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상위 10곳 회사가 국내 3사와 일본 파나소닉을 제외하면 모두 중국 회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판도는 당분간 큰 변화가 없을 전망이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작년 전기차용 배터리 업체별 판매 실적은 690GWh, 배터리 팩 기준 시장 규모는 1천255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중 상위 10곳 배터리 업체의 비중은 매출액 기준 71%, 용량 기준으로는 93%를 기록했다. 중국 CATL의 시장 점유율은 매출액 기준 28%, 출하량 기준 39%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K-배터리의 점유율은 매출액 기준으로 LG에너지솔루션이 12%, SDI가 6%, SK온은 5%로 각각 2위, 4위, 5위에 자리했다. 테슬라를 제치고 전기차 판매 세계 1위를 기록한 BYD는 시장 점유율이 매출액 기준 10%, 출하량 기준 12%를 기록하며 3위로 올라왔으며, 당분간 강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파나소닉은 테슬라향 배터리 셀 판매 형태의 매출 구조를 갖고 있어, 출하량 기준 시장 점유율로는 7%, 4위이지만, 매출액 기준으로는 시장 점유율 4%로 6위를 기록했다. 10위권 밖의 Sunwoda, Farasis, AESC 등도 9, 10위를 차지한 EVE, SV
L당 휘발유 1,596.4원·경유 1,534.3원…각각 0.4원·11.8원 ↓ 이번 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 판매 가격은 동반 하락했다. 25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3월 넷째주(19∼23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L(리터)당 1,596.4원으로 전주보다 0.4원 하락했다. 휘발유 판매가격은 4주 연속 오르다 이번 주 약보합세를 보였다. 국내 최고가 지역인 서울의 이번 주 휘발유 평균 가격은 1.3원 하락한 1,676.4원, 최저가 지역인 울산은 0.5원 하락한 1,567.5원이었다. 상표별로는 GS칼텍스 주유소가 L당 1,603.4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는 1,569.3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이번 주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11.8원 하락한 L당 1,534.3원으로 집계됐다. 경유 판매가격은 주간 단위로 18주째 내렸다. 이번 주 국제 유가는 주요국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미국 상업원유 재고 증가, 미국 에너지부의 전략비축유 구입 연기 등의 영향으로 하락했다. 수입 원유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이번 주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3.9달러 내린 배럴당 73.7달러를 기록했다. 국제 휘발유 평균 가격은 2.9
대한상의 302개사 설문…응답기업 72% "납품량 증가 등 특정상황에만 사용" 최근 정부의 근로시간제도 개편방안이 논란이 되는 가운데 연장근로 관리 단위가 확대되더라도 주 69시간 장시간 근로하는 경우는 극히 예외적일 것이라는 기업 대상 설문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근로시간제도 개편방안에 대한 기업 의견 조사를 24일 발표했다. 앞서 고용노동부는 지난 6일 연장근로 관리 단위를 '주' 외에 '월·분기·반기·연'으로 확대해 '일이 많을 때는 일주일 최대 69시간까지 몰아서 일하고 적을 때는 푹 쉬자'는 취지의 근로시간 개편안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 연장근로를 하는 302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연장근로 관리 단위가 주에서 월·분기·반기·연 단위로 확대될 경우 기업의 56%가 바뀐 연장근로제도를 활용하겠다고 답했다. 활용 기업의 72.2%는 납품량 증가, 설비고장, 성수기 등의 특정한 사유가 있을 때 일시적으로 활용하겠다고 했다. 평상시에도 연장근로방안으로 활용하겠다는 응답 비율은 27.8%였다. 연장근로 관리 단위를 변경할 경우 주 최대 예상 근로시간을 묻자 응답 기업의 40.2%는 '52∼56시간 미만', 34.3%는 '56~60시간 미만'이라
2045년에는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해 배터리 핵심 원료인 수산화리튬을 2만t(톤)가량 조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산업의 원료조달 효과성 분석' 보고서를 23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대한상의가 김유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에 분석을 의뢰해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폐배터리 재활용도 늘어나고, 2035년 이후에는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핵심원료의 자체 조달분도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2045년에 수산화리튬 2만t을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으로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수산화리튬 수입량의 28%에 해당한다. 수산화리튬의 중국 수입 비중은 82%에 달했다. 또 수산화리튬 2만t은 약 63만개의 NCM(니켈·코발트·망간) 811 배터리를 새로 만들 수 있는 분량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NCM 811은 니켈, 코발트, 망간이 8:1:1 비율로 함유된 배터리 규격을 뜻한다. 2045년이 되면 수산화리튬 외에도 황산망간 2만1천t, 황산코발트 2만2천t, 황산니켈 9만8천t가량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보고서는
