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사업 및 알뜰폰 가입자, 5G 가입자 증가, 해지율 하락 등으로 수익 성장 LG유플러스가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0.4% 증가하며 처음으로 1조 원을 넘어섰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13조9060억 원, 단말기 판매를 제외한 서비스 매출 11조4106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0.4%, 3.1% 증가했다고 3일 공시했다. 연간 영업이익은 1조813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4% 증가했다. 순이익은 6626억 원으로 8.5% 줄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3조6106억원이었고, 영업이익은 2866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1.1% 늘었다. 해당 분기 순이익은 1594억 원으로 집계됐다. 4분기 영업이익은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2308억 원을 24.2% 상회했다. 연간 매출 중 모바일 매출은 전년 대비 2.1% 증가한 6조1832억 원이었다. 모바일 매출에서 접속 수익을 제외하고 모바일 통화료·데이터 요금 등으로 산정한 무선 서비스 매출은 5조8309억 원으로 2.4% 늘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모바일 가입자가 1989만6000명으로 10.6% 증가했다"며 "이동통신사업(MNO)과 알뜰폰(MVNO) 가입자 증가와
새 AP인 스냅드래곤8 2세대, 커진 베이퍼 챔버 탑재로 개선된 성능 구현 삼성전자는 새로운 스마트폰 갤럭시 S23 개발·제조 과정에서 지난해 전작에서 불거졌던 발열 문제를 개선하는 데 주력했다. 2일 삼성전자와 퀄컴에 따르면, 신제품 갤럭시 S23 시리즈 전 제품에 퀄컴의 프리미엄 갤럭시용 스냅드래곤8 2세대 모바일 플랫폼이 탑재됐다. 스냅드래곤8 2세대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로, 전력 효율을 최대 40% 향상하는 등 발열 문제를 개선했다. 더 커진 베이퍼 챔버도 S23 시리즈 전 모델에 탑재됐다. 베이퍼 챔버는 기기 내부의 열을 빠르게 분산시켜 고사양 게임을 장시간 구동해도 발열을 조절한다. 이처럼 삼성전자가 새 AP와 커진 베이퍼 챔버를 S23의 모든 라인에 적용한 것은 S22 시리즈에서 제기됐던 발열 이슈, 그리고 발열을 막고자 추가했던 게임최적화서비스(GOS, Game Optimizing Service) 기능이 야기한 논란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앞서 삼성전자는 갤럭시 S22에 GOS 기능을 포함하고 활성화를 강제했으나 소비자에게 이를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는 논란이 일면서 홍역을 치렀다. GOS는 고성능 연산이 필요한 게임 등
람다 활용한 챗봇 견습 시인 테스트하는 아틀라스 프로젝트 진행하고 있어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최고경영자(CEO) 순다르 피차이는 2일(현지시간) 구글이 수주 또는 수개월 내 자사의 인공지능(AI) 언어 프로그램 '람다'(LaMDA)와 같은 AI 기반의 광범위한 언어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순다르 피차이 CEO는 이날 구글의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가진 전화 회의(컨퍼런스콜)에서 검색의 동반자로 언어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는 AI 여행을 이제 시작하는 중"이라며 "아직 정점에 오르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외신들은 전날 소식통 등을 인용해 구글이 람다를 활용한 챗봇 '견습 시인'을 테스트하는 '아틀라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챗봇은 최근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화제인 오픈AI의 챗GPT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글의 경쟁사인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는 챗GPT를 자사 검색엔진 빙에 통합하는 등 챗GPT 개발사인 스타트업 오픈AI의 AI 기술을 활용할 계획을 공개해 주목 받고 있다. 블룸버그는 이 같은 MS의 AI 활용 움직임이 구글이 장악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아이폰 생산 차질이 주요 원인 애플이 주력 제품인 아이폰의 판매 부진으로 거의 4년 만에 분기 매출이 감소하는 '역성장 쇼크'를 기록했다. 애플은 2일(현지시간) 작년 4분기 매출과 순이익이 모두 감소하면서 월가 예상치에 못 미치는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은 디지털 광고 사업에서 타격을 받으며 부진한 분기 실적을 공개했고, 전자상거래 1위 기업 아마존은 클라우드 매출 둔화로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0달러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애플과 구글, 아마존 등 이날 실적을 발표한 '빅테크 3총사'의 주가는 정규장에선 페이스북 모기업 메타 플랫폼이 이끈 시장 랠리에 힘입어 동반 상승했으나 실적 발표 이후 시간외거래에서 모두 5% 안팎의 급락세로 전환했다. 