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시점 로보틱스와 인공지능(AI)은 산업 내에서 뜨거운 이슈몰이 중이다. 전 세계 각국은 양 산업을 차세대 먹거리로 분류하고, 기술 육성을 위해 몰두하고 있다. 지난 2021년 오픈에이아이(OpenAI)가 론칭한 2세대 AI 로봇 ‘달리(DALL·E)’가 이 현상에 불을 지폈다. 특히 우리나라는 로봇·AI 분야 선도국으로 인식되는 만큼 이 양상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과학기술원(KIST)은 ‘AI·로봇연구소’를 통해 범국가 차원에서의 스텝업을 노리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양 기술을 활용해 로봇 산업에 성장 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의 예산 523억을 투입했다. 방위사업청도 지난 2013년 신설된 ‘국방로봇사업팀’에 AI를 녹여 재편한 ‘인공지능로봇사업팀’을 배치해 국방 혁신을 도모하는 중이다. 두 기술은 각각으로도 산업 고도화를 이룩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지만, 함께 접목됐을 때 더욱 큰 시너지와 가치를 발휘하기 때문에 융합에 대한 로드맵이 절실하다. 로봇 분야 끝판왕이 될 것이라고 기대받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이를 대변한다. 이러한 형국에서 산업용 컴퓨팅 솔루션 업체 어드밴텍이 ‘2024 어드밴텍 Robot+AI
엔비디아가 폭스콘(Foxconn)에 엔비디아 옴니버스(NVIDIA Omniverse)와 아이작(Isaac) 플랫폼 기반 디지털 트윈을 지원한다고 3일 밝혔다. 전자제품 제조업체 폭스콘은 전 세계에 170개 이상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중 가장 최신 공장은 최첨단 산업 자동화를 추진하는 가상 공장이다. 이는 멕시코 전자 산업의 중심지인 과달라하라에 구축한 새로운 공장의 디지털 트윈이다. 폭스콘의 엔지니어들은 이 가상 환경에서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로봇을 훈련시켜 실제 공장에서 차세대 가속 컴퓨팅 엔진인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HGX 시스템을 높은 효율로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적의 조립 라인을 설계하려면 공장 엔지니어는 각각 무게가 수백 파운드에 달하는 수십 개 로봇 팔의 최적의 배치를 찾아야 한다. 전체 공정의 정확한 모니터링을 위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여러 대의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한 수천 개의 센서를 매트릭스 형태로 설치해 공장 운영자에게 모든 세부 정보를 제공한다. 류양 웨이 폭스콘 회장은 “우리의 디지털 트윈은 새로운 수준의 자동화와 산업 효율성을 달성해 시간, 비용, 에너지를 절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폭스콘은 그간의 노력을
개발자는 아이작 심에 세 가지 옵션 통해 액세스 가능해져 엔비디아가 아이작 심(Isaac Sim) 로보틱스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클라우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로보틱스 개발자는 빠른 입력과 반복을 위해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에 쉽게 액세스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환경 탐색을 위한 테스트를 글로벌 팀에 걸쳐 수행한다. 개발자는 해당 플랫폼에 액세스하는 세 가지 옵션이 있다. 먼저 개발자가 어디서나 메타버스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사용하도록 해주는 서비스 제품군인 새로운 엔비디아 옴니버스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가능하다. 로보틱스 개발, 테스트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시뮬레이션 서비스인 AWS 로보메이커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개발자는 엔비디아 NGC에서 다운로드해 모든 퍼블릭 클라우드에 배포할 수 있다. 클라우드에서 아이작 심에 액세스할 수 있는 옵션을 통해 개인과 팀은 요구 사항에 맞는 워크플로우와 규모에 맞게 AI 지원 로봇을 개발, 테스트, 훈련할 수 있다. ABI 리서치에 따르면, 모바일 로봇 시장은 2021년 130억 달러에서 2030년 1230억 달러 이상으로 전 세계적으로 9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엔덜리 그룹의 수석 분석가인 롭 엔덜리(Rob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