'사이버 보안 준비지수 보고서' 발표…보안 위협 방어 잘 준비된 국내 기업은 7%에 불과 시스코 시스템즈가 '사이버 보안 준비지수: 하이브리드 시대의 회복탄력성' 보고서를 22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27개국 6700명의 보안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또한 사용자 신원, 디바이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워크로드, 데이터를 포함한 5가지 분야와 해당 분야 내에서 사용된 19개의 솔루션을 기반으로 기업의 보안 준비 현황을 평가했다. 하이브리드 근무 시대의 직원들은 다양한 장소에서 여러 기기로 다수의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클라우드를 이용하거나 이동 중에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며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다. 사무실에서 단일 디바이스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던 근무 형태에서 새로운 환경으로 변화하며 기업들은 이전과는 다른 사이버 보안 관련 도전과제에 직면하게 됐다. 시스코는 조사에 포함된 솔루션 도입 종류와 시기를 기준으로 기업의 사이버보안 준비 현황을 초기, 형성, 발달, 성숙 총 네 가지 단계로 분류했다. 조사 결과, 국내 기업 중 '성숙' 단계에 속한 기업은 7%에 불과해 글로벌 평균인 15% 대비
L당 휘발유 1,596.8원·경유 1천546.2원…"국제유가 급락분 2주 후 반영" 이번 주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판매 가격은 오르고 경유 판매 가격은 하락했다. 1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3월 셋째주(12∼16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L(리터)당 1,596.8원으로 전주보다 9.8원 올랐다. 평균 휘발유 가격은 4주 연속 오르며 작년 12월 초순 이후 석 달여만에 1,600원에 근접했다. 주유소에 따라서는 휘발윳값이 L당 1,600원을 넘은 곳도 많았다. 국내 최고가 지역인 제주의 이번 주 휘발유 평균 가격은 42.8원 오른 1,699.4원, 최저가 지역인 울산은 11.4원 오른 1,568.0원이었다. 상표별로는 GS칼텍스 주유소가 L당 1,603.9원으로 가장 비쌌고, 알뜰주유소는 1,570.0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이번 주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3.9원 하락한 L당 1,546.2원으로 집계됐다. 경유 판매가격은 주간 단위로 17주째 내렸다. 이번 주 국제 유가는 글로벌 금융위기 우려 고조, 유럽 중앙은행 금리 인상, 미국 상업원유 재고 증가, 국제에너지기구(IEA) 공급 과잉 등으로 하락했다. 수입 원유의
美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 우려 완화 코스피가 17일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잇달아 발생했던 은행권 리스크가 잦아들며 투자심리가 개선된 데 힘입어 강보합세를 보였다. 이날 오전 9시 25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8.69포인트(0.37%) 오른 2,386.60이다.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5.79포인트(1.08%) 오른 2,403.70으로 개장했으나, 오름폭을 더는 키우지 못하고 2,380대에서 등락을 반복 중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기관이 각각 89억원 280억원 어치를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 홀로 450억원 어치를 순매도 중이다. 이날 국내 증시는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연이어 발생한 은행권 위기에 각국 당국이 신속히 대응하면서 위축됐던 투자심리가 풀린 데 영향을 받았다. 우선 미국에서는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이 '제2의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으나 JP모건·씨티그룹·뱅크오브아메리카(BOA)·웰스파고 등 대형 은행들이 총 250억달러 이상을 투입해 공동 구제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에 장중 최대 36% 폭락하던 퍼스트리퍼블릭 주가가 10.0% 급등 마감했다. 지난밤 뉴욕증시의 3대 지수도 상승
