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온라인 제조 플랫폼 크렐로(Creallo)가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정보보안경영시스템 인증 ISO 27001을 획득하며 글로벌 제조 파트너로서의 신뢰와 안정성을 공식 입증했다. 이번 인증으로 크렐로는 기존에 보유한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에 이어 품질·환경·보안을 모두 아우르는 국제 기준을 충족하게 됐다. ISO 27001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정보보호 표준으로, 조직이 체계적인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를 구축했음을 의미한다. 크렐로는 파일 접근 권한 관리, 기록 추적, 데이터 반출 통제, 물리적 접근 차단 등 모든 보안 절차를 국제 기준에 맞춰 운영하고 있다. 고객의 도면과 기술 자료는 비밀유지계약(NDA) 여부와 관계없이 보호되는 체계적 관리 시스템 아래 안전하게 관리된다. 이번 인증을 통해 크렐로는 제조 서비스 기업으로서의 보안 신뢰도와 지속가능한 경영 역량을 한층 강화했다. 특히 로봇, 드론, 자동차, 항공 등 첨단 제조 산업의 B2B 고객이 요구하는 높은 수준의 보안 요건을 충족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도 확보했다. 크렐로는 일관된 품질 관리, 고객 데이터 보호, 친환경 경영
전력·소재·설계 전반의 기술 혁신이 속도보다 지속가능성과 효율을 경쟁 기준으로 바꾸며 글로벌 전자산업의 흐름이 근본적으로 재편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 무대가 바로 내년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부품 전시회 ‘일렉트로니카(electronica) 2026’이다. 이번 전시회는 AI 반도체, 전력전자, 재생에너지, 지속가능 설계 기술을 집중 조명하며 부품–모듈–시스템–인프라로 이어지는 전자산업 밸류체인의 통합과 재편을 직접 보여주는 글로벌 허브로 주목받고 있다. 주최사 메쎄 뮌헨은 오는 11월 30일까지 1차 참가 신청을 마감하며,조기 등록 기업에게는 전시홀 내 핵심 부스 배정 혜택을 제공한다. AI 하드웨어 시장은 데이터센터를 넘어 자동차, 공장, 가전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NPU, FPGA, 맞춤형 SoC 등 엣지 연산 수요가 늘수록 하드웨어의 병목은 연산 성능이 아니라 전력 효율과 열 제어 능력으로 귀결된다. 이로 인해 전력반도체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실리콘 카바이드(SiC)·질화갈륨(GaN) 기반 와이드밴드갭(WBG) 소자가 고온·고전압 환경에서도 손실과 발열을 최소화하며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제조사들은 이미 지속가능
산업 인공지능(AI) 전문기업 원프레딕트(onepredict)가 제조현장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국가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원프레딕트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이 주관하는 ‘AI 자율제조 SDM(Software Defined Manufacturing, 소프트웨어 기반 제조)’ 플랫폼 개발 사업의 핵심 기술 설계 및 실증 과제를 수주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원프레딕트는 자사의 제조 특화 AI 파운데이션 모델(MFM, Manufacturing Foundation Model)을 적용해, 산업 현장에서 직접 활용 가능한 차세대 AI 기반 제조 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이다. 원프레딕트는 국내 최초의 산업용 AI 솔루션 ‘가디원(guardione)’으로 잘 알려져 있다. 설비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는 AI 예지보전(PdM) 기술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군에 맞춰 확장 가능한 AI 모델을 개발해 왔다. 특히 가디원에 적용된 ‘oneSolution’ 기술은 대량의 설비 데이터를 미리 학습, 여러 산업 환경에서도 스스로 적응하고 다양한 설비에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MFM 개발은 이러한 기술력을 한 단계 발전시켜 산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는 15일 서울 종로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산업 전반의 AX(Advanced Transformation, 인공지능 기반 산업전환)’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제조업과 산업 현장 전반에 AI 도입을 가속화하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협력체계를 본격화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산업 전반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제조업을 비롯한 주요 산업에서 AI 기술을 도입·활용하는 것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산업계의 기술 역량에 비해 현장 적용률은 여전히 낮은 상황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부처 간 연계가 절실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산업부·과기정통부·중기부는 부처별 전문성과 정책 역량을 결집해 산업 전반의 AX를 촉진하고, 산업 AI 대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협력 구조를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산업 전반의 AX 역량 강화 및 핵심기술 내재화 ▲AI 벤처·스타트업과 중소·소상공인의 AI 기술사업화 및 현장 맞춤형 AX 기술개발 지원 ▲지역 산업군 중심의 AX 생태계
