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조사…지정학적 리스크·수요 확대 등 요인 국내 주요 수출기업 상당수는 올해도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망 불안정으로 고전을 예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매출 상위 1천대 기업(금융권 제외) 중 조사에 응한 15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42.7%가 올해 글로벌 원자재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고 29일 밝혔다. 응답 기업의 4.7%는 원자재 가격이 '매우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고, 38.0%는 '다소 상승'하겠다고 예측했다.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한 비율은 29.3%, 다소 하락하겠다고 본 기업은 28.0%였다. 원자재 가격 상승 요인으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28.1%)와 코로나 팬데믹 감소에 따른 수요 확대(28.1%)가 가장 많이 꼽혔다. 미국 긴축 지속에 따른 환율 상승 우려(26.6%), 탄소중립 및 친환경 트렌드에 따른 신규 수요 증가(9.4%), 각국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한 원자재 확보 부담 증가(4.7%) 등이 뒤를 이었다. 가격 하락 전망 이유로는 세계적 경기침체 예상(54.8%)이 절반을 넘어 가장 많았고 현재 원자재 가격 수준이 너무 높음(28.6%), 지정
"물량 증가·신차효과·부품수급 개선 등 영향" 기아가 지난해 영업이익 7조원을 돌파하며 현대자동차와 함께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기아는 27일 기업설명회를 열어 2022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23.9% 성장한 86조5590억원, 영업이익은 42.8% 늘어난 7조2331억원이라고 밝혔다. 당기순이익은 5조4090억원(13.6%↑), 판매는 290만1849대(이하 전년 동기 대비 4.5%↑)였다. 2010년 새 회계기준(IFRS) 도입 이후 종전 매출 최대 기록은 2021년 69조8624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해 5조657억원으로 이를 모두 크게 넘어섰다. 작년 4분기 판매량(도매 기준)은 73만259대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매출액은 전년보다 34.8% 늘어난 23조1642억원, 영업이익은 123.3% 증가한 2조6243억원, 경상이익은 61.3% 증가한 2조6301억원, 당기순이익은 63.2% 커진 2조365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국내 판매량은 전년 대비 10.7% 증가한 14만5768대이고, 해외에서는 13.2% 늘어난 58만4491대를 팔았다. 국내에서는 신형 니로의 신차 효과와 더불어 부품 수급 개선에 따른 셀토스·쏘렌토·카
현대모비스가 전동화 등 고부가가치 부품 수주에 힘입어 지난해 연간 매출 50조원을 처음 돌파했다. 현대모비스는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매출이 51조9063억원으로 전년 대비 24.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7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2조265억원으로 전년보다 0.7%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2조4872억원으로 5.3% 늘었다. 같은 해 4분기 영업이익은 6604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4.9% 늘었다. 4분기 매출은 29.1% 증가한 14조9945억원, 순이익은 14.9% 늘어난 6366억원으로 집계됐다. 현대모비스는 연간 매출이 50조원을 넘은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라며 전동화 부문 수익성 증대와 고부가가치 부품 공급 확대가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래 자동차 산업의 성장동력인 전동화 부문 매출이 핵심 부품 매출을 상회하며 안정화 단계에 접어든 것이 고무적이라고 현대모비스는 전했다. 지난해 주력 사업인 모듈과 핵심부품 제조 분야 매출은 전년 대비 25.3% 증가한 41조6965억원이었다. 이중 전동화 부품 매출은 9조6759억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9조원을 넘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여러 비용증가 요인에도 불구하고 완성차 생산 물
LG에너지솔루션은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1조2137억원으로 전년보다 57.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7일 공시했다. 매출은 25조5986억원으로 전년 대비 43.4% 증가했다. 순이익은 7798억원으로 16.1% 줄었다. 4분기 영업이익은 2374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13.6% 늘었다. 이 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8조5375억원과 2756억원이었다. LG에너지솔루션 최고재무책임자(CFO) 이창실 부사장은 "작년 하반기 전기차 및 전력망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 개선세에 따라 전 제품군 출하량이 증가했다"며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분의 판매가 연동 확대 등에 힘입어 연간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판매량 확대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 생산성 향상을 통한 원가 절감 등을 통해 영업이익 역시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컨퍼런스콜을 통해 올해 매출 목표를 지난해 대비 최대 30% 증가할 것으로 제시했다. 