갤S23 등 신제품 출시 효과에도 휴대전화 수출 36.2% 감소 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액이 8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4일 발표한 2월 ICT 수출 현황 집계에 따르면 ICT 분야 수출액은 128억2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2.0%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수출액이 41.5%, 디스플레이 42.2%, 컴퓨터·주변기기가 58.6% 각각 줄었다. 지난 1월 전년 동월 대비 24.4% 증가했던 휴대전화 수출액도 5.5% 감소했고 통신장비는 0.8% 늘었다. 반도체 업황 부진에 출하량·단가 하락이 이어지며 메모리 반도체 수출액이 29억2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53.9% 감소했다. 57.3% 줄었던 1월에 이어 50%대 감소가 이어진 것이다. 지난 1월 33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던 시스템 반도체 수출액은 지난달 26억9000만 달러에 그쳐 전년 대비 25.5% 감소했다. 디스플레이 수출은 OLED와 LCD 모두에서 부진이 이어졌다. 전방산업 제품 수요 부진에다 전년 동월 실적이 좋았던 기저효과로 OLED 수출액은 39.3%, LCD는 43.0% 각각 감소했다. 휴대전화 수출액은 5.5% 감소에 그치며
2023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안 보고서 (출처 : 팔로알토 네트웍스) 팔로알토 네트웍스,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안 현황 보고서 공개 사이버 보안 기업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2023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안 현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세계 2500여명의 C레벨 임직원들의 응답 결과를 조사한 이번 보고서에는 클라우드 도입 전략 및 현황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다양한 규모의 조직에서 더 많은 작업을 클라우드로 이전함에 따라 상당 수가 클라우드 보안을 자동화하고 위험을 완화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개발 프로세스 초기에 보안을 개선하고, 더 적은 수의 공급업체를 통해 더 많은 보안 기능을 확보하고자 하는 추세다. 팔로알토 네트웍스의 2023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안 현황에 실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팬데믹 기간 동안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이 확산되며 클라우드 사용이 25% 이상 증가했다. 데브옵스(DevOps) 팀에서는 운영 코드를 더 빠르게 생성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며 애플리케이션 보안은 더 복잡해지고, 보안 조직에서는 이 속도에 보조를 맞춰야 하는 부담을 경험하고 있다. 응답자의 약 90%가 1시간 이내에 사이버 위협을 탐지하고 억제하여 해결하기 어렵다고
가트너(Gartner)가 2023년 말까지 전 세계 지식 근로자의 39%가 하이브리드 형태로 근무할 것이라는 전망을 발표했다. 2022년의 37%에서 소폭 증가한 수치다. 란짓 아트왈(Ranjit Atwal) 가트너 시니어 디렉터 애널리스트는 “하이브리드는 더 이상 단순히 직원을 위한 혜택이 아니라 직원들의 요구사항으로 자리잡았다”며, “많은 직원들이 2022년 부분적으로 사무실에 복귀하기 시작했지만 하이브리드 근무 방식은 2023년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주요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이어서 “고용주들은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근로자에게 맞는 인간 중심의 업무 설계(Human-centric work design)를 구현하고 있고, 유연성, 의도적인 협업, 공감 등을 기반으로 한 관리 등이 이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인 예로, IT 근로자들은 더 큰 유연성, 워라밸 향상과 더 나은 커리어 기회를 추구하므로 다른 부서의 근로자들보다 퇴사할 확률이 높다. CIO들은 직원 가치 제안(EVP, Employee Value Proposition)을 재설정하는 보다 인간적인 논의를 통해 인재 유지 및 유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가트너는 근로자
외국인 주간 순매도 이어가…"1분기 지나면서 외국인 수급 안정 기대" 지난달 코스피가 원화 기준으로는 1.51% 하락했지만, 원화 약세로 인해 달러 환산 기준으로는 8% 넘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대신증권과 블룸버그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달 1일 2,449.8에서 같은 달 말 2,412.85로 1.51% 하락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달러 환산 지수는 8.10%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자국 통화 기준 코스피의 2월 수익률은 해외 20개 주요 지수 중 터키 XU100(11.12%), 이탈리아 FTSE MIB(2.90%), 프랑스 CAC40(2.70%), 유로스톡스50(1.60%), 영국 FTSE100(1.48%), 독일 DAX30(1.21%), 호주 ASX 200(1.21%), 대만 TAIEX(0.54%), 일본 닛케이225(0.36%), 중국상해지수(-0.16%), 인도네시아 IDX(-0.28%), 인도 SENSEX(-1.25%)에 이어 13위였다. 그러나 달러 환산 지수 기준으로는 홍콩 항셍지수(-13.03%)에 이어 하락폭이 두 번째로 컸다. 다른 국가의 자국통화 기준 지수와 달러 환산 지수의 수익률 차이는 대체로 1∼2%포인트(p)에 그쳤으나,
