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이지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데이터 기반 AI 예측 기술을 선사한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인이지는 스마트 제조를 위한 AI 예측 기술 솔루션 업체다. 인이지 AI 솔루션은 클라우드·온프레이스 기반으로, 각종 현장·공정에서 발생하는 변수를 실시간 예측·분석한다. 설비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트렌드로 부상하는 가운데 특화된 솔루션을 제시한다. 특히 '인피니트 옵티멀(INFINITE OPTIMAL) 시리즈'는 ‘설명 가능한 AI(Explainable AI, XAI)’ 기술이 탑재돼 정확한 공정 예측을 지원한다. 인이지 자체 개발 AI 모델이 이식된 점이 특징이다. 이 AI가 기존 숙련공의 공정 운영 패턴을 학습해 효율적인
애플 제조업 R&D 지원센터(Apple 제조업 R&D 지원센터 이하 센터)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미래형 제조 기술을 총망라한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센터는 경상북도 미국 전자기기 업체 ‘애플(Apple)’이 포항시·포항공과대학교와 협력해 설립한 교육시설이다. 지난 2021년 문을 연 이 센터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교육·트레이닝 커리큘럼을 제공해, 제조 설비 기술 혁신을 도모한다. AW 2025에서는 스마트 데이터(Smart Data), 스마트 공정(Smart Process) 등 다양한 첨단 제조 기술을 선보인다. 스마트 데이터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딥러닝(Deep Learning)
독일 산업용 센서 솔루션 업체 발루프가 한국 지사를 필두로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전시부스를 꾸린다. 올해 전시장에는 자사 원천기술인 센서뿐만 아니라 각종 환경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솔루션도 한데 선보인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발루프는 산업용 센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비전 솔루션, 현장 통합 소프트웨어 솔루션 등 약 3만 여개 포트폴리오를 갖췄다. 특히 네트워크 솔루션은 산업용 통신 네트워크 표준 ‘IO-Link’를 만족하는 제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 박람회에서는 ‘IO-Link BNI 마스터 라인’을 새롭게 소개한다. 해당 제품은 다양한 현장 환경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국내 물류 시스템 솔루션 업체 미르(Manufacturer industry 4.0 Revolution, MiR)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 전시장에서 물류 분야에 관심 있는 참관객을 모객한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미르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을 비롯해, 서보모터·드라이브·스카라 로봇 등 각종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공급하고 있다. 컨베이어·롤러·직교 로봇 등 단독 기술을 한데 융합해 스마트 물류 시스템으로 체제를 개선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올해 AW에서 이 같은 자사 캐시카우(Cash Cow)를 공개한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이송 작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정에 도입돼 물류 이송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 가능한 솔루션이다. 이
