자(CEO), 김제중 최고운영책임자(COO), 조재환 최고재무책임자(CFO) 등 프리뉴 사단과 카자흐스탄 비상사태부·국방부 고위 관계자, 주한 카자흐스탄 공화국 특명전권대사, 아우예조프 예르잔 하비볼라예비치(Auyezov Yerzhan Khabibullayevich) UMR CEO 등이 참석해 협력을 기념했다. 프리뉴는 이번 UMR과의 협력을 통해 무인항공기(UAV) 기술의 현지화를 적극
제56회 한국전자전(KES 2025)서 전파 방해 방지하는 AI 드론 첫선 오프라인 환경서 드론,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스마트 체어 연동 기술 시연 “32조 규모의 글로벌 방산 드론 시장 공략 본격 시동” 고성엔지니어링이 ‘제56회 한국전자전(KES 2025)’ 현장에서 자사 로봇 인공지능 전환(AX) 역량을 한데 강조했다. 고성엔지니어링은 산업통상자원부·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주관 전자·IT 박람회 KES 2025에 출격했다. 지난 21일부터 나흘간 열린 전시 현장에서 AI 기술 업체 ‘DDE(Data Design Engineering)’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한 드론 안티 재밍(Jamming) 기술을 처음 내보였다. 해당 기술은 GPS 신호 없이 비전 카메라만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자체 생성한 좌표로 완전 자율 비행을 선보이는 기능이다. 이는 전파 방해 행위인 재밍(Jamming)을 방지하는 기술 속성인 'GPS-Denied'가 핵심이다. 이는 오프라인 환경에서 더욱 고도화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안보의 핵심으로 떠오른 드론 시스템을 방위산업에 활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회사는 드론,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스
퀀텀에어로, 현대로템의 무기 체계 자율 임무 수행 및 군집 제어 고도화 사업 지원 퀀텀에어로가 국내 방산 대기업 현대로템, 미국 방산 인공지능(AI) 기술 업체 쉴드AI와 AI 기반 다목적 드론 운용 기술 개발을 본격화했다. 이번 협력은 현대로템이 추진 중인 방산 무기 체계의 자율 임무 수행 및 군집 제어 고도화 사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쉴드AI의 한국 내 독점 기술 파트너사인 퀀텀에어로는 이 사업의 기획, 기술 연계, 실행 전략 수립 전반에 걸쳐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협력 모델의 기술적, 사업적 방향성 구체화를 주도했다. 쉴드AI 역시 이번 협력이 한국 국방 AI 분야의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감을 표했다. 전동근 퀀텀에어로 의장은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쉴드AI의 개발 환경을 활용한 드론 운영 기술을 혁신하게 됐다”며 “소버린 AI(Sovereign AI) 자율 기술과 지적재산권(IP)을 지속 확보해 국내 디지털 주권 확립에 힘쓸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퀀텀에어로 측은 여기서 더 나아가 공중·지상·해상을 아우르는 다영역 드론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AI 자율운용 기술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는 국방 AI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서 드론 기반 미래 전장 모습 점쳐 SKT·대한항공 등 파트너십 통한 군집 직충돌 드론 전투체계 및 항공기 정비(MRO) 플랫폼 등 선봬 파블로항공이 방위산업 전시회 ‘202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 참가했다. 이 자리에서 인공지능(AI)과 군집지능(Swarm Intelligence)을 결합한 드론 플랫폼을 선보이며 글로벌 방산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ADEX는 국내 최대 규모의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문 종합 전시회다. 격년으로 개최되며, 국내외 첨단 항공기, 우주 발사체, 지상 무기체계 및 방산 기술을 총망라하여 선보인다. 이 행사는 국내 방위산업 기술 수준을 홍보하고, 국방 관련 국제 교류 및 비즈니스 협력 기회를 창출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올해는 지난 20일부터 닷새간 경기 일산 소재 전시장 킨텍스(KINTEX)에서 열렸다. 파블로항공은 전시회 참가에 맞춰 ‘한계를 재정의하다(Limits, Redefined)’를 주요 메시지로 선정한 부스를 구성했다. 이는 드론아트쇼·드론배송·도심항공교통(UAM) 등 분야에서 축적한 회사의 자율군
