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지구의 날을 맞아 모바일 청구서 서비스 빌레터(Bill Letter) 내에 녹색생활 실천을 위한 신규 서비스 ‘에코레터’를 출시했다. 에코레터는 개인의 탄소중립포인트 적립을 도와주는 유료 부가서비스로, 월 이용료는 3300원이다. 탄소중립포인트는 전기, 수도, 가스 절약 등 일상 속 탄소 감축 활동에 따라 정부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로 최대 연 27만 원 상당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에코레터는 이러한 포인트를 보다 쉽게 적립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위치 기반으로 적립 가능한 매장 및 상품 정보를 안내한다. 이와 함께 ‘녹색생활 실천 챌린지’ 기능으로 가구별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하고 절약 목표를 설정하면 예상 포인트 시뮬레이션을 제공해 동기부여를 높인다. 특히 절약 행동을 10회 이상 실천할 경우에는 편의점(CU, GS25)에서 사용할 수 있는 3000원 쿠폰을 제공하고, 이마트와 롯데마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제품 할인 쿠폰도 월 1회 제공된다. 또한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자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자전거 이용 중 사고를 당할 경우, 최초 1회에 한해 최대 100만 원까지 보상을 지원하는 보험 혜택도 포함되어
패러닷이 LG유플러스에 기업용 AI 영상 제작 솔루션 ‘캐럿 Biz’를 공급한다. LG유플러스는 이번 도입으로 AI 기반 광고 및 마케팅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인공지능 중심의 사업 전환 전략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캐럿 Biz는 세계적인 이미지·영상 생성 모델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기업형 AI 영상 제작 솔루션이다. 구글 이마젠3(Imagen3), 런웨이(Runway), 플럭스(Flux) 등 글로벌 생성형 AI 모델을 실행 횟수 제한 없이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개별 모델을 별도로 구독하는 방식과 비교해 약 75% 이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사용자의 창작 환경을 고려한 기능도 다양하게 탑재하고 있다. 인물이 등장하는 영상에 자동 음성과 입 모양을 입히는 ‘영상 립싱크’, 특정 인물이나 사물을 학습시켜 콘텐츠에 반영하는 ‘이미지 학습’ 등 제작자 친화적인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패러닷은 LG유플러스 실무자들이 AI 영상 제작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AI 크리에이터 멘토링 서비스도 함께 제공한다. ‘라이언오슬링’, ‘연신내호랭이’, ‘김땡땡’ 등 콘텐츠 업계에서 활동 중인 크리에이터들이 직접 참여해 실무 교육을 지원할 예정이다. 패러
AI·AMR 중심 자동화 솔루션 사업, 독립 성장 통해 산업 수요 대응력 강화 ABB가 로봇 사업부를 분사하고 2026년 2분기 중 별도 상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분사는 현물배당(in-kind dividend) 방식으로 진행되며 기존 ABB 주주는 동일한 지분 비율로 새 회사 주식을 배당받게 된다. ABB는 이번 분사가 로봇 사업과 그룹 전체 양측 모두의 성장과 고객 가치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피터 보저 이사회 의장은 “로봇 사업부를 독립 상장함으로써 보다 집중된 지배구조와 자본 배분의 유연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ABB 로봇 사업부는 자율 이동 로봇(AMR), AI 및 소프트웨어 중심의 지능형 자동화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으며 제품군의 80% 이상이 소프트웨어 및 AI 기반이다. 2024년 기준 해당 사업부는 약 7000명의 직원과 함께 23억 달러(약 3조 2천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EBITA 마진은 12.1%에 달했다. 모르텐 비어로드 CEO는 “로봇 사업은 업계 선도 위치에 있지만 그룹 내 다른 사업부와는 수요와 시장 특성이 다르다”며 “독립 상장은 각 사업의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 상장사는 유럽(스