‘상생 가치’가 글로벌 제조업에서 조명받고 있다. 자신만의 경쟁력을 강화해 시장 안에서 서로 경합하는 시대에서, 서로 간 기술을 조화롭게 융합해 새로운 발전을 도모하는 전략이 차세대 성장 모델로 자리매김하는 양상이다. 이는 새로운 기술을 공유·도입하면서도, 각자의 전문 역량 극대화에 집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생태계 확장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산업 내 협업·파트너십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로드맵은 스마트 제조, 제조 디지털화 등 제조 시스템의 변혁을 앞둔 상황에서 필수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파트너십은 디지털 제조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각 기업이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추적으로 활약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 전문 미디어 그룹 (주)첨단은 국내 대기업 계열사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파트너십 세미나 세션을 기획했다. ‘디지털 제조 혁신 데이’는 기업 간 가치사슬(Value Chain) 확대를 목표로, 다양한 시각에서의 ‘협력 생태계 조성’을 강조한다. 행사에는 제조업 관련 다양한 글로벌 업체 관계자가 연사로 참여해, 기술 동향부터 성공 사례, 다양한 시각의 인사이트 등을 제시한다. 디지털 제조 혁신 데이는 지난해 8월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 이
과거 비교적 단순한 구성요소로 시작된 제조업은 디지털화(Digitalization)·지능화(Intelligentization) 수순으로 넘어가면서 그 시스템이 점차 복잡해지고 있다. 그에 따라, 적용되는 기술적 수준 또한 고도화된 면모를 발산하는 모양새다. 인공지능(AI)을 필두로, 머신러닝·머신비전·로보틱스·디지털 트윈(Digital Twin)·정보통신기술(ICT) 등 최첨단 기술이 향후 제조업 비전 달성에 핵심으로 활약할 것으로 보인다. 이 양상에서 중소 규모 조직이 많은 제조업 특성상, 자신들의 시스템에 첨단 기술을 이식하기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우리 정부는 주관부처·전담기관을 선정해 우리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주관하는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이 대표적인데, 이 사업을 통해 3만 여개의 제조 기업이 스마트 팩토리를 실현했다. 반면 전문가들은 여전히 자동화·지능화 제조 설비 구현을 희망하는 기업은 많다고 조언한다. 그렇다면 국내 제조 생태계가 고르게 디지털화·지능화로 나아가기 위한 방안은 뭘까? 이달 18일 제조 디지털 전환(DX), 스마트 제조 실현 방법론을 공유하는 ‘2025 스마트 제조
과거 비교적 단순한 구성요소로 시작된 제조업은 디지털화(Digitalization)·지능화(Intelligentization) 수순으로 넘어가면서 그 시스템이 점차 복잡해지고 있다. 그에 따라, 적용되는 기술적 수준 또한 고도화된 면모를 발산하는 모양새다. 인공지능(AI)을 필두로, 머신러닝·머신비전·로보틱스·디지털 트윈(Digital Twin)·정보통신기술(ICT) 등 최첨단 기술이 향후 제조업 비전 달성에 핵심으로 활약할 것으로 보인다. 이 양상에서 중소 규모 조직이 많은 제조업 특성상, 자신들의 시스템에 첨단 기술을 이식하기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우리 정부는 주관부처·전담기관을 선정해 우리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주관하는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이 대표적인데, 이 사업을 통해 3만 여개의 제조 기업이 스마트 팩토리를 실현했다. 반면 전문가들은 여전히 자동화·지능화 제조 설비 구현을 희망하는 기업은 많다고 조언한다. 그렇다면 국내 제조 생태계가 고르게 디지털화·지능화로 나아가기 위한 방안은 뭘까? 이달 18일 제조 디지털 전환(DX), 스마트 제조 실현 방법론을 공유하는 ‘2025 스마트 제조
플래그십 협동로봇 시리즈 ‘인디’에 이식...모방학습·충돌회피 등 차세대 AI 기능 ‘착착’ “자율성, 작업 능력 갖춘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기반될 것” 뉴로메카가 인공지능(AI) 기반 충돌회피(Collision Avoidance) 기능을 발표했다. 이 기술은 자사 협동로봇 시리즈 ‘인디(Indy)’에 접목됐다. 뉴로메카는 이로써 지난해 선보인 ‘모방학습(Imitation Learning)’ 기술에 이어 또 다른 AI 기능을 추가하게 됐다. 충돌회피는 다양한 객체를 3차원화해 정확히 인식하는 뎁스 카메라(Depth Camera)와 라이다(LiDAR)를 기능의 핵심으로 한다. 작업 중 회피가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고, 실시간으로 안전 경로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로봇의 자율성·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 모방학습 기능은 작업자의 업무 데이터를 AI가 학습해, 로봇이 이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복잡한 동작과 패턴을 그대로 재현해, 다양한 비정형 업무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기술은 지난 1월 인디에 본격적으로 이식됐다. 