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버셜오토메이션협회, 개방형 자동화 플랫폼 소개 및 비전 제시 IEC 61499 표준 기반 마켓플레이스 구축...‘벤더·유저·연구·학계’ 자동화 생태계 통합 “산업용 하드웨어의 펌웨어 ‘UAO 런타임 엔진’이 자동화 시스템에 유연성 제공” 자동화(Automation)는 산업 영역에서 출발해 다양한 분야에 효율성과 최적화 방안을 제시했다. 이런 자동화 기술은 여러 차례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진화를 거듭했다. 특히 제조 무대에서 그 성장세가 가속화돼왔다. 그 대표주자는 바로 ‘스마트 팩토리’다. 스마트 팩토리를 운영함에 있어서 운영기술(OT)과 정보기술(IT)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융합한 방식이 공장을 고도화하는 방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다시 말해 현장에 구축된 제어 시스템을 비롯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조화롭게 공장을 가동해 효율성 제고, 인건비 절감, 수율 상승 등 이점을 도출하자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그동안 자동화 인프라에 주요 거점을 담당했던 하드웨어의 지위를 소프트웨어와 공유할 것을 조언한다. 하드웨어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결정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소프트웨어를 독립적으로 도입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렉 부샤드(Greg B
공장·신사옥 등 로봇 생산 기반 마련...내년말 완공 전망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세종특별자치시 집현동 부지에 생산 공장 및 신사옥을 마련한다. 이에 이달 22일 착공식을 열고 새로운 시작을 기념했다. 이날 착공식에는 오준호 레인보우로보틱스 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이정호 대표이사, 김인혁 부사장 등 기업 임직원을 비롯해 최민호 세종시장, 남궁호 경제산업국장, 김남경 투자유치단장 등 세종시 관계자 외 총 70여 명이 참석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 관계자는 “내년말 완공될 최첨단 공장에 자사 협동로봇 모델을 적용해 로봇 부품 및 완제품 제조 자동화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이로써 원가경쟁력이 제고되고, 기존 산업용 로봇이 가진 한계를 극복한 신제품을 전 세계 시장에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레인보우로보틱스는 AI 로봇 연구자를 위한 외다리 바퀴 기반 이동형 양팔로봇 ‘RB-Y1’ 출시를 시작으로 AI 휴머노이드 로봇 수요에 지속 대응하고 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전략 가속화·운영비용 절감·인재 유치 등 지속 가능한 빌딩 전략 강조 핵심요소로 에너지 효율적 장비·청정 전기화·디지털화 내세워 존슨콘트롤즈가 올해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건축 환경의 탈탄소화를 위한 현황과 비전이 골자다. 전문가들은 전 세계 빌딩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이 글로벌 총 배출량의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한다. 이에 빌딩 분야에서의 지속가능성 달성은 전 세계 기후 목표를 달성하게 하는 최적의 경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2024 지속가능성 보고서에는 존슨콘트롤즈의 지속가능성 확보 노력을 담았고, 이를 위한 구체적 수치가 기록됐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존슨콘트롤즈는 2017년 이후 산업 내 모든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수치화한 지표인 ‘스코프(Scope)’ 1·2에 해당하는 탄소 배출량을 43.8% 감축했다. 이에 따라 존슨콘트롤즈는 오는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55%까지 줄인다는 ‘2030년 과학 기반 감축 목표(Science-Based Target initiative, SBTi)’ 조기 달성을 전망했다. 아울러 스코프 3 고객 배출량은 27.1% 저감해 2030년 SBTi 목표치인 16%를 초과 달성한 상태다.