줌 커뮤니케이션스(Zoom Communications, Inc.)는 자사의 AI-퍼스트 클라우드 전화 솔루션 ‘줌 폰(Zoom Phone)’이 전 세계적으로 1천만 석(seat)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줌이 기업 커뮤니케이션 혁신을 선도하며, 클라우드 전화 시장에서 입지를 확고히 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성과라고 회사는 강조했다. 2019년 출시된 줌 폰은 짧은 기간 안에 가장 빠르게 성장한 클라우드 전화 솔루션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기존의 온프레미스 PBX나 분산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서 벗어나, AI 중심의 통합형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전환하는 글로벌 추세를 반영한 결과다. 줌 폰은 줌의 안정적이고 개방적인 플랫폼 위에 구축되어 있으며, 기업 규모와 관계없이 효율적 협업과 고객 경험 향상을 지원한다. 크리스 모스 줌 폰 총괄 매니저는 “1천만 석 돌파는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며 “전 세계 조직들이 전화 시스템을 단순한 통신 수단이 아닌 전략적 비즈니스 자산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AI 기반 자동화, 관리 효율화, 비용 절감이 결합된 줌 폰은 현대적 업무 환경에서 ‘연결되고 지능적인 커뮤니케이션’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가 오라클(Oracle)과 손잡고 전 세계 고객의 애플리케이션 및 AI 워크로드 가속화를 지원한다. 클라우드플레어는 자사의 커넥티비티 클라우드 플랫폼을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racle Cloud Infrastructure, 이하 OCI)에 네이티브 형태로 통합해 고객이 OCI 콘솔과 API를 통해 클라우드플레어의 보안·성능·복원성 기능을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하이브리드·멀티클라우드 및 OCI 환경 전반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속도와 안정성을 강화하고, AI 워크로드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주력한다. 최근 포레스터 리서치(Forrester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IT 의사결정권자의 73%가 멀티클라우드 네트워킹을 도입하고 있으며 복수의 클라우드를 결합해 활용하는 유연성이 높아지는 반면 관리 복잡성과 보안 리스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특히 AI 애플리케이션 확산으로 클라우드 인프라 전반의 가시성과 제어, 데이터 보호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톰 에반스(Tom Evans) 클라우드플레어 CPO는 “AI가 업무 혁신을 이끄는 동시에 위협 지형도 확장되고 있다”며
AI 기반 콘텐츠 제작사 모팩스튜디오(MOFAC Studio, 이하 모팩)가 알토스벤처스(Altos Ventures)로부터 6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알토스벤처스 단독으로 진행됐으며 모팩은 이를 통해 AI·버추얼 프로덕션 기반의 차기 작품 제작과 글로벌 배급망 확장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모팩은 한국 1세대 특수시각효과(VFX) 전문가 장성호 감독이 설립한 AI 콘텐츠 제작사로 영화 ‘해운대’, ‘명량’, 드라마 ‘스위트홈’ 등 다수의 흥행작에서 CG 작업을 담당해왔다. 장 대표는 올해 4월 10여 년간 기획 및 제작한 장편 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스(King of Kings)’를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았다. ‘킹 오브 킹스’는 영국 작가 찰스 디킨스의 작품을 모티브로 예수의 일생을 다룬 애니메이션이다. 지난 4월 북미 개봉 첫 주에만 100억 원(7.01백만 달러)의 매출을 올리며 박스오피스 2위에 올랐고 개봉 며칠 만에 누적 흥행 수익 272억 원(1910만 달러)을 돌파했다. 성경 애니메이션 장르에서 27년 만에 ‘이집트 왕자’의 기록을 넘어선 성과로 평가된다. 작품은 북미 관객으로부터 시네마스코어 ‘A+’ 등급을 받으며 작
구글 클라우드가 기업용 AI 플랫폼 '제미나이 엔터프라이즈(Gemini Enterprise)'를 공개했다. 이번 발표는 전 세계 모든 임직원이 하나의 인터페이스에서 AI를 활용해 업무 효율과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의 출범을 의미한다. 제미나이 엔터프라이즈는 직관적인 제미나이 채팅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6가지 핵심 기능을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해 제공한다. 구글의 최신 제미나이 모델이 플랫폼의 두뇌 역할을 수행하며 노코드 워크벤치(no-code workbench)를 통해 모든 부서의 직원이 복잡한 코딩 없이 데이터 분석, 에이전트 구성, 프로세스 자동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도입 초기부터 기업이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심층 연구와 데이터 분석을 지원하는 구글의 사전 구축형 에이전트 태스크포스가 함께 제공된다. 제미나이 엔터프라이즈는 구글 워크스페이스(Google Workspace), 마이크로소프트 365(Microsoft 365), 세일즈포스(Salesforce), SAP 등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 안전하게 연결된다. 이를 통해 AI 에이전트는 풍부한 비즈니스 컨텍스트를 바탕으로 더욱 정교한 인사이트를 제공