뉴로메카 측은 이 같은 AI 기능을 통해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구현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솔루엠 볼’ 통해 참관객 이목 이끌어...약 2000여 명 부스 찾았다 미디어 아트, 리테일, 스포츠 등 각종 존으로 부스 콘셉트 구성 솔루엠이 ‘Integrated System Europe 2025(ISE 2025)’에 참가해 사용자 맞춤형 지능화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보였다. ISE 2025는 이달 4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유럽 디스플레이 산업 박람회다. 솔루엠은 ‘미래를 향한 통합(United for the Future)’을 슬로건으로 이번 전시회에 나섰다. 올해 ISE 솔루엠 전시부스의 하이라이트는 ‘솔루엠 볼(SOLUM Ball)’로, 서로 다른 크기의 디스플레이가 큐브 형태로 한데 접목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다. 해당 구조물은 고객 맞춤형 솔루션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냈다. 솔루엠 볼 안에는 인공지능(AI) 도슨트 ‘사라(Sarah)’가 이식됐다. 참관객은 솔루엠 볼 앞에서 “Hi Sarah”, “Start Cinema”라고 말한 후 솔루엠 사이니지의 미디어 아트를 감상했다. 해당 콘텐츠에는 식료품점·편의점·패션·뷰티 등 리테일 환경 내 솔루엠 사이니지의 활용 사례와 미래 리테일 모
컴퓨팅 시스템 ‘MIC-AI’ 시리즈에 탑재...생성형 AI 성능 향상 지원 어드밴텍 컴퓨팅 시스템 ‘MIC-AI’가 ‘엔비디아 젯슨 오린 나노(NVIDIA Jenson Orin Nano)’ 시리즈 시스템 온 모듈의 슈퍼 모드(Super Mode)를 지원한다. 젯슨 오린 나노 슈퍼 모드는 GPU 주파수 최대 1020MHz, CPU 주파수 최대 1.7GHz까지의 성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초당 테라 연산 횟수 최대 67TOPS의 AI 컴퓨팅 파워를 제공한다. 이러한 강점을 특징을 바탕으로, 스마트 제조 및 산업 자동화 영역 지능형 비디오 분석, 무인운반차(AGV), 자율주행로봇(AMR), 스마트 도시 등 각종 응용 분야의 실시간 처리를 가능하게 할 전망이다. 아울러 기존 대비 최대 1.7배 향상된 TOPS를 제공해, 거대언어모델(LLM)·시각언어모델(VLM)·비전 변환기 등 AI 모델을 지원한다. 해당 모드를 소화하게 된 어드밴텍 MIC-AI은 젯슨 플랫폼 통합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JetPack SDK’와 연동돼 모듈식 옵션을 지원한다. 이를 활용해 유연한 확장이 가능하다. 이번 기능을 통해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성능을 향상시키고,
태국 로봇 SI사 ‘VRNJ’에 2년간 협동로봇 300대 수주 “동남아는 新 생산거점...대규모 수주 기반 마련할 것” 두산로보틱스가 태국 로봇 시스템통합(System Integration, SI) 업체 ‘VRNJ’에 협동로봇 300대를 보급하기로 했다. 두산로보틱스는 당사에 300대 규모의 협동로봇 시리즈 4종을 2년간 순차 공급한다. 2년 동안 공급되는 협동로봇 라인업은 A·H·M·P 등 네 가지 시리즈다. 이 중 M 시리즈는 모든 6축 회전 축에 힘·토크 센서를 내장해, 20g에 해당하는 0.2뉴턴(N)의 외부 충격에 급제동하며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을 갖췄다. 이어 A 시리즈는 가격·가속성 측면에서 주목받는다. 특히 독일 시험인증기관 ‘티유브이슈드(TÜV SÜD)’의 안전 성능 평가에서 최고 등급을 받아 안전성 또한 확보했다. 한편, 양사는 여기에 부품 마감(Parts Finishing), 팔레타이징(Palletizing), 검사(Inspection),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 등 제조 공정에 특화된 솔루션 개발을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향후 그 결과물을 태국·인도네시아·필리핀·베트남 등 시장에 어필할 전망이다. 류정훈 두산로보틱스