‘가전·자동차·이차전지 적용’ 클린칭·SPR·심스태킹 등 기계식 접합기술 선보여 기술 이론 교육부터 데모 시연까지 프로그램 진행 고도화된 제조기술은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원가절감·생산성 향상·품질 개선·노동 환경 제고 등 다양한 이점을 제조 산업에 제공한다. 제조기술의 발전은 제조 인프라뿐만 아니라 제조 영역 자체를 변혁시킬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수차례 산업혁명을 거치는 와중에도 산업 안에서 과거·현재·미래를 잇는 제조기술이 있다. 바로 물체 간 연결 및 융합을 담당하는 접합기술이다. 이 기술은 산업이 고차원화되고 기술 집적도가 높아질수록 점점 더 요구되는 요소다. 특히 고도의 기술이 수반되는 산업 및 분야에서 더욱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다. 그중 금속 간 융합을 담당하는 접합기술은 크게 고열 방식의 ‘용접’과 일정 힘을 가하는 ‘기계 접합’으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기계 접합은 고열·유해가스·폭발 등을 유발하는 용접 방식을 대체하는 기술로, 이미 오랜 기간 미국·유럽 등지에서 활약하고 있다. 기계식 접합 솔루션 업체 톡스프레스테크닉(이하 톡스)는 독일 규격시험인증 ‘DIN 8593’ 기반 다양한 기계 접합 기술 및 장비를 구축했다. 모든 접합공
호텔·리조트·골프장 등 서비스 시설 대상 이벤트 진행 가우시움 청소로봇 3종 제공...배송·교육·설치 등도 서비스 마로솔이 청소로봇업체 가우시움의 청소로봇 3종을 2주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호텔·리조트·골프장 등 100여 곳의 서비스 업종을 대상으로 기획됐다. 해당 이벤트 주체인 가우시움 청소로봇 3종은 먼지 흡입 청소, 물걸레 청소 등에 활용된다. 마로솔 관계자는 이번 “이벤트를 통해 청소 작업자는 육체노동이 필요한 청소 작업은 로봇에게 맡기고, 화장실·침대 등 시설 이용자에게 민감한 시설의 청소에 집중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마로솔은 청소로봇 제공과 함께 배송·교육·설치 등 서비스를 무료로 함께 제공한다. 김민교 마로솔 대표는 “지금까지 청소로봇을 도입한 결과 기존 청소 작업자의 업무효율과 고객만족도가 제고된 것을 나타났다”며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로봇의 유용성과 필요성을 체감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메인보드·그래픽카드·모니터·케이스·파워·키보드·마우스 등 하드웨어 및 게이밍 기어 전시 에이수스가 이달 23일부터 나흘간 경기 고양시 전시장 킨텍스에서 열리는 게이밍 및 하드웨어 전시회 ‘플레이엑스포(PlayX4)’에서 게이밍 관련 다양한 하드웨어를 내놨다. 플레이엑스포는 게임 및 하드웨어 관련 B2B(기업 간 거래)·B2C(기업·소비자 간 거래) 업체가 참가한다. 신작 게임 전시 및 체험, 레트로 장터, e스포츠대회, 코스프레 등 다채로운 이벤트도 함께 진행된다. 에이수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메인보드·그래픽카드·모니터·케이스·파워·키보드·마우스 등 각종 컴퓨팅 제품을 비롯해 키보드·마우스 등 다양한 기기를 선보인다. 구체적으로 인텔 14세대·AMD 라이젠 CPU를 지원하는 ROG·STRIX·TUF·PRIME 등 시리즈와 ProArt 시리즈 PC 시스템을 전시한다. 여기에 ROG PC 시스템, 엔비디아 RTX GPU를 전시함과 동시에 체험존을 마련했다. 에이수스 관계자는 “올해 전시회에 참여해 게이머뿐만 아니라 일반 잠재 고객에게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했다”며 “다양한 볼거리와 이벤트가 참관객을 즐겁게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자동차/전자산업을 위한 2024 AI 자율제조혁신 세미나서 3D 프린팅 비전 공개 3D 프린팅은 설계 기반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특정 소재(물성)를 적층해 입체적인(3차원) 출력물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프로그램 및 기계가 공정 주체로 활용되기 때문에 제조 자동화를 실현한 기술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3D 프린팅은 광경화 수지에 레이저 광선을 쏴 출력물을 적층하는 초기 방식인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분말 소재와 레이저 광선을 활용한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가는 형태의 고체 필라멘트를 열로 녹여 노즐을 통해 적층하는 압출 방식인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등 다양한 기법이 개발됐다. 앞선 방식을 기반으로 소재·공정 등 일부를 변형해 파생된 형태의 기법도 속속 도출됐다. 이 중 상대적으로 장비 및 소재 가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FDM 방식을 통해 3D 프린터 대중화의 길이 열리기 시작했다. 특히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오픈소스 기반 3D 프린터의 활용 사례가 점차 증가하면서 제작 시간, 소재, 방식, 출력 결과물 등에 대한 개선 요구사항도