넥스트에어로스페이스는 자사가 개발한 50kg급 수직이착륙 무인기 ‘VVS-50’(현 명칭 NV-050)이 지난 23일 한국교통안전공단 항공안전기술원(KIAST)으로부터 국내 최초의 수직이착륙 무인기 안전성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VVS-50은 최대이륙중량 50kg급 다목적 고정익 수직이착륙(VTOL) 무인기로, 고정익 항공기의 장거리 순항 능력과 멀티콥터의 수직이착륙 기능을 결합한 복합형 무인 동력비행장치다. 좁은 공간에서도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으며 장거리 비행이 가능해 재난·재해 대응, 국토 감시, 해양·산악 수색, 소규모 물류 운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이번 인증은 2025년 5월 14일부터 시행된 항공안전법 시행규칙(국토교통부령 제1405호)에 따라 신설된 ‘무인수직이착륙기(Unmanned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분류체계가 처음으로 적용된 사례다. 수직이착륙 방식 무인기가 공식적으로 안전성을 검증받은 첫 사례로, 국내 무인기 안전성 평가 기준을 새롭게 마련하고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는 전환점이 됐다. 넥스트에어로스페이스는 10여 년간 축적한 항공기 개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체 설계부터 제작,
호버플라이 테크놀로지스(Hoverfly Technologies)에 시리즈 B 투자 미국 방산 드론 공급망 핵심 강화 전략...케이알엠, 독점 핵심 부품 제조사 지정 미국 내 생산 시설 설립으로 국산화 및 공급망 안정화 도모한다 케이알엠이 미국 방위·보안용 계류형 드론 시스템 기술 업체 호버플라이 테크놀로지스(Hoverfly Technologies 이하 호버플라이)를 미국 내 방산 드론 공급망 거점을 낙점했다. 사측은 이를 위해 호버플라이에 500만 달러(약 70억 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거행했다. 이번에 호버플라이의 신규 전략적 파트너로 합류하며 미국 시장 공략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케이알엠은 무인항공기(UAV)용 센서 및 첨단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번 투자가 자사 경쟁력 강화와 세계 무대에서의 입지 강화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사는 호버플라이를 미국 내 독점 핵심 부품 제조사이자 향후 우선 협력사로 배치했다. 앞으로 미국 내에 핵심 부품 전용 신규 생산 시설을 설립하고, 전략적 협력 관계를 통해 안정적인 고성능 부품 공급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번 투자는 호버플라이 테크놀로지스 역사상 최대 규모의 자본 조달로 기록됐다. 호
펀진-한국대드론산업협회, 방산 인공지능(AI) 드론 기술 협력 업무협약 드론·대드론(Anti-drone) 체계 발전 노린다...AI 기반 전자기스펙트럼·네트워크 최적화 기술 고도화 ‘집중’ “KWM-Ocelot 등 차세대 핵심 기술 개발...국방·공공안전 등으로 무대 넓힐 것” 펀진과 한국대드론산업협회가 드론·대드론(Anti-drone) 체계 발전과 상호 기술 교류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양 기관은 드론·대드론 체계 연구개발(R&D), 최신 기술 동향 공유, 상호 지원, 융합 연구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전자기스펙트럼 및 네트워크 최적화 기술을 중심으로 협력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펀진은 이 협력을 통해 KWM-Ocelot, KWM-Hertz(ESM), KWM-MUBU 등 드론과 연계 가능한 차세대 핵심 기술 고도화를 노린다. 이때 드론·대드론 체계를 위한 무선 통신 관리 솔루션이다. 아울러 KWM-Hertz(ESM)은 통신 그룹, 채널 수, 작전 반경, 이동 계획 정보를 반영한 무선 자원 관리 솔루션이다. 신호 대 잡음 간섭비(SINR), 간섭량 등 목표 신호 품질을 최적화하는 데 주력하는 기술이다. 이와 함께 KWM-M
방산 제조 정밀가공 업체 볼크와 합병 절차 완료...글로벌향 ‘투 트랙 비즈니스’ 개편 공식화 인공지능(AI) 군집제어 기술에 정밀가공 역량을 합쳐 무인기 및 무인 로봇 대량 생산 체제 구축 파블로항공이 방산 제조 정밀가공 기술 업체 볼크를 인수합병(M&A)했다. 사측은 김영준 대표이사를 신임 의장으로 추대하고, 글로벌 무대 도약을 위한 새로운 비전을 선포했다. 기존 인공지능(AI) 및 군집 비행제어 역량과 볼크의 정밀가공 기술력을 융합한 새로운 전략을 강조했다. 이로써 무인기 및 무인 로봇 플랫폼 대량생산 업체로서의 비전을 내세웠다. 파블로항공은 육상·해상·공중을 아우르는 모빌리티 기술을 고도화해 왔다. 이번 M&A로 사측의 군집조율 및 정밀 비행제어 기술과 정밀가공 기술력이 한데 접목될 전망이다. 김영준 의장은 이달 26일 열린 취임식에서 이를 통해 글로벌 방산·민수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언급했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기업가치 5조원 달성, 국내 기업공개(IPO) 및 미국 증권시장 상장 등 자사 비전을 역설했다. 이번 합병에 따라 파블로항공은 민수사업부와 방산사업부의 두 사업 분야로 조직을 재편한다. 이 같