애플의 작년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 감소한 1172억 달러였다. 금융정보업체 리피니티브가 집계한 월가 애널리스트 예상치(1211억 달러)를 밑도는 수치였다. AP 통신과 CNBC 방송에 따르면 아이폰 제조업체의 분기 매출이 줄어든 것은 2019년 1분기 이후 처음이고, 매출 감소 폭은 2016년 9월 이후 가장 컸다. 작년 4분기 순이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도요타 그룹이 자동차 생산 공장을 증설한다. 3일(현지시간) CNN 인도네시아 등에 따르면, 도요타와 인도네시아 기업 아스트라 인터내셔널의 합작 법인인 아스트라 다이하쓰 모토(ADM)는 2조9000억 루피아(약 2400억 원)를 투자해 서자바주 동카라왕 지역에 연 14만 대의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건설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ADM의 쿄다 야스시 대표는 2024년 12월 완공될 예정이라며 새로운 공장은 탄소 배출량을 기존 공장과 비교해 최대 5분의 1까지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설 공장에서는 '쌍둥이 차'인 도요타의 러시와 다이하쓰의 테리오스, 도요타의 아반자와 다이하쓰의 제니아 등을 생산할 예정이다. 도요타와 도요타의 자회사인 다이하쓰는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을 절반가량 점유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자동차공업협회(GAIKINDO)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두 회사의 판매량(도매 기준)은 도요타가 33만1410대, 다이하쓰가 20만2665대다. 두 브랜드를 합치면 인도네시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50.9%에 이른다. 생산량 기준으로도 두 브랜드는 80만4000여 대를 생산해 전체 인도네시아 자동차
부품 조달의 어려움, 공급망 비용 초과 등이 원인으로 지적돼 미국 포드 자동차는 반도체 부족과 공급망 혼란으로 인한 생산 차질로 지난해 4분기 이익이 90% 가까이 급감하면서 실적이 연간 전망치에 미달했다고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포드의 4분기 매출은 440억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16.7% 늘었으나, 순이익은 13억 달러로 89% 줄었다. 지난해 연간 세전 이익도 104억 달러에 그쳐 앞서 회사가 제시한 전망치인 115억∼125억 달러에 미치지 못했다. 올해 세전 이익 전망치는 90억∼110억 달러로 제시했다. 존 롤러 포드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반도체를 비롯한 부품 조달에 어려움을 겪었고 공급망 비용도 예상보다 많이 나간 것이 지난해 실적 부진의 원인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포드의 실적 부진으로 주가는 이날 시간 외 거래에서 6% 넘게 빠졌다. 짐 팔리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119년 역사의 포드는 미국 내 전기차 업체 1위 목표 달성을 위해 지난해 초 전기차 사업 부문을 분사한 바 있다. 최근에는 사무직 수천 명을 해고하고 자율주행 벤처 자회사인 아르고 AI를 정리하는 등 조직 유연화에도 나서고
미팅 경험 전반에 AI 기술 접목해 생산성 높이도도록 지원 마이크로소프트가 팀즈 프리미엄을 공식 출시했다. 팀즈 프리미엄은 오픈AI의 대형언어모델(LLM) GPT-3.5를 포함한 최신 기술이 내장돼 더 지능적이고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한다. 오늘날 많은 조직은 화상회의를 위한 솔루션 비용을 지불할 뿐 아니라 웨비나, 미팅 인텔리전스 등 고급 미팅 기능을 위해 고가의 애드온 제품을 구입하고 있다. 이에 마이크로소프트는 월 10달러의 합리적인 비용으로 더 많은 고급 미팅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팀즈 프리미엄을 출시했다. 팀즈 프리미엄는 미팅 경험 전반에 AI 기술을 접목, 새로운 방식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먼저 인텔리전트 리캡 기능은 회의 메모, 권장 작업, 맞춤형 하이라이트 등을 자동으로 생성해 미팅에 참여하지 못한 경우에도 중요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회의 녹화본을 검토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여기에는 회의가 끝나면 GPT-3.5 기반 AI가 노트를 자동 생성해 핵심 요점을 바로 알려 주는 기능과 후속 활동 항목을 제안하는 기능도 추가될 예정이다. AI 생성 챕터 기능은 회의를 섹션 별로 나눠 사용자
