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글로벌 공작기계 시장 동향 (2018년 9월) 주요 국가의 공작기계 시장이 ‘여름의 정체’ 시기를 벗어났다. 9월 공작기계 수주량 기준, 일본은 2개월 연속 감소세 늪에서 벗어났으며, 0.05%의 감소세를 보인 대만은 증가세 전환 준비를 마쳤다. 미국은 여전히 ‘큰 성장세’의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 9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16.6% 증가한 6억892만 달러이다. 일본의 9월 수주량은 1,534억 엔으로 전월대비 9.3% 증가했다. 대만은 3억100만 달러로 전월대비 0.05% 감소했다. 1. 미국 미국의 공작기계 수주량이 2개월 연속 큰 성장세를 보였다. 9월 수주량은 전월대비 16.6% 증가한 6억892만 달러로, 8월(수주량 5억2,200만 달러)에 이어 5억 달러를 넘었다. 전년동월과 대비해서는 50.3%나 증가했다. 특히 1~9월 총 수주량은 40억8,95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7.3%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미국은 숙련공이 줄어들면서 자동화 기계설비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올해 전체의 성장세도 이 같은 이유다. 다만 9월은 8월의 급성장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감소세로
[첨단 헬로티] 공작기계 시장 동향 (2018년 9월) 2018년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수주, 생산·출하가 증가했고, 수출은 감소했다. 내수 수주의 경우 전반적인 시장 위축, 추석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의 영향으로 감소세이며, 수출 수주는 미주 및 유럽 경기 호조 지속의 영향으로 반등했다. 8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월대비 4.1% 증가한 2,288억원이다. 수출은 전월대비 5.4% 감소한 1억9,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전월대비 6.3% 증가한 1억 달러를 기록했다. 생산은 2,341억원을 기록했다. 전월대비 5.6% 증가한 금액이다. 출하는 전월대비 9.9% 증가한 2,424억원이다. 주요국 시장을 보면 일본의 공작기계 수주량은 9월 기준 1,534억 엔으로 전월대비 9.3% 증가했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서도 2.9% 증가했다. 미국은 9월 기준, 전월대비 16.6% 증가하고, 전년동월대비 50.3% 증가한 6억892만 달러의 수주량을 기록했다. 대만은 9월 기준 전월대비 0.05% 감소하고, 전년동월대비 3.9% 증가한 3억100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1. 수주 2018년 9월 공작기계 수주는 전월대비 4.1% 증가한 2,288억
[첨단 헬로티] 차세대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인공지능(AI), 인지 컴퓨팅 시장이 오는 2022년 18조2000억원 수준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미국 시장 조사 기관 BCC 리서치가 오는 12월 공개할 신규 보고서 ‘Cognitive Comput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Market in Healthcare’에 따르면, 2017년 24억 달러(약 2조7000억원) 수준인 글로벌 헬스케어 AI 시장은 202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43.9%를 기록하며, 오는 2022년 161억 달러(약 18조2000억원) 수준까지 확장될 전망이다. 해당 보고서는 일본, 중국, 인도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헬스케어 AI 시장이 2017년 320만 달러(약 36억2000만원) 규모에서 오는 2022년 32억 달러(약 3조6000억원) 수준까지 성장할 것이라 봤다. 이렇듯 헬스케어와 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와 AI 서비스가 선보이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휴먼스케이프, 블록체인 기반의 환자 커뮤니티 구축 프로젝트 추진 휴먼스케이프는 국내 의료 시장에서 병
[첨단 헬로티] 공작기계 및 산업용 장비 전문기업 스맥(SMEC)이 미국 법인을 본격적으로 가동하면서 북미 지역에 대규모 장비 공급계약을 수주했다. 스맥은 12월 10일 공시를 통해 약 468억원 규모의 북미 지역에 장비 납품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수주된 전 장비는 스맥의 미국 법인인 스맥 아메리카(SMEC America)를 거쳐 북미 시장에 공급된다. 스맥 측은 “지난 6월에 세워진 미국 법인 스맥 아메리카가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하면서 전통적으로 강세였던 북미 시장에서 대규모 수주에 성공했다”며, “기존 대형 딜러 업체를 거쳐 소형 딜러, 그리고 고객사로 장비가 납품되던 공급체계를 현지 법인 중심으로 개편하면서 이익률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밝혔다. 이번에 수주된 장비는 선반, 가공(MCT) 장비 등 약 420대로 자동차 및 IT 산업군에 납품될 예정이다. 계약에 따라 내년 12월 말까지 암텍(Amettech) 등 북미 19개 장비 딜러 업체를 통해 고객사에 전달될 계획이다. 스맥은 올해 6월 북미 법인을 설립하면서 현지 시장 공략 강화에 나섰다. 해당 법인은 설립 이후 이번 계약을 포함 250억원