한국·태국·베트남·인도네시아 등에 지역 컨트롤 타워 심어 홍콩·필리핀 등 시장은 태국 현지 법인이 관장 도머프라멧이 한국·태국·베트남·인도네시아 등 네 개 국가에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이번 활동은 아시아·태평양(아태)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초석 다지기로 분석된다. 특히 이번 신규 현지 법인 네 곳 중 태국 법인에 홍콩·필리핀 등 시장 관리 임무를 하달했다. 도머프라멧은 각 법인을 통해 해당 국가 통화 거래도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계기로 아시아 지역 내 파트너 및 고객과의 재무 거래 시 환율 변동을 완화해 재정 안정성을 확보하고, 거래 간소화를 통한 비용 절감을 노릴 계획이다. 아울러 싱가포르 소재 아태 유통센터(APDC)를 활용해 아시아 시장 내 배송 효율성을 제고하고, 통관 절차를 배제하고 운송하는 시스템 ‘도착장소인도(DAP)’ 조건을 도입해 서비스 직관성을 확보한다. 이는 아시아 지역 성장을 도모하고, 파트너 및 고객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샤라드 쿨카르니(Sharad Kulkarni) 도머프라멧 아시아 매니징 디렉터는 “아태는 도머프라멧의 핵심 시장으로, 이번 현지 법인 설립과 유통 센터 이전은 아시아 지역 내 운영 및 배송 효율
방위사업청 근거리 정찰 드론 국내 구매사업 시험평가서 ‘전투용 적합’ 판정 “다목적 군사용 드론 제작·생산해 영토 방위에 이바지할 것” 보라스카이가 방위사업청의 군용 드론 국내 구매사업에 참여해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았다. 보라스카이가 이번에 참여한 사업은 근거리 정찰 드론 국내 구매사업으로, 이달 1일 합동참모본부로부터 구매 시험평가를 통과했다. 근거리 정찰 드론은 육군 및 해병의 보병·기동·신속대응·상륙사단 등 대대에서 중대를 지원하는 회전 익기 무기다. 정밀 정찰, 전투 피해 평가, 화력 유도 등 임무에서 활약한다. 해당 사업은 육군시험평가단이 약 8개월 동안 입찰에 지원한 드론 모델을 시험평가한다. 시험평가 과정에서 60여 개의 군사용 핵심 요구 성능 기준을 만족한 드론 모델이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는다. 내달 초 방위사업청의 최초 기종결정이 완료될 예정이다. 보라스카이는 근거리 정찰 드론 모델 ‘X-MAZE’를 앞세워 이번 사업의 시험평가에 통과했다. 이 모델은 동축 반전 모터마운트의 기체 구조로 설계됐음에도 트랜스포밍 설계를 채택해 볼륨 공간을 줄여 백팩에 휴대 가능하다. 여기에 시스템 최적화를 통해 성능 및 장시간 비행 역량을 갖춘 것으로 알
AI, 로봇, 디지털트윈, 클라우드가 지배하는 디지털 제조의 새로운 시대가 우리에게 다가왔습니다. 점점 더 많은 제조업체가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고 데이터 기반 통찰력을 활용하여 보다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제조 관행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국내 제조 산업은 최첨단 기술의 융합이 비즈니스의 역동적인 과제를 충족시키는 놀라운 변화를 맞이할 준비가 필요합니다. 제조 업체의 경우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단순히 기존 프로세스를 변경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나타내며 제조 실행 및 전략의 새로운 시대를 예고합니다. 이것은 적응 이상의 것입니다. 이는 2024년 이후의 제조 정신을 완전히 재구상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 스마트오퍼레이션 세션 (오전) 스마트제조의 첫걸음은 현장의 개선입니다. 현장에서 업무나 생산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는 기술과 스마트제조의 근간이 되는 정확한 제조데이터를 뽑아낼 수 있는 주요 기술들의 트렌드와 전망에 대해 알아봅니다. 특히, 현장에서 설비 상태는 센서를 사용하여 자산 상태의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여 계획되지 않은 가동 중지 시간을 제거하고 자산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동시에 유지 관리
AI, 로봇, 디지털트윈, 클라우드가 지배하는 디지털 제조의 새로운 시대가 우리에게 다가왔습니다. 점점 더 많은 제조업체가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고 데이터 기반 통찰력을 활용하여 보다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제조 관행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국내 제조 산업은 최첨단 기술의 융합이 비즈니스의 역동적인 과제를 충족시키는 놀라운 변화를 맞이할 준비가 필요합니다. 제조 업체의 경우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단순히 기존 프로세스를 변경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나타내며 제조 실행 및 전략의 새로운 시대를 예고합니다. 이것은 적응 이상의 것입니다. 이는 2024년 이후의 제조 정신을 완전히 재구상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 스마트제어시스템 세션 (오후) 지능형 모션 제어는 고도로 유연하고 효율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제조의 핵심 빌딩 블록입니다. 지능형 모션 제어는 정밀 피드백, 고급 감지, 고성능 제어 및 원활한 연결을 결합하여 결정적 모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그만큼 스마트제조 구현을 위해서는 제어시스템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스마트제조에서 더 높은 수준의 성능과 자율성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인 SCADA, IPC