공격적인 주주환원 기조 이어져...“글로벌 수준으로 배당성향 확대할 것” 코스닥 상장사 이노룰스가 주당 250원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 올해 이노룰스 배당금 총액은 약 12억 6400만 원으로, 이 중 시가배당률은 3.9%, 별도 기준 배당성향은 40.1%로 나타났다. 배당 기준일은 지난해 12월 31일이며, 배당금은 3월 개최 예정인 정기 주주총회 승인 이후 1개월 내 지급될 예정이다. 이노룰스는 지난해 연간 매출액 237억 원을 달성했고, 영업이익 24억 원, 당기순이익 30억 원을 기록했다. 이 같은 성과는 삼성화재·삼성생명·흥국생명·SK쉴더스 등과 IT 시스템 구축 계약을 체결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길곤 이노룰스 대표이사는 “이노룰스는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배당성향을 글로벌 수준으로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반도체 전·후공정 솔루션 선보인다...반도체 애플리케이션용 기술도 등판 예고 반도체 전문가 연사 세션 ‘엑스퍼트 토크’ 통해 인사이트 제공 한국훼스토(이하 훼스토)가 반도체 산업 전시회 ‘세미콘코리아(SEMICON Korea)’에 참가한다. 세미콘코리아는 이달 19일부터 사흘간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관 코엑스에서 열린다. 훼스토는 ‘Acceleratin Excellence: Where Innovation Meets Reliability’를 슬로건으로 이번 전시회에 출전한다. 이 자리에서 반도체 제조 생산성 향상과 품질 제고에 기여하는 공정별 솔루션을 전시한다. 특히 반도체 전·후공정 모두를 위한 솔루션을 공개할 예정이다. 여기에 N2 퍼지(N2 Purge), 게이트 밸브(Gate Valve), 디스펜싱(Dispensing) 등에 활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전용 솔루션이 전시장에 펼쳐진다. 주목할 점은 훼스토 독일 본사에서 파견된 반도체 전문가가 ‘엑스퍼트 토크(Expert Talk)’ 세미나 세션을 진행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시할 예정이다. 해당 세미나는 ‘웨이퍼 평탄도 향상 및 응력 감소를 위한 진공 그리핑 솔루션’을 주제로 열린다. 훼스토 관계자는 “이번 전시
2020년대가 중반을 지나가고 있는 시점이다. 전 세계 산업은 이 기간 동안 인공지능(AI)·디지털화(Digitalization)·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등 신경향에 맞닥뜨렸고, 이를 시스템에 녹이기 위한 작업에 집중하는 중이다. 제조 및 산업자동화(FA)는 이 흐름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영역 중 하나다. 앞선 트렌드에 발 빠르게 대응해 경쟁력을 갖추고, 지속적인 체제 고도화를 꿈꾸고 있다. 이를 통해 효율성을 극도로 끌어올리고, 수율·생산성을 최적화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오는 3월 12일, 제조·FA 산업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이 3일간 여정을 시작한다. AW 2025는 코엑스·(주)첨단·한국산업지능화협회(KOIIA)·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KMVIA)·한국무역협회(KITA) 등이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 제조·FA 페스티벌이다. 올해는 ‘자동화에서 자율화로(Automation to Autonomy)’를 캐치프레이즈으로,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
2020년대가 중반을 지나가고 있는 시점이다. 전 세계 산업은 이 기간 동안 인공지능(AI)·디지털화(Digitalization)·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등 신경향에 맞닥뜨렸고, 이를 시스템에 녹이기 위한 작업에 집중하는 중이다. 제조 및 산업자동화(FA)는 이 흐름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영역 중 하나다. 앞선 트렌드에 발 빠르게 대응해 경쟁력을 갖추고, 지속적인 체제 고도화를 꿈꾸고 있다. 이를 통해 효율성을 극도로 끌어올리고, 수율·생산성을 최적화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오는 3월 12일, 제조·FA 산업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이 3일간 여정을 시작한다. AW 2025는 코엑스·(주)첨단·한국산업지능화협회(KOIIA)·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KMVIA)·한국무역협회(KITA) 등이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 제조·FA 페스티벌이다. 올해는 ‘자동화에서 자율화로(Automation to Autonomy)’를 캐치프레이즈으로,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