[첨단 헬로티] 딜레마다. 러시아는 그간 소홀했던 제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워낙 인프라가 약해서 향후 몇 년 간은 해외 기술과 생산력에 의존해야 한다. 그런데 수입 대체 정책을 펼치고 있다. 사실상의 수입 제한이다. 공작기계 산업도 다르지 않다. 러시아 공작기계 시장은 90% 수입에 의존할 정도로 인프라가 약하다. 한국에게는 ‘기회의 시장’이지만 진출 공략법이 쉽지 않다. 다만 당분간은 해외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므로 ‘진출의 틈’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번 호에는 현재 러시아 공작기계 산업 현황을 살펴본다. 시장 규모 2017년 러시아 내 공작기계 판매량은 1만9,430대로 2016년도 대비 14.1%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가장 많이 판매됐던 해는 2013년으로 2만170대가 판매됐으나, 경제 불황 및 수입 제한 조치로 인해 기계 판매 수가 2014년 2.3%, 2015년 12.7%, 2016년 1%로 감소했다. 현재 러시아 기계 시장에는 금속 절삭가공용 기계가 공작기계 시장의 70 ~ 80%를 차지하며 드릴, 선삭, 연삭용 기계, 보링 및 밀링 머신 등이 포함된다. 판매액 기준으로 보면, 경
[첨단 헬로티] 폴란드는 기계 산업이 발달된 국가지만 공작기계 분야에서는 기술 발전이 더딘 상황이다. 더욱이 공작기계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어 수입 의존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독일, 중국, 미국에서의 수입량이 높지만 한국의 제품도 품질력에서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수입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하다. 폴란드 기계산업의 역사적 배경 폴란드는 역사적으로 기계산업이 발달된 국가로, 특히 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전 세계 공작기계 생산의 2.7%를 차지했다. 공산주의 시대에는 산업용 기계를 주력 생산해 동유럽 기계 수출국으로 명성을 유지해 왔다. 1970 ~ 1980년대에는 광산, 농업, 조선, 철도 등에 사용되는 공작기계 생산에 주력했다. 1989년 자본주의 경제체제 전환으로 국영기업들의 민영화가 급속화 됐고, 다른 동유럽국가와 마찬가지로 폴란드에서도 많은 기계 제조업체들이 90년대 초 파산에 직면했다. 폴란드 기계산업 현황 폴란드 최대은행 PKO BP의 2018년도 분석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폴란드 내 기계 제조업체는 대기업, 중소기업, 영세기업의 모든 형태를 총합해 약 1,200개인 것으로 조사됐다. 폴란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
[첨단 헬로티] 샌드빅 코로만트(Sandvik Coromant)가 HRSA 소재의 씰 핀 가공을 위해 디자인된 CoroCut 1-2 초경 및 CBN 헤드 홈 가공 인서트의 제품 범위를 확대한다. 샌드빅 코로만트는 시장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원래 2㎜ 폭으로 제공되던 기존 제품군에 우주 항공 엔진 디스크 및 엔진 케이싱의 작은 씰 핀 형상 가공 요건을 충족하는 1.5㎜ 인서트를 추가한다. 반경이 작은 포켓과 홈이 특징인 씰 핀은 터빈의 회전 부품과 고정 부품 사이에서 기체 밀봉의 역할을 수행한다. 각 씰 핀은 극도의 온도 및 압력 차이를 견디도록 첨단 HRSA 소재를 사용해 가공한다. CoroCut 1-2 홈 가공 공구는 씰 핀을 가공할 때 중요한 요소인 일관된 칩 컨트롤과 공정 안정성을 보장하는 견고한 고정밀 솔루션이다. 작은 씰 핀 형상의 가공을 위한 새로운 1.5㎜ 폭의 CoroCut 1-2 인서트는 -RO 형상과 세 가지 재종(GC1105, GC1125, S05F)으로 제공된다. 입증된 형상 및 재종이 우수한 칩 형성 능력,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가공, 뛰어난 표면 조도를 보장하고, 특허 받은 CoroCut 레일 인터페이스 덕분에 장착 안정성 또한