SAP가 지난 6일부터 3일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새롭게 선보인 연례행사 ‘SAP 커넥트(SAP Connect)’를 개최해 AI 기반 비즈니스 스위트의 차세대 혁신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는 ‘AI,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의 결합이 만드는 비즈니스 혁신’을 주제로, 역할 기반 AI 어시스턴트 네트워크 ‘쥴(Joule)’의 진화와 데이터 통합 생태계, 공급망 리스크 대응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SAP 제품 엔지니어링 총괄 및 이사회 임원 무하마드 알람(Muhammad Alam)은 “불확실성이 일상이 된 시대에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최고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단순히 조합하는 것 이상의 접근이 필요하다”며 “AI,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의 결합은 더 나은 의사결정과 빠른 실행, 그리고 확장 가능한 혁신을 가능하게 한다”고 말했다. SAP는 이번 행사에서 사람과 협력하는 AI의 새로운 단계로 진화한 ‘쥴’의 역할 기반 어시스턴트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스위트를 재정의했다. 각 어시스턴트는 특정 업무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과 협력하도록 설계돼 전문 에이전트 팀을 구성·조율하며 생산성과 인사이트를 극대화한다. 예를 들어, 피플 매니저 어시스턴트(People Manager Ass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가 금융 산업을 위한 ‘금융 특화 코텍스 AI(Cortex AI for Financial Services)’를 출시했다. 이를 통해 금융 기관들은 높은 수준의 보안과 규제 준수를 유지하면서도 AI 모델, 애플리케이션, 에이전트를 활용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금융 특화 코텍스 AI는 시장 분석, 리스크 관리, 이상 거래 탐지, 고객 지원, 보험 청구 관리 등 다양한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고 효율화할 수 있는 기업용 AI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금융 기관은 업무 시간을 절감하고 운영비를 낮추며, 신속하고 정확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다. 스노우플레이크는 또한 산업 전반에서 활용 가능한 관리형 ‘MCP 서버(Model Context Protocol Server)’를 퍼블릭 프리뷰로 선보였다. MCP 서버는 기업 내부의 민감한 데이터를 스노우플레이크 환경 내에서 안전하게 관리하며, 앤트로픽, 크루AI, 세일즈포스 등 주요 에이전트 플랫폼과 연결해 풍부한 컨텍스트를 갖춘 AI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외부 데이터와 내부 데이터를 분리·보호하면서도 상호 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옵스나우는 13일 일본 최대 개발자 대상 HR테크(인사관리 기술) 플랫폼 기업 파인디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옵스나우는 파인디 HR테크 솔루션의 공식 파트너 권한을 확보했으며, 자사의 핀테크 솔루션과 결합해 한국과 일본 내 기업 고객을 공동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양사는 공동 영업과 마케팅 프로그램을 함께 추진하기로 합의했으며, 파인디는 옵스나우에 포괄적인 파트너 지원과 안내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옵스나우의 자동화 기능과 파인디의 AI 기반 인재 분석 기술을 결합한 통합 솔루션을 개발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예정이다. 옵스나우는 한국 시장에 특화된 핀옵스(FinOps) 솔루션을 통해 기업의 클라우드 비용 절감과 운영 최적화를 지원해 왔다. 2023년 독립 법인으로 출범한 이후 클라우드 운영 및 관리 전 영역을 아우르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약 3000여 글로벌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야마다 유이치로 파인디 대표는 “옵스나우와의 협력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확보하고 다양한 산업의 잠재 고객과 연결할 수 있게 됐다”며 “기업과 부서를 대상으로 한 옵스나우의 협력 활동을 통해 더 많은 고객에게 데이터 기반
