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 컨소시엄, 세계 최초 인공지능(AI) 기반 ‘삭도시설 원격 검사 로봇 시스템’ 개발해 로봇이 고위험 고공 점검 작업 대체하는 시대 ‘성큼’...“정밀성, 작업자 안전 동시 확보” 와이어 로프 검사 로봇, 삭륜 마모도 검사 로봇으로 안전성·신뢰성 확보한다 세계 최초로 케이블카·리프트 등 삭도시설을 검사하는 로봇이 탄생했다.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 컨소시엄은 현장 실증을 통해 기술의 신뢰성과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경상북도·포항시·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IAT)의 지원을 받아 지난 2022년부터 총 4년간 약 50억 원의 정부 연구개발비를 들여 추진됐다. 이 과정을 KIRO가 주도했고, 한국시설안전연구원·로보아이·한국원자력연구원·국립한밭대학교·금오공과대학교·한국교통안전공단 등이 참여했다. 이번 ‘삭도시설 원격 검사 로봇 시스템’은 그동안 작업자에 의존한 삭도시설 검사 공정을 로봇이 대체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소 환경에서 수행한 점검 방식을 인공지능(AI) 기반 원격 로봇 시스템으로 전환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과 점검의 정밀성을 동시에 확보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기존 삭도 검사는 추락
헥사곤(Hexagon)의 제조 인텔리전스 사업부는 대형 항공우주 부품 검사에 특화된 자동화된 Presto XL 검사 셀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Presto XL은 제조 라인에서 사용하기 위한 헥사곤의 모듈식 턴키 시스템 시리즈에 추가된 최신 제품이다. 헥사곤에 따르면, 프레스토 검사 셀 시리즈의 Presto XL 버전은 항공우주 산업에 초점을 맞춰 지금부터 2027년까지 전 세계 항공기 생산이 매년 20%씩 증가할 것이라는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헥사곤은 병목 현상과 비효율을 초래하는 핸드헬드 스캐너, 수동 도구 및 육안 검사를 포함하는 기존 방식에서는 품질이 제조 공정 비용의 최대 30%를 차지한다고 추정하고 있다. 특수 제작된 품질 검사 시스템은 숙련된 품질 전문가가 공정을 자동화하고 간소화하여 항공기 측면 패널과 같은 대형 부품의 검사 시간을 최대 50%까지 단축하고 기존 로봇 시스템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부품 보정 및 설정 작업을 제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헥사곤의 글로벌 항공우주 및 방위 부문 부사장인 Aziz Tahiri는 “우리는 계측 및 제조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숙련된 품질 팀이 단일 셀에서 검사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데 필요
[헬로티] AI 머신비전으로 불량검사, 제조일자 확인 등 검사 작업 자동화 ▲기존에 사람이 육안으로 하던 검사 작업을 고성능 비전 장비로 대체하는 AI 머신비전 사업.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코그넥스가 CJ올리브네트웍스와 식품 검사용 AI 머신비전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코그넥스는 머신비전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제품을 설계, 개발,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1981년 이후로 60억 달러 이상의 누적매출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양사의 업무협약의 주요 내용은 식품 검사용 AI 머신비전 사업 육성이다. 머신비전 사업은 식품 제조 공장에 설치된 비전 시스템에서 이미지를 수집하고 데이터를 분석해 기존에 사람이 육안으로 하던 검사 작업(불량검사, 제품식별, 제조일자 확인 등)을 고성능 비전 장비로 대체하고 관련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코그넥스코리아는 식품 검사용 AI 머신비전 사업에 필요한 2D/3D 비전 카메라와 바코드 관련 장비 등의 비전 장비에 대한 공급 및 구축을 책임지며, CJ올리브네트웍스는 AI 솔루션(이미지 데이터 분석, AI모델링) 기술 개발과 관리, 운영 및 사업 인벤토리 공동 개발을 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