한편 이날 오전 10시 20분 기준 LG에너지솔루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55% 내린 50만9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전망 BSI도 2p↓ …제조업·비제조업 BSI 모두 5p 내려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다섯 달 연속 뒷걸음쳤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모든 산업의 업황 BSI는 69로, 지난해 12월(74)보다 5포인트(p) 떨어졌다. 1월 업황 BSI는 2020년 9월(64) 이후 2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며, 지난 2020년 3월(-11포인트) 이후 월간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업황 BSI는 지난해 8월 81을 기록한 이후 9월(78), 10월(76), 11월(75), 12월(74), 1월(69)까지 5개월째 하락세다. BSI는 현재 경영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산출된 통계로,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돈다. 이달 조사는 지난 10일부터 17일까지 3255개 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이 가운데 2739개 기업(제조업 1636개·비제조업 1103개)이 설문에 답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업황 BSI(66)와 비제조업 업황 BSI(71) 모두 5포인트씩 하락했다. 제조업 세부 업종 가운데 반도체 수요 감소로 인한 매출 감소 및
전경련 "규제 완화, 노동시장 유연화 등 경영환경개선 주력해야"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더욱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다음달 BSI 전망치가 2년 6개월 만에 최저치인 83.1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BSI가 기준치인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에 대한 긍정 응답이 부정보다 많고, 100보다 낮으면 부정 응답이 더 많은 것을 의미한다. BSI 전망치는 작년 4월부터 11개월 연속 기준선인 100을 넘지 못하고 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81.4)과 비제조업(85.1) 모두 지난해 6월부터 9개월 연속 기준선 100을 하회하고 있다. 국내 주력 수출 품목이 포함된 업종(전자·통신, 석유정제·화학, 자동차·기타운송)은 지난해 10월부터 5개월째 부진했다. 비제조업 중에서는 전기·가스·수도(100.0)만 기준선 이상을 기록했고, 정보통신(75.0)은 글로벌 IT 업황 부진 여파 등으로 전월 대비 30.9포인트 급락했다. 자금 사정(87.9), 투자(89.0), 채산성(89.5), 내수(89.5), 수출(90.9), 고용(96.0), 재고(105.4)
물류사업 매출 전년 대비 41% 증가…클라우드 등 글로벌 사업 강화 계획 삼성SDS는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9161억 원으로 전년보다 13.4%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6일 공시했다. 매출은 17조2348억 원으로 전년 대비 26.4% 증가하며 연간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순이익은 1조1300억 원으로 78.4% 늘었다. 4분기 영업이익은 1875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0% 늘었으며, 4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4조2500억 원과 2523억 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매출을 사업 분야별로 보면 정보기술(IT) 서비스 사업 연간 매출은 5조 9682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5.9% 성장했다. 제조·금융·공공 분야 클라우드 사업 확대와 차세대 자원관리시스템(ERP) 전환 컨설팅 수행 등에서 성장한 점이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클라우드 사업은 매출 1조 1627억을 기록했다. 삼성클라우드서비스(SCP) 기반의 클라우드 인프라·플랫폼 서비스 제공(CSP) 사업과 앱 현대화를 중심으로 한 클라우드 컨설팅·구축·운영 서비스(MSP) 사업이 고르게 성장한 점이 뒷받침됐다. 물류 사업 매출은 항공 물동량 증가와 미주·유럽 물류 서비스 확대 등에…