전체 직원 1만4000명 가운데 840명가량 해고 통보받아 미국에서 테슬라의 가격 인하로 촉발된 전기차 업계의 '가격 전쟁' 속에 후발주자 리비안이 직원 6%를 해고하는 긴축 조치를 취했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자동차 생산 증대와 수익성 강화에 자원을 집중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방침을 밝혔다. 리비안의 감원은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던 지난해 7월 비용 절감을 이유로 전체 인력의 6%를 해고한 데 이어 최근 1년 새 두 번째다. 이로 인해 전체 직원 1만4000명 가운데 840명가량이 일자리를 잃지만, 생산직 일자리는 줄어들지 않을 전망이다. 2021년 11월 인기리에 상장했던 리비안 주가는 고점에서 90% 가까이 떨어진 상태다. 경기 둔화와 보유 현금 소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전기차 가격 전쟁까지 촉발되자 이에 대비하기 위해 추가 감원에 나섰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최근 테슬라에 이어 포드도 전기차 가격을 내리면서 리비안·루시드 등 후발주자들의 고전이 예상되는 상황으로, 영국 전기차 스타트업 어라이벌도 이번 주 직원 절반을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테슬라
베이징 딥글린트 테크놀로지, 한왕 테크놀로지 등 中 AI 기업 주목 미국 개발사 오픈AI의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중국 AI 관련 기업의 주가도 덩달아 급등하고 있다. 2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AI 업체인 '베이징 딥글린트 테크놀로지' 주가는 올해 들어서만 49.54% 뛰어올랐다. 이 회사 주가는 한국시간 이날 오후 2시 45분 현재 상하이 증시에서 전장보다 0.96% 떨어진 37.04위안에 거래되지만, 전날에도 한때 16%가 넘는 급등세를 보였다. 지능형 패턴인식 기술기업인 '한왕 테크놀로지'의 주가 역시 올해 들어 50.92% 치솟았다. 이날도 10.1% 급등한 24.51위안에 거래되고 있다. '클라우드워크 테크놀로지' 주가도 올해 들어 50%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에 비해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는 올해 들어 7% 상승하는 데 그쳤다. 중국 AI 기업의 주가는 불확실한 업황과 적자 지속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0월 말부터 '제로 코로나' 해제 기대감이 촉발한 강세장에서는 소외됐다. 그러나 최근 챗GPT의 열풍에 힘입어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향후
내년부터 FEPS에 19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 모듈 공급 예정 LG에너지솔루션이 연평균 40% 이상 성장세가 예상되는 전기 버스와 트럭 등 상용차 분야에서 대규모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시장 공략에 나선다. LG에너지솔루션은 2일 배터리관리시스템(BMS)과 배터리 팩을 제조·판매하는 미국 FEPS사와 전기차 배터리 모듈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내년부터 FEPS에 19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 모듈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는 고성능 상용차 약 5만 대 이상(고성능 전기차로는 27만 대)을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기존 전기차 모듈 가격이 킬로와트시(KWh)당 100∼120달러로 추정되고 전기 상용차 모듈은 이보다 50% 이상 높은 수준으로 가격이 형성되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계약으로 약 3조∼4조 원의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FEPS는 독일 프로이덴베르크 그룹을 모기업으로 둔 회사로, 2018년 북미 파우치셀 개발 및 BMS·팩 제조 판매 기업 Xalt Energy을 인수해 출범했으며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에 팩, 모듈 조립을 위한 기가 팩토리를 운영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조립
1월 들어 시총이 증가한 종목은 2196개로 85.6% 차지 연초 주가 상승에 힘입어 1월 한 달간 국내 증시 시가총액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2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국내 주식시장 전체 상장 종목 중 우선주 등을 제외한 2564개 종목의 올해 1월 시총 변동 현황을 분석했다. 조사 대상 종목의 시총은 연초 2016조 원에서 1월 말 2205조 원으로 189조 원 이상 불어났다. 시총이 증가한 종목은 2196개로 85.6%를 차지했다. '대장주' 삼성전자 시총은 올해 초 331조3229억 원에서 1월 말 364조1567억 원으로 33조 원 가까이 증가했다. 삼성전자 주가는 반도체 감산 기대 등을 반영해 1월 2일 5만5500원에서 1월 31일 6만1000원으로 뛰어오르며 '6만 전자'를 회복했다. LG에너지솔루션 역시 같은 기간 시총이 104조3640억 원에서 121조9140억 원으로 17조 원 이상 늘었다. SK하이닉스(9조3185억 원↑), LG화학(6조710억 원↑), 삼성SDI(5조7075억 원↑), 카카오(3조8759억 원↑), 네이버(3조7731억 원↑) 등 20개 종목 시총도 한달새 조 단위로 불었다. 주가 상승 흐름에 시총 '1조원