[첨단 헬로티] 케나메탈(Kennametal)의 새로운 보링 시스템은 효과적인 채터 방지 메커니즘을 자랑하며, 다양한 범위의 인덱서블 헤드 및 섕크 사이즈를 제공한다. ▲ 무진동 보링 시스템 이번 무진동 바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플러그 앤 플레이’로, 튜닝이나 조정을 할 필요 없이 간단히 패키지에서 꺼내어 터렛에 장착하고 보링하면 된다. 이번 무진동 보링 시스템 통해 진동을 제거하면 채터가 줄어들게 되고 공구 수명이 크게 연장될 뿐만 아니라 부품 표면조도에도 탁월한 영향을 준다. 또한 공구가 수명이 길어지면 이송, 절삭 속도, 절삭 깊이로 더 강하게 밀 수 있다. 이번 보링 시스템에는 다양한 스타일 및 사이즈의 인덱서블 헤드를 바의 끝단에 단단히 클램핑하는 세레이션(톱니형) 볼트 온 커넥션이 있다. 특히 더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헤드 자체를 짧고 가볍게 만들어 바의 성능을 높였다. 또한 내부 쿨런트로 가장 필요한 곳에 고압의 쿨런트를 정확히 분사한다. 그 결과 절삭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냉각을 극대화하여 칩 컨트롤이 용이해진다. 이번 무진동 바는 진동이 없고 유지보수도 필요 없다. 바 내부에는 한 쌍의 탄성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첨단 헬로티]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이 지역의 고충을 해결하기 위한 기계기술 원천개발에 앞장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출연연, 대전시와 대덕구 등 지자체가 머리를 맞대고 대전 지역 산업단지 인근 주민의 고충이었던 악취 해결을 위한 기술 개발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기계연은 12월 7일 기계연 대전 본원 대회의실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대전광역시, 대덕구 관계자 및 산업단지 내 기업 관련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생활 창의융합과제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 국민생활 창의융합과제는 기술개발을 통해 지역 현안 문제를 해결하자는 취지에서 추진됐다. 이번 과제 ‘플라즈마 및 혁신 신소재 공정을 통한 복합 악취 통합 솔루션 개발’은 기계연이 주관을 맡고, 한국화학연구원과 국가핵융합연구소, 재료연구소가 협동 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연구팀은 오는 2021년까지 60억여 원을 투입해 산업단지와 폐기물 집단 처리 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복합적으로 처리 가능한 시스템 개발에 착수한다. 이를 위해 기계 시스템부터 촉매 및 흡착 소재, 플라즈마 발생까지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머리를 맞대 융합
[첨단 헬로티] 퀄컴의 모바일 플랫폼 시리즈 '스냅드래곤 855(Qualcomm Snapdragon 855)가 공개됐다. 이번 시리즈는 멀티기가급 5G 이동통신, 인공지능(AI) 및 확장현실(XR) 기능을 종합적으로 상용화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7나노미터(nm) 공정으로 설계돼 배터리 효율과 카메라·음성·게이밍·음향 및 XR 와 같은 탁월한 성능을 구현한다. 연결성 스냅드래곤 855 모바일 플랫폼은 스냅드래곤 X50 5G 모뎀을 탑재해 종전에 모바일 상에서 구현되지 못했던 멀티기가 전송 속도와 함께 즉각적인 반응속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sub-6 GHz(6GHz 이하 대역 주파수) 및 밀리미터파(mmWave) 대역 모두에서 5G를 지원한다. 특히 mmWave 대역에서는 현재 제공되는 솔루션 대비 최대 평균 20배까지 더 빠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스냅드래곤 855는 퀄컴 와이파이 6 레디(802.11ax) 지원 모바일 플랫폼으로, 8x8 사운딩(4x4 사운딩 대비 2배 성능 향상을 가져옴)과 전력 효율을 67% 향상시키는 TWT(Target Wakeup Time)과 같은 최신 기능 및 신규 WPA3 도입을 통
[첨단 헬로티]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하 KTL)과 경기도수출기업협회(이하 GEA)는 12월 7일 경기도수출기업협회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GEA 회원사의 시험평가 및 인증획득 지원을 통한 해외시장 판로 확대 등의 상호 협력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협약은 경기도 내 수출기업들의 인증 획득과 기술 지원을 현장에서 밀착 지원하고 KTL 해외사무소를 활용한 현지 판로 확대를 위해 추진하게 되었다. ▲12월 7일 KTL과 GEA가 경기도수출기업협회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사진은 왼쪽부터 KTL 정동희 원장, GEA 유태승 회장. 이번 협약의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협회 회원사를 위한 시험평가 및 국내외 인증 획득 지원 ▲경기도 내 중소기업 해외 판로 확대 지원 ▲중국·미국·UAE 수출지원 연계 마케팅 및 현지인증 획득 지원 ▲국내외 인증에 대한 교육·홍보·마케팅 등 양 기관의 공동발전을 위한 협력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 KTL은 지난 2016년부터「경기도 해외규격 인증획득 지원사업」을 통해 현재까지 268개 기업에 약 16억원의 인증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GEA는 최근 경기도 지원으로 통상촉진단 운영