아이오닉5·코나 일렉트릭은 '톱10' 안착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유럽 주요 10개국에서 두 자릿수 점유율을 기록하며 글로벌 완성차그룹 중 네 번째로 많은 전기차를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전기차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가 지난해 독일 등 유럽 10개국에서의 전기차(BEV) 판매 현황을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총 9만6988대를 판매해 점유율 10%를 나타냈다. 현대차는 5만4906대(5.7%), 기아는 4만2082대(4.3%)를 판매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집계는 유럽 최대 자동차 시장인 독일을 시작으로 노르웨이, 네덜란드, 스웨덴, 스페인, 이탈리아, 스위스, 덴마크, 아일랜드, 핀란드를 대상으로 했다. 이들 시장은 서유럽 전체 전기차 판매의 64%를 차지한다. 유럽 10개국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 1위를 차지한 폭스바겐그룹은 지난해 총 24만8421대를 팔아 25.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어 스텔란티스(13만6345대·14.1%), 테슬라(13만251대·13.4%) 순이었다. 최근 전기차 수출을 늘리고 있는 중국의 길리차그룹과 상하이차그룹은 각각 5만7329대(5.9%), 2만6936대(2.8%)를 판매하며 8, 9위에 올랐다. 다만 테
대한상의 SGI 브리프…"반도체 부진시 경제성장률 1% 초반으로 하향 우려"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반도체 수출 둔화가 예상보다 커질 경우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이 1% 초반까지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단기적으로 국내 경기 침체를 막고 장기적으로 미래 국가경쟁력 제고를 도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5일 대한상공회의소의 SGI 브리프 보고서('반도체 산업의 국내 경제 기여와 미래 발전전략')에 따르면 반도체 수출이 10% 감소하면 국내 경제성장률은 0.64%포인트, 20% 감소시에는 1.27%포인트 하락하는요인으로 작용한다. 보고서는 반도체 수출 둔화가 예상보다 커질 경우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이 1% 초반까지 하향 조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작년 3분기부터 시작된 국내 반도체 산업의 경기 침체는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9.9%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올해 상반기 -16.8%에서 저점을 기록하고 하반기에도 -2.2%로 침체가 이어질 전망이다. 김천구 대한상의 SGI 연구위원은 "과거 IT 버블…
日, 전고체 배터리 내세워 점유율 20% 회복 목표 일본이 배터리 종주국 지위 회복을 위해 관련 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도 'K-배터리 발전전략'을 수정·보완하는 등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일본의 배터리 산업 부활 전략과 시사점' 보고서를 24일 발표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한때 배터리 종주국이었던 일본은 2030년 세계 배터리시장 점유율 20% 회복을 목표로 현재 민관 합동으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일본은 1990년대 소니를 필두로 세계에서 가장 먼저 리튬이온배터리를 상용화했고, 2015년까지 세계 배터리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하지만 일본이 자국 시장에 안주하는 사이 중국과 한국이 추격에 성공하면서 세계 배터리 시장에서 일본의 점유율은 빠르게 하락했다. 리튬이온배터리의 경우 일본의 점유율은 2015년 51.7%에서 2020년 21.1%로 떨어졌고,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점유율도 같은 기간 27.4%에서 5.4%로 크게 하락했다. 세계 각국이 전기차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이러한 열세가 이어지자 일본은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퇴출당할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끼고…
이주환 위원 "휴업 업체 공장 재가동 위해 맞춤형 지원 필요…과감한 규제완화도 시급"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3고(高) 현상과 글로벌 경기 둔화, 코로나19 장기화가 겹치면서 국가산단에 입주한 중소제조업체들의 휴·폐업 수가 5년 새 4배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이 한국산업단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정부 관할 국가산업단지의 휴·폐업 기업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8∼2022년) 휴 ·폐업 기업은 총 2천315개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8년 171개, 2019년 333개, 2020년 494개, 2021년 682개, 2022년 635개 기업이 휴·폐업해 5년 새 휴·폐업 기업 수는 4배 가까이로 늘었다. 휴·폐업 기업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디지털국가산단으로, 지난해에만 132개 기업이 문을 닫았다. 이어 시화국가산단 112개, 반월국가산단 102개, 남동국가산단 72개 등 순이었다.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한 중소기업인·소상공인에게 지급한 폐업공제금은 2018년 5,462억원에서 지난해 9,682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4년 만에 77% 급증한 것이다. 노란우산공제는 소기업·소상공인의