AI 엔진과 자동화 앞세워 뛰어난 사용성과 비용 절감에 주목 베스핀글로벌이 2일인 오늘 양재 엘타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클라우드 운영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베스핀글로벌은 이와 동시에 클라우드 운영 관리 최적화를 구현하는 CMaaS(Cloud Management as a Service) 제품 ‘옵스나우360(OpsNow360)’을 공개했다. 옵스나우360은 베스핀글로벌이 설립 이후 축적해온 8년여 간의 클라우드 관리 경험과 ‘옵스나우’를 직접 개발하고 운영해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새롭게 선보인 제품이다. 장인수 베스핀글로벌 한국총괄대표는 환영사에서 "클라우드 시장은 향후 5년간 연 평균 15.5%의 성장을 예고하고 있다. 클라우드는 조직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혁신적인 방안다. 이제는 클라우드 사용 여부에 대한 고민보다 더 잘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해야 할 때다. 우리는 옵스나우360으로 기업에 효율적인 클라우드 사용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CMaaS는 클라우드 운영 관리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직에 클라우드 전문 인력을 갖추지 않아도 손쉽게 클라우드 운영 관리를 수행하도록 돕는다. 상시 업데이트 및 유연성, 안정성, 민
챗 GPT가 부상함에 따라 경쟁력 확보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돼 구글이 최근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화제인 오픈AI의 챗GPT와 경쟁할 인공지능(AI) 챗봇을 테스트하고 있다고 미국 CNBC방송이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과 내부 문서에 따르면 구글은 자사의 언어 프로그램 '람다'를 활용한 챗봇 '견습 시인'(Apprentice Bard)을 테스트하는 '아틀라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 챗봇을 구글의 검색 엔진에 통합하는 방법과 디자인도 테스트 되고 있다. 이번 구글의 테스트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지원을 받는 오픈AI의 챗 GPT가 급격히 부상하면서 회사의 AI 경쟁력에 위기감을 느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견습 시인'은 챗GPT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직원들이 대화 상자에 질문을 입력하면 문자로 답변을 내놓고, 직원들이 다시 그 답변에 피드백해주는 방식으로 테스트가 이뤄지고 있다. 견습 시인은 챗GPT와는 달리 최근에 일어난 일에 대해서도 답변이 가능했다. 예를 들어 테스트 담당 직원이 '구글에서 감원이 또 있을 것인지'를 물었다. 구글은 지난달 초 전체 직원의 6%인 1만2000명을 해고했다. 그러나
급여 삭감 비롯해 퇴직연금 관련 회사 기여율 축소, 보너시 지급 중단 이어져 최악의 실적 부진이 예상되는 인텔이 경기침체 대비·향후 투자를 위한 비용 절감 목적으로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한 모든 간부의 급여를 삭감했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인텔은 팻 겔싱어 CEO의 기본급 25%를 깎은 것을 비롯해 임원 15%, 선임 간부 10%, 중간 간부 5%씩 삭감했다고 밝혔다. 인텔은 퇴직연금(401k) 매칭 프로그램의 회사 기여율도 기존 5%에서 2.5%로 낮추고 분기별 보너스 지급도 중단하기로 했다. 다만 일반직과 시급 근로자의 급여는 깎지 않기로 했다. 인텔은 보도자료에서 "경제 역풍을 헤쳐나가고 회사 전반의 비용 절감 작업의 일환으로 경영진의 삭감 폭을 크게 하는 방향으로 올해 직원 보상프로그램을 일부 조정했다"고 말했다. 인텔은 이번 조치에 앞서 지난주 PC 수요 급감과 경쟁 격화 등으로 인해 50년 새 최악의 분기 실적을 예상한 바 있다. 인텔은 급여 삭감으로 마련된 자금을 업계 선두인 대만 TSMC와 삼성전자를 따라잡기 위해 새로운 생산기술을 도입하는 투자계획에 활용하기로 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인텔은 비용 절감을 위
최태원 회장, "2025년까지 경북지역에 5조5000억 원 규모 투자 실행할 것" SK실트론이 반도체 웨이퍼 구미 공장 증설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1일 구미 SK실트론 본사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 김장호 구미시장, 장용호 SK실트론 사장이 실리콘반도체 웨이퍼 제조설비 증설을 내용으로 하는 1조2000억 원대 투자양해각서(MOU)에 서명했다고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최태원 SK 회장은 첫 인재양성전략회의를 주재하고 투자협약식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에게 2025년까지 SK그룹이 경북지역에 모두 5조5000억 원을 투자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SK실트론의 이번 투자는 작년 1조 원 투자의 연장선상이다. 구미 국가산업 3단지 내에 1조2360억 원을 추가 투입해 올해부터 2026년까지 4만2716㎡ 부지에 총 2조3000억 원을 들여 300mm(12인치) 실리콘웨이퍼 제조설비를 증설하는 것이 골자다. 공장증설로 1000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투자 결정으로 이달 27일 신청서 접수를 마감하는 '구미 반도체산업 특화단지' 유치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예비 타당성 조사 면제에 대한 특례와 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