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맥스소프트는 지난 23일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막을 올린 ‘재팬 IT 위크 2025(Japan IT Week Spring)’에 참가해 다양한 디지털 전환(DX)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24일 밝혔다. 재팬 IT 위크는 일본 최대 규모 IT(정보기술) 전시회 중 하나로 IT 산업 전반을 이끄는 여러 기업의 우수한 기술과 솔루션을 엿볼 수 있는 자리다. 춘계와 추계 연 2회 개최되며 올해 춘계 행사는 4월 23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티맥스소프트는 일본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하고 신규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고자 이번 전시회에 참가했다. 최근 일본, 북미, 동남아시아를 핵심 거점으로 글로벌 사업을 더욱 확장하게 되면서 차별화된 제품과 기술을 현지 고객에게 알리는 장을 마련했다. 티맥스소프트는 AI 환경과 클라우드 전환을 지원할 솔루션을 출품했다. 클라우드 미들웨어 ‘제우스(JEUS)’와 ‘웹투비(WebtoB)’, 메인프레임 현대화 솔루션 ‘오픈프레임(OpenFrame)’, 인터페이스(FEP·EAI·MCI) 통합·연계 솔루션 ‘애니링크(AnyLink)’를 전시했다. 오픈프레임은 기업, 금융사가 주로 사용해 온 메인프레임 환경에서 운영되던 비즈니스 자산을 유닉스(UNIX
티맥스소프트는 통합 인터페이스 솔루션 ‘애니링크(AnyLink)’가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서 공고한 ‘2024년 차세대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차세대 세계일류상품은 향후 7년 이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세계일류상품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인정받은 제품이다. 올해 총 64개의 신규 세계일류상품 및 생산기업이 선정됐다. 지난 2020년에는 티맥스소프트의 미들웨어 제품 ‘제우스(JEUS)’와 ‘웹투비(WebtoB)’가 차세대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된 바 있다. 티맥스소프트는 이번 애니링크 선정을 포함해 총 3개 상품으로 수출·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으로서의 확실한 역량을 인정받았다고 강조했다. 애니링크는 수많은 데이터와 접속이 폭증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자의 복잡한 요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며 원활한 연결성을 지원한다. 기업의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대내외 채널 간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통합과 연계를 지원한다. 티맥스소프트 사업대표 이형용 사장은 “기업이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시대에 지속적으로 견고한 성장을 이루려면 해외 진출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면서 “그동안 달성한 의미 있는 글로벌 성과와
오케스트로와 티맥스소프트가 공공부문의 디지털 혁신 가속화를 위해 공공조달 파트너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오케스트로는 티맥스소프트의 미들웨어 솔루션 제우스(JEUS)·웹투비(WebtoB)·애니링크(AnyLink)를 다수공급자계약(MAS, Multiple Award Schedule) 제품으로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에 등록했다. 티맥스소프트는 오케스트로를 제우스, 웹투비, 애니링크에 대한 조달청 수요기관 공급자로 지정해 공공기관에 공급한다. 상용 소프트웨어 다수공급자계약 제도는 공공기관이 제품을 구매할 때, 품질, 성능, 효율 등이 동등하거나 유사한 제품을 납품하는 3인 이상의 다수 공급자와 계약하는 방식이다. 조달청은 상용 소프트웨어 업계의 품질 강화와 공정한 거래 환경 조성을 위해 7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티맥스소프트는 국내 미들웨어 시장을 선도하며 IT 시스템에서 OS와 애플리케이션의 연결성을 책임지고 있다. 이번에 다수공급자계약 제품으로 등록된 웹애플리케이션서버 ‘제우스 8’, 웹서버 ‘웹투비 5’, 연계·통합 솔루션 ‘애니링크 7’은 공공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지원한다. 특히 제우스 8, 웹투비 5는 공공 정보화 혁신을 지원하는 소프트