[첨단 헬로티] 헬스케어 블록체인 기업인 헥스이노베이션(HEX Innovation)은 필리핀 보건당국 및 주요 병원들과 잇달아 설명회를 개최하며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에 나서고 있다. 헬스케어 블록체인 플랫폼 헥스(HEX)는 의료산업의 잠재적 발전 가능성이 높은 필리핀을 아시아의 전략 거점 국가 중 하나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후속 작업으로 지난 11월 블록체인 사업 설명회를 필리핀 국립병원, 사립의과대학병원 및 유명 프랜차이즈 병원에서 개최했다. 헥스이노베이션의 최고 마케팅책임자(CMO)인 알렉스 리처드는 “필리핀 보건부, 주요 사립 대학병원 및 국립병원과의 설명회를 통해 필리핀 의료 프로세스와 헬스케어 블록체인 기술의 유용성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며 상호이해를 통한 신뢰를 구축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리처드 CMO는 “가시적인 성과의 하나로 필리핀의 유명 의과 대학병원인 UPHDMC (University of Perpetual Help Dalta Medical Center)와 의료 정보 관리 혁신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UPHDMC는 필리핀 병원 등급인 Level 4로서 상급종합병원급에 해당되며 필
[첨단 헬로티] 중국 스마트폰 기업들이 판매량 점유율을 빠르게 올리고 있다. 2018년 3분기에만 해도 중국 화웨이는 판매량을 43% 끌어올렸다. 같은 시기에 삼성전자는 14% 하락했다. IT 자문기관 가트너(Gartner)가 발표한 ‘2018년 3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최종 사용자 대상 스마트폰 판매량은 1.4% 성장한 3억8,900만 대를 기록했다. 2018년 3분기 7,336만대를 판매한 삼성전자는 시장점유율 18.9%로 1위 자리를 지켰다. 하지만 전년동기대비 3.4%포인트 하락했다. 화웨이는 5,221만대를 판매하며 전년동기대비 시장점유율 3.9%포인트 증가한 13.4%를 차지했다. 애플은 4,574만대를 판매한 애플은 11.8%라는 시장점유율을 동일하게 유지했다. 샤오미는 3,321만대를, 오포는 3,036만대를 판매했다. 가트너의 책임 연구원인 안슐 굽타(Anshul Gupta)는 “화웨이와 샤오미를 글로벌 스마트폰 공급업체 목록에서 제외시킨다면 최종 사용자 대상 스마트폰 판매는 5.2% 하락했을 것”이라며, “중국의 유수 휴대전화 제조사들은 저렴한 가격, 고급
[첨단 헬로티]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이 러시아와 동구권 중심으로 연구원 전략분야 원천기술 확보와 우수인력 교류 등을 위한 ‘기계기술 신(新)북방’ 정책을 펼치고 있다. 기계연은 11월 27일과 28일, 러시아과학원(Russian Academy of Science, RAS) 산하 복합재료연구소(Institute of Synthetic Polymer Materials)와 기계기술 중점분야 협력 포럼을 개최했다. 강건용 부원장 등 방문단은 포럼에서 유기센서소자, 유기/무기재료합성, 레이저 기반의 유연소자 등 공동연구 분야 발굴을 위한 심도 깊은 협의를 진행했다. ▲한국기계연구원 유기센서소자, 유기/무기재료합성, 레이저기반의 유연소자 분야 연구진들이 러시아 모스크바 폴리테크닉대 연구시설을 둘러보며 공동연구 분야 발굴을 위해 논의하고 있다. 방문단은 또 10년 이상 인쇄전자기술 분야에서 협력을 지속해 온 연구원 해외 공동연구 거점기관 모스크바 폴리테크닉대학을 방문해 미클루셰프스키(V.V. Miklushevskii) 신임 총장 등과 공동연구를 위한 협의를 이어갔다. 이와 함께 러시아 모스크바 현지에서 구소련 연방 최고 대학인 모스크바국립대를
[첨단 헬로티] 2018 사물인터넷 기술 및 융합서비스 워크숍 개최 사물인터넷융합포럼(IoTF)과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11월 29일(~30일), 제주도 대명리조트에서 ‘2018 사물인터넷 기술 및 융합서비스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정부의 사물인터넷(IoT) 관련 추진 사업과 R&D 사업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뤘다. 특히 IoT 분야 네트워크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는 통신3사의 2019년 IoT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서도 살펴보는 시간이 마련됐다. 워크숍은 트랙1과 2로 나눠 진행됐다. 트랙1에서는 ‘정부의 IoT 관련 추진 사업 및 글로벌 시장 동향’이라는 주제로 ▲IoT 신산업 육성선도 사업 추진 현황(NIPA 송자영 수석) ▲IoT 분야 TTA 표준 현황과 적용 사례(TTA 강석규 팀장) ▲정부의 스마트시티 사업 소개(스마트시티 국가전략 프로젝트 사업단 유영화 부단장) ▲IoT 관련 글로벌 칩 시장 동향(셈텍코리아 김태엽 이사)이 발표됐다. 이어 통신3사의 2019년도 IoT 사업 추진 방향이 발표됐고, IITP 박병주 수석이 자율형 IoT 중장기 기술 개발 내용이 담긴 &lsq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