AI, 로봇, 디지털트윈, 클라우드가 지배하는 디지털 제조의 새로운 시대가 우리에게 다가왔습니다. 점점 더 많은 제조업체가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고 데이터 기반 통찰력을 활용하여 보다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제조 관행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국내 제조 산업은 최첨단 기술의 융합이 비즈니스의 역동적인 과제를 충족시키는 놀라운 변화를 맞이할 준비가 필요합니다. 제조 업체의 경우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단순히 기존 프로세스를 변경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나타내며 제조 실행 및 전략의 새로운 시대를 예고합니다. 이것은 적응 이상의 것입니다. 이는 2024년 이후의 제조 정신을 완전히 재구상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 스마트제조이슈 세션 (오후) 최근 산업현장에서의 스마트제조 이슈는 다양합니다. 정부의 지원 정책부터 산업별 솔루션의 업그레이드, 새로운 기술과의 융합으로 인한 효율성과 생산성의 향상, 그리고 어느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는 IT/OT보안까지 모든 것들이 스마트제조의 이슈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슈와 함께 디지털 혁신을 수용하는 것은 제조업체에게 나름의 과제를 안겨줍니다. 또한 그만큼의 투자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AI, 로봇, 디지털트윈, 클라우드가 지배하는 디지털 제조의 새로운 시대가 우리에게 다가왔습니다. 점점 더 많은 제조업체가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고 데이터 기반 통찰력을 활용하여 보다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제조 관행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국내 제조 산업은 최첨단 기술의 융합이 비즈니스의 역동적인 과제를 충족시키는 놀라운 변화를 맞이할 준비가 필요합니다. 제조 업체의 경우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단순히 기존 프로세스를 변경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나타내며 제조 실행 및 전략의 새로운 시대를 예고합니다. 이것은 적응 이상의 것입니다. 이는 2024년 이후의 제조 정신을 완전히 재구상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 Keynote 세션 (오전) 스마트제조 구현을 위해서는 정부에서는 정책으로 뒷받침하고, 현장에서는 다양한 혁신기술과의 융합이 필요합니다. 특히, 올해부터는 전방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AI와 클라우드는 스마트제조에서도 필수요소로 여겨집니다. 키노트 세션에서는 스마트제조를 위해 필수요소가 되고 있는 AI, ESG 등이 왜 필요한지, 그리고 국내 제조기업들은 어떤 방향으로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봅니다. 헬로티
3지 그리퍼부터 진공 그리퍼까지 제품군 총출동 “한층 개선된 피킹 솔루션 소개...비정형 피킹 가능한 자동화 기술” 테솔로가 일본 가나가와 요코하마에서 이달 13일부터 나흘간 열린 ‘국제 로봇 자동화 학술대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2024, ICRA 2024)’에 참가해 각종 그리퍼 기술을 공개했다. ICRA는 국제전자공학협회(IEEE)에서 주관하는 로봇 컨퍼런스 및 학술대회로, 전 세계 로봇공학 연구진이 참석해 최신 기술을 발표한다. 테솔로는 이번 학술대회에서 3지 그리퍼 ‘Delto Gripper-3F(DG-3F)’에 진공 그리퍼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빈 피킹(Bin-Picking) 솔루션을 강조했다. 김영진 테솔로 대표이사는 “피킹 솔루션의 작업 능력을 한층 개선한 하이브리드형 3지 그리퍼를 들고 올해 학술대회에 참가했다”며 “이 모델은 비정형 물품의 파지 및 이동이 가능한 차세대 자동화 기술”이라고 전했다. 이어 “테솔로는 이번 학회를 시작으로 일본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류우석 테솔로 이사는 ICRA 2024 부대행사인 ‘ICRA 2024 Tech Hud
‘그리퍼·AI 알고리즘 이식’ 물류 피킹 솔루션 통한 쾌거 “해외 진출과 더불어 에이딘로보틱스의 국내 로봇 시장 경쟁력 제고 계기될 것” 에이딘로보틱스가 이달 13일 일본 가나가와 요코하마에서 개막한 ‘국제 로봇 자동화 학술대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2024, ICRA 2024)’의 부대행사인 ‘파지 및 조작 경진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고 알렸다. ICRA는 국제전자공학협회(IEEE)에서 주관하는 로봇 컨퍼런스 및 학술대회로, 전 세계 로봇공학 연구진이 참석해 최신 기술을 발표한다. 에이딘로보틱스는 성균관대학교 로보틱스 이노배토리 연구실과 함께 ‘제9회 로봇 파지 및 조작 콘테스트(9th Robotic Grasping and Manipulation Competition)’에 참가했다. 이 경진대회에서 자체 개발한 스마트 그리퍼, AI 알고리즘 기술 등을 적용한 물류 특화 피킹 솔루션을 출품했다. 해당 솔루션에는 에이딘로보틱스의 힘 센싱 기술을 탑재한 그리퍼와 물체 이송 작업에 최적화된 협동로봇 모션제어 AI 비전 알고르즘이 이식됐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1시간 내 가반하중 5kg 이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