티맥스소프트가 오는 28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6회 ‘디지털플랫폼정부 미래 전략’ 콘퍼런스에 참가해 인터페이스 제품 경쟁력을 선보인다고 22일 밝혔다. 디지털플랫폼정부(이하 DPG) 미래 전략 콘퍼런스는 정부정보화협의회, 공공부문발주자협의회, 문화정보화협의회가 주최하고 한국피엠오협회, 한국피엠오사회적협동조합 등이 주관한다.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주요 정보통신(IT) 트렌드와 공공 대상 우수 SW 제품, 신제품, 신기술을 소개하고 DPG 관련 주제와 성공 사례 등을 발표·공유하는 자리다. 티맥스소프트는 이번 행사에서 고객과 가까이서 소통하고 전략 제품의 강점을 알리기 위한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 주요 고객인 공공기관, 관계부처 IT 담당자와 직접 만나 현장감 있는 목소리를 청취하고 공공 시스템 수요를 파악할 계획이다. 특히 국책사업인 DPG 실현에서 공공 시스템 및 데이터의 연계와 서비스 안정성을 책임질 인터페이스 역할이 중요해진 가운데 자사 제품 ‘애니링크(AnyLink)’와 ‘애니API(AnyAPI)’를 중점 소개할 예정이다. 두 제품은 티맥스소프트가 27년간 시장에서 꾸준히 인정받아 온 강력한 미들웨어 기술력을 토대로 선보인 통합 인터
티맥스소프트가 꾸준히 증가하는 통합 연계 솔루션 수요 공략을 확대하기 위해 일원화된 인터페이스 자원 관리를 실현하는 솔루션을 선보였다. 티맥스소프트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자원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관리해 주는 ‘AnyEIMS’를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AnyEIMS(Enterprise Interface Management System)는 기업 전체 시스템 내 인터페이스와 메시지 레이아웃을 통합 관리해 주는 솔루션이다. 다양한 연계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 유형과 대외 기관에서 주고받는 여러 전문(데이터)의 관리를 일원화해 표준화된 자원 관리를 실현한다. 기존 인터페이스 솔루션, 프레임워크 제품과 ‘연결 설정’만 하면 다양한 인터페이스 자원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무엇보다 고객 비즈니스 목적에 맞게 업무 체계를 손쉽게 등록·적용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해 개발 생산성을 높여준다. 인터페이스와 전문의 개발, 수정, 배포 등 업무 중복을 없애줘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티맥스소프트는 설명했다. 티맥스소프트는 공공, 금융 외 제조, 통신, 의료 등 산업 중심으로 급격히 늘어난 실시간 데이터 연동·송수신 수요와 더불어 필요성이 대두되
티맥스소프트는 신한은행의 차세대 프로젝트인 '더 넥스트(The NEXT)'의 신(新)대외계 구축 사업이 연계·통합 인터페이스 솔루션 '애니링크(AnyLink)'를 도입해 성공적으로 완료됐다고 15일 밝혔다. 신한은행의 더 넥스트는 금융 환경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차별적인 정보통신기술(ICT)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하는 차세대 프로젝트다. 고객 중심의 디지털 기반 ICT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골자다. 신한은행 대외계 담당 국승운 팀장은 "금융권의 대형 차세대 프로젝트를 이행할 때 마다 대외기관 서비스 이슈가 빈번하게 발생했다"며 "이번 신한은행의 신대외계 시스템은 유례없이 안정적인 이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해 타 금융사로부터 벤치마킹을 위한 문의가 많다"고 밝혔다. 티맥스소프트는 더 넥스트의 일환으로 진행된 차세대 시스템 내 신대외계 구축 사업에 애니링크를 솔루션으로 공급했다. 애니링크를 통해 신한은행 대외계와 차세대 코어 시스템과의 안정적인 통합·운영을 돕고 전문화된 조직과 협업 체계도 제공했다. 특히 각종 시스템·기관·채널 연계 업무 간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실현하고 약 1.5억 건 이상의 일일 거래량 처리를 가능하게 한 주요 역할을 하며, 금융 시스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