텔레픽스가 유럽우주국(ESA)이 주최한 지진 대응 AI(인공지능) 모델 개발 경진대회 ‘AI for Earthquake Response Challenge’에서 우승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열린 ‘맵 유어 시티 챌린지(MapYourCity Challenge)’에 이어 유럽우주국 주관 국제 대회에서 2년 연속 1위를 기록하며 AI 기반 위성 영상 활용 역량을 입증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대규모 지진 발생 시 위성 영상을 신속하게 분석해 피해 지역을 파악하는 AI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유럽우주국의 지구 관측 분야 연구 조직 ‘파이 랩(Φ-lab)’과 전 세계 주요 재난 대응을 위해 위성 데이터를 지원하는 ‘우주 및 주요 재난 국제 헌장(The International Charter: Space and Major Disasters)’이 공동 주최했으며, 전 세계 위성영상 및 AI 분야 연구자와 개발자가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지진 전후의 고해상도 위성 이미지를 분석해 지진으로 손상된 건물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AI 모델을 개발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텔레픽스는 두 단계에 걸친 평가에서 모두 우수한 성과를 거두며 총 261개 팀 중 벨기에(2위)와 일본(
에임인텔리전스가 미국 로봇 OS 기업 오픈마인드, LG전자와 함께 ‘피지컬 AI 안전 레이어(Physical AI Safety Layer)’를 공동 개발한다. 이번 협력은 물리적 환경에서 작동하는 AI, 즉 ‘피지컬 AI(Physical AI)’의 오작동과 외부 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피지컬 AI의 안전 규칙은 아시모프의 ‘로봇 3원칙’ 수준에 머물러 있어, 현실 환경에서의 오작동과 해킹 공격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있다. 세 기업이 공동으로 개발하는 새로운 안전 레이어는 로봇의 판단 오류(환각)를 차단하고 외부 침입·공격까지 방어하는 차세대 안전 표준을 제시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인간이 인지하지 못하는 초음파 신호나 의류·헬멧의 미세한 이미지 패치만으로도 AI를 교란해 명령을 조작할 수 있는 공격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번 기술은 시각·청각·센서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이러한 은밀한 공격으로부터 로봇이 안전하게 작동하도록 보호한다. 이번 협력에서 오픈마인드는 범용 로봇 운영체제(OS) ‘OM1’을 제공하고, LG전자는 하드웨어 개발과 실증 단계를 맡는다. 에임인텔리전스는 AI 보안 기술을 로봇 운영체제에 통합해 모든 로봇의 행동이 인간의 통제 하에 이
AI 최적화 및 경량화 기술 기업 노타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자사의 AI 모델 자동 최적화 플랫폼 ‘넷츠프레소’가 첨단기술제품 인증을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인증은 정부가 기술의 혁신성과 산업적 가치를 공식적으로 인정해 부여하는 국가 기술 인증으로, 넷츠프레소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분야-NPU용 소프트웨어 기술’ 부문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넷츠프레소는 AI 반도체부터 IoT 디바이스까지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서 AI 모델을 효율적으로 압축·최적화·배포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모델 크기를 최대 90% 이상 줄이면서도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이 핵심으로, 개발과 운영 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빠른 상용화를 가능하게 한다. 노타는 삼성전자, 퀄컴, 르네사스, 소니 등 여러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 AI 모델 최적화 기술을 공급하며 엣지 인텔리전스 산업 전반에서 기술적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낮은 사양의 디바이스에서도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구동할 수 있는 LLM 최적화 기술을 선보여 제조, 가전, IoT 등 다양한 산업 영역으로 온디바이스 AI의 적용 범위를 확장했다. 채명수 노타 대표는 “이번 인증은 노타가 보유한 AI 최적화 기술이 국가
셀렉트스타가 국내 최초로 유럽연합(EU) 개인정보 벤치마크 데이터 구축에 나섰다. 이번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2025년도 초거대 AI 확산 생태계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셀렉트스타가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프로젝트 전반을 총괄한다. 셀렉트스타는 EU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과 인공지능법(AI Act)을 기반으로 초거대 언어모델(LLM)의 개인정보보호 준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오픈소스 벤치마크 데이터셋을 구축한다. 이번 사업은 EU 규제가 사실상 글로벌 표준으로 확산되는 ‘브뤼셀 효과(Brussels Effect)’에 대응해 국내 AI 기업들이 국제 규제 환경에 맞춰 기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프로젝트는 EU 주요 법령과 공공 보고서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정제한 후 개인정보 보호 관련 핵심 항목을 세분화해 평가 기준을 마련한다. 또한 질의응답 데이터와 다국어 평가 자료를 제작해 AI가 개인정보보호 규정을 얼마나 정확히 이해하고 준수하는지 검증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번 과제에는 플리토와 BHSN이 참여기관으로 함께한다. 플리토는 글로벌 AI 언어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