중기중앙회, 중소 제조업체 1천개 실태조사…숙식비 제외 인건비, 내국인 94% 수준 체류 기간 연장·불성실 외국인력 제재 장치 마련 주문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은 내국인 근로자를 구하지 못해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은 최대 9년 8개월인 외국인 근로자의 체류 기간을 더 연장해야 한다고 봤다. 잦은 사업장 변경 등 불성실한 외국 인력에 대한 제재 장치 마련은 현 고용허가제의 가장 시급한 개선 과제로 꼽혔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9∼25일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 중인 중소 제조업체 1천개를 상대로 시행한 '외국인력 고용 관련 종합애로 실태조사' 결과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내국인 구인 애로(90.6%)였다. 이는 지난해 조사 때보다 14.9%포인트나 급등한 것이다. 외국인 근로자 채용 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은 출신 국가(39.2%)였으며, 한국어 능력(19.3%), 신장·체중 등 육체적 조건(17.4%), 숙련도(13.2%)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업무·연차 등 동일 조건의 내국인 근로자 생산성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외국인 근로자의 생산성 수준은 3개월 미만 고용 초기에는…
전 세계 IT 지출이 2022년보다 2.4% 증가, 총 4조 5천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이전 분기 성장률 예측치인 5.1%보다 낮아진 수치다. 리서치 전문 업체 가트너(Gartner)는 이 같이 밝히며, 인플레이션이 계속해서 소비자 구매력을 약화하고 디바이스 지출을 감소시키고 있으나, 기업들의 전반적인 IT 지출은 여전히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존 데이비드 러브록 가트너 리서치 부사장은 “소비자와 기업이 직면한 경제적 현실이 매우 다르다”며 “인플레이션이 소비자 시장을 황폐화하고 B2C 기업의 정리해고를 일으키는 동안, 기업들은 세계 경기 침체 상황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비즈니스 이니셔티브에 대한 지출을 계속해서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격동적인 경제 상황은 비즈니스 의사결정의 맥락을 변화시켰고 CIO들이 더욱 주저하며 의사 결정을 지연시키고 우선 순위를 조정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 이는 일부 B2B 기업들, 특히 성장에 과잉 투자한 기업들의 개편과 함께 나타난다”고 말했으며, “그러나 IT 예산은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지 않으며 IT 지출은 불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소프트웨어 및 IT 서비스 부문은…
외국인·기관 투자자 대량 매수 미국발 물가 호재로 13일 국내 금융시장에서 코스피가 오르고 원/달러 환율이 하락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20.99포인트(0.89%) 오른 2,386.09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2.24포인트(0.52%) 오른 2,377.34에 개장해 장중 2,397.01까지 오르는 등 강세를 이어갔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714억원, 2,150억원 어치 주식을 순매수해 증시를 끌어올렸다. 개인은 7,804억원 어치를 순매도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 종가 대비 4.5원 내린 1,241.3원에 마치는 등 원화가 강세를 보이며 외국인 수급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됐다. 앞서 미국의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시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환호했다. 이에 국내 증시도 상승세로 출발했고, 장중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하자 이를 소화하면서 강세를 이어나갔다. 시가총액 상위권에서는 대장주 삼성전자(0.50%)와 LG화학(1.10%), 삼성SDI(0.32%), 현대차(1.50%) 등이 올랐다. SK
코스피가 11일 소폭 상승해 2,350대를 유지하며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8.22포인트(0.35%) 오른 2,359.53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2.74포인트(0.54%) 높은 2,364.05에 개장해 일시적으로 하락 전환하기도 했지만 대체로 강보합권에 머물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60억원, 1,726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은 2,057억원 매도 우위였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1.5원 오른 1,246.2원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의 순매수세가 축소된 가운데 시가총액 상위권에서 삼성전자(0.17%), LG에너지솔루션(0.21%), SK하이닉스(0.92%), LG화학(0.79%), NAVER(네이버)(1.04%), 카카오(1.98%) 등 반도체·2차전지·인터넷 종목들이 상승하며 지수를 뒷받침했다. 시총 상위 10위권에서는 이들 종목을 포함한 모든 종목이 상승 마감했다. 다만 곧 발표될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결과에 대한 경계심리가 유입되며 지수의 추가 상승은 제한되는 모습이었다. 업종별로는 의료정밀(2.07%), 비금속광물(1.98%), 화학(1.73%), 기계(0.94%)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