코스닥시장서 2차전지·제약 종목 강세 3일 국내 주식시장에서 코스닥지수가 2차전지·제약 종목의 강세에 힘입어 2% 가까이 상승, 6개월 만에 800선을 돌파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4.22포인트(0.17%) 오른 2,432.07로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0.88포인트(0.45%) 오른 2,438.73으로 개장해 장중 한때 하락 전환했다 다시 소폭 상승한 채로 마감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943억원어치를 순매도하며 지수의 상승을 제한했다. 기관은 318억원어치, 개인은 271억어치를 각각 순매수했다. 이날 장중 발표된 중국의 2월 차이신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5.0으로 작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중국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지만 다음 주 미국 고용지표와 중국 수출입·물가지표 등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가 유입됐다. 유가증권시장의 시가총액 상위권에서 LG에너지솔루션(0.56%), 삼성바이오로직스(2.07%), 삼성SDI(2.96%), LG화학(3.69%) 등이 상승했다. 삼성전자(-0.49%), SK하이닉스(-0.91%), 현대차(-1.34%), 네이버(-0.24%), POSCO홀딩스(-1.48%) 등은 소폭 하락했
사람인 HR연구소, 332개사 분석 국내 기업 10곳 가운데 약 8곳이 올해 임금을 인상했으며, 평균 인상률은 6.4%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인 HR연구소가 기업 332개사를 대상으로 '2023년도 임금인상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7.5%(224개사)가 올해 임금이 결정됐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임금을 인상한 기업은 78.1%(175개사)에 달했으며, 나머지는 동결 또는 삭감했다. 임금을 인상한 기업의 평균 인상률은 6.4%였다. 인상률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에 대해서는 경영진의 결정(24.6%)이라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개인 실적(19.4%), 물가 인상률(18.3%), 실적(17.7%) 순이었다. 임금을 올린 이유로는 '최저임금과 물가인상 때문'이라는 응답 비율이 69.1%(복수응답)로 가장 높았다. 이어 '직원 사기를 높이고 이탈을 막기 위해서'(44%), '관행적으로 인상해오고 있어서'(13.1%), '업계 전반적으로 연봉이 상승하고 있어서'(11.4%), '경영성과 또는 재정 상황이 좋아져서'(10.9%) 등 순이었다. 임금을 동결 내지 삭감한 이유로는 '작년 실적이 좋지 않아서'(42.9%)란 응답
SNE리서치, '2022년 전기차 및 ESS 시장 배터리 업체별 판매 실적' 발표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전기차뿐만 아니라 ESS 분야에서도 중국 시장이 급성장하며,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전년 대비 대폭 성장한 양상이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작년 전기차 및 ESS 시장 배터리 판매량은 812GWh로, 전년 대비 8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시장은 1년만에 392GWh에서 690GWh로 76% 성장했고, ESS 시장은 중국 및 북미시장의 활황으로 44GWh에서 122GWh로 177%의 고성장을 이뤘다. 중국 업체들이 대부분 전년과 비교해 대폭 성장한 반면, 기존의 강자로 평가되는 LG에너지솔루션과 파나소닉의 성장율은 각 19%와 4%에 그치며, 시장 평균 성장율인 86%와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한국 3사의 주력 시장인 유럽 전기차 시장의 성장률이 둔화된 가운데, 중국 배터리 기업 및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면서 중국 외 글로벌 시장에서도 중국 업체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기차의 경우, 중국 CATL은 중국 외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2021년 14%에서 202
개별기준 2022년 매출액 496억, 영업이익 35.7억, 당기순이익 48.7억 기록 유진로봇이 지난해 연간 흑자전환 성과와 함께 로봇사업부 기준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유진로봇은 28일 공시를 통해, 2022년도 개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496억 원, 영업이익 35.7억 원, 당기순이익 48.7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액은 79.5%, 영업이익은 155.7%, 당기순이익은 440% 증가한 것으로 연간 실적 흑자 전환 및 안정적인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로봇사업부 규모로는 1988년 창립 이래 최대 실적을 실현했다. 이에 대해 유진로봇은, 밀레향(向) 로봇의 해외 수출 및 용역매출이 증가되었고, 자율주행 솔루션 및 로봇자동화 사업부의 수주 증가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매출 총이익률이 좋은 사업부문의 매출 증가로 이어졌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증가했다. 연간 흑자 전환 성과는 사업부 체제 개편 전략의 성공적인 결과로도 분석된다. 유진로봇은 통합된 실적을 이뤄내기 위해 기술개발 부문을 사업부에 통폐합해 사업부와의 긴밀한 기술개발을 진행하는 등 기술과 사업의 일원화 전략을 취했고, 또한 각 사업부가 최대의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