오는 29일 ‘드론 기술 협력 파트너 세미나’ 연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에너자이·이와이엘 등 핵심 기술 파트너 대거 참여 “산·학 협력 기반 드론 산업 생태계 확장 모색” 프리뉴가 오는 8월 29일 무인항공기(드론) 산업의 기술 교류와 협력 강화를 위한 ‘드론 기술 협력 파트너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드론계 산학연 주요 관계자가 한데 모여, 미래 드론 기술 발전에 대한 로드맵을 공유하는 플랫폼이 될 예정이다. 세미나에는 국내 주요 드론 기술 기업과 연구기관 관계자가 연사로 참여해, 드론 산업의 혁신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친다. 이 가운데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용 글로벌 표준 기술 규격 ‘oneM2M’ 기반 방법론을 제안할 예정이다. 이때 해당 기관의 IoT 플랫폼 ‘모비우스(Mobius)’ 활용 및 응용 사례를 발표한다. 이와 함께, 드론 통합 관제 및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 고도화를 위한 프리뉴와의 협력 방안을 제시한다. 아울러 에지 AI(Edge AI) 기술 업체 에너자이도 드론 관련 기술을 공개한다. 드론에 최적화된 에지 AI 컴퓨팅(Edge AI Computing) 기술을
인도 항공기 제조사 ‘라페엠피브르(Raphe mPhibr)’에 버추얼 트윈 플랫폼 ‘3D익스피리언스’ 도입. 설계·시뮬레이션·협업 통합 본격화...무인항공기 엔진 개발 ‘속도’ 다쏘시스템이 자사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플랫폼 ‘3D익스피리언스(3DEXPERIENCE)’를 인도 무인항공기(UAV) 제조업체 라페엠피브르(Raphe mPhibr) 공정에 이식한다. 3D익스피리언스는 다쏘시스템이 정의하는 가상 환경 ‘버추얼 트윈’을 구현하는 플랫폼이다. 이번 플랫폼 도입 사례는 라페엠피브르의 UAV 엔진 개발에 가속도를 부여할 전망이다. 기존 수년가량 소요되던 개발 기간을 3개월로 단축하는 검증 과정을 거쳤다. 3D익스피리언스는 프로세스 안에서 물리학적 모델링과 제조 설계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통합할 예정이다. 라페엠피브르 측은 금속·복합소재부터 전자 부품에 이르기까지 모든 구성 요소를 자체 설계·제작하는 자사 역량을 강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엔진 개발 과정에서는 플랫폼의 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해 3D 프린팅 제조에 최적화된 부품을 재설계한다. 이때 4kW급 2행정 엔진의 중량을 700g이나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는 동급
한국비상대비연구협회와 인공지능(AI) 무인기 기반 시뮬레이션 훈련 및 비상대비 연구개발(R&D) 협력 국방 AI 및 무인기 기술 동향 공유, 전투 실험 협력, 공공기관·지자체 비상대비 역량 강화 등 목표 AI 자율비행 드론 기술 국산화, 방위산업 기술 교류, 인재 및 공동 연구 프로그램 운영 등 폭넓은 협력 기대 퀀텀에어로가 한국비상대비연구협회와 인공지능(AI) 무인항공기 기반 시뮬레이션 훈련 및 비상대비 연구개발(R&D) 협력체계를 마련했다. 이번 업무협약(MOU)은 국가 위기 상황에 대한 현실성과 효율성 제고를 목표로 한다. 특히 비상대비 분야의 효율성을 강화하고 연구 능력을 향상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주요 협력 내용은 국내외 국방 AI 분야와 드론·무인기·전력 분야의 기술 동향 및 정보 공유가 포함된다. 또한 산·연·관·군이 주관하는 각종 연구 실험 및 세미나 관련 상호 협력도 진행될 예정이다.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대상 비상대비 능력 향상과 운영 기관 발전을 위한 지원·연구 분야 과제 협력 수행도 주요 협력 사항에 해당한다. 그 외 상호 협의에 의한 사항으로, 국가 연구 과제 공동 연구 프로그램이 진행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를
최대 59분 비행, 최대 가반하중 6kg, 레이더 기반 장애물 회피 등 성능 갖춰 수색·구조·점검 등 영역서 효율성·안전성↑ DJI가 엔터프라이즈 플래그십 드론 플랫폼 ‘DJI 매트리스 400(DJI Matrice 400)’을 본격 출시했다. 이 제품은 최대 59분의 비행 시간과 6kg에 달하는 최대 가반하중을 갖춘 차세대 드론 플랫폼이다. 여기에 각종 차세대 레이더 기반 정밀 장애물 감지 시스템을 적용한 점이 특징이다. 또한 ‘DJI O4 엔터프라이즈(DJI O4 Enterprise)’ 영상 전송 시스템과 공중 릴레이 기능을 탑재해, 영상 전송의 안정성·효율성을 강화했다. 최대 40km 거리에서 고품질 영상 전송을 지원하며, 내장형 영상 중계 모듈로 열악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운영 범위를 넓힌다. 이를 통해 수색·구조·점검·지도화(Mapping) 영역에서 최적화된 성능을 구현할 전망이다. 이번 매트리스 400은 중량물 탑재 상태에서도 최대 59분의 비행이 가능하며 53분 동안 제자리에서 비행하는 호버링(Hovering)이 가능하다. 또 방수·방진 등급 IP55을 취득했고, –20°~50°C의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정밀한 장애물 회피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