DWG 호환성·사용자 인터페이스 호평…실무형 CAD 시장 확대 시동 모두솔루션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열린 2025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HVAC KOREA 2025)에 참가해 CAD 솔루션 ‘지스타캐드(GstarCAD)’를 선보였다. 이번 전시회는 기계·설비·건설 분야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고성능 설계 솔루션에 대한 현장 수요와 관심을 확인하는 자리로 평가받았다. 모두솔루션은 이번 행사에서 지스타캐드와 무료 뷰어, PTC의 Creo 및 Windchill 솔루션을 함께 소개했다. 특히 지스타캐드는 ‘DWG 파일의 완벽한 호환성’, ‘고성능 2D 도면 작성 기능’,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중심으로, 기존 고가 CAD 솔루션의 대안을 찾고자 하는 업계 실무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현장에서는 기존 DWG 도면을 바로 열람·편집할 수 있는 오토캐드와 유사한 명령어 및 단축키 체계 덕분에 별도의 재교육 없이 실무에 투입 가능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졌다. 이는 빠른 실행 속도와 경량 설치 용량, 한글화된 인터페이스 등 실용적 요소도 실무자들의 요구에 부합했다는 평가다. 모두솔루션 관계자는 “지스타캐드는 단순한 설계 도구를 넘어 실무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품질 검증 통과… 국내 CAD 시장 경쟁력 확보 지스타캐드(이하GstarCAD)가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으로부터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1등급(인증번호는 25-0012)을 획득했다. 이번 인증은 제품의 기능성, 사용성, 신뢰성, 성능 효율성 등 전반에 걸친 기술적 완성도와 품질이 국가 공인 기준을 충족했음을 의미한다. GS(Good Software) 인증은 산업통상자원부 주관하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또는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이 실시하는 국가 인증 제도로 엄격한 품질 기준을 통과한 소프트웨어에 부여된다. 이번 인증으로 GstarCAD는 기술적 신뢰도는 물론 사용자 편의성에서도 인정받으며 국내 시장에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하게 됐다. GstarCAD의 개발사 Gstarsoft 관계자는 “이번 GS인증 획득은 자사의 CAD 솔루션이 단순한 대안 제품이 아니라 높은 전문성과 품질을 갖춘 경쟁력 있는 소프트웨어임을 입증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고객 요구에 부응하는 고품질 제품 개발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GstarCAD 국내 총판사 모두솔루션 관계자는 “많은 고객들이 GstarCAD를 대안 CAD 솔루션으로 선택하고
국내 32%만이 도입 확대 계획 개인정보 보호 우려 여전, 데이터 관리 체계 강화 필요 클라우데라가 21일 발표한 글로벌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기업의 96%가 향후 12개월 내 AI 에이전트 도입을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수치는 32%에 그치면서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집계됐다. 클라우데라는 ‘기업용 AI 에이전트의 미래’를 주제로 총 14개국 IT 리더 15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주요 활용 분야로는 성능 최적화 봇(66%), 보안 모니터링 에이전트(63%), 개발 지원 보조(62%)가 꼽혔다. AI 에이전트는 단순 자동화 기술을 넘어 실시간으로 사고·적응·행동하는 지능형 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운영 민첩성과 고객 대응력 향상,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응답자의 87%는 “AI 에이전트는 향후 업계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요소”라고 답했다. 국내의 경우 82%의 IT 리더가 이미 AI 에이전트를 사용 중이며 95%는 투자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도입 확대에는 제동이 걸린 상황이다. 국내 응답자의
EPS·XTD·Xcanner 등 현지 특화 제품에 높은 관심 OT-IT 통합 대응 전략으로 산업 현장 보안 강화 안랩이 15일부터 17일까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사이버 보안 포럼 ‘CYBERSEC 2025’에 참가해 대만 산업 환경에 특화된 보안 솔루션을 소개했다. 안랩은 현지 공인 파트너 ‘T-Tech System Corp.’과 함께 전시 부스를 공동 운영하면서 산업 맞춤형 OT 보안 제품과 안티 랜섬웨어 솔루션을 선보였다. CYBERSEC은 대만 IT 전문 매체 iThome이 주최하는 대만 최대 보안 행사로, 올해 2만여 명의 참관객과 400여 개의 글로벌 보안 기업이 참여했다. 안랩은 이번 첫 참가로 약 1000여 명의 참관객을 대상으로 제품 시연과 도입 상담을 진행하며 현지 시장에서 높은 관심을 끌었다. 이번 행사에서 안랩은 OT 환경 전용 엔드포인트 보안 솔루션 ‘AhnLab EPS’, OT 네트워크 가시성 및 위협 탐지 솔루션 ‘AhnLab XTD’, 비에이전트 방식의 악성코드 탐지 솔루션 ‘AhnLab Xcanner’를 포함한 ‘CPS PLUS’ 플랫폼을 소개했다. 특히 Xcanner는 USB 기반으로 작동하는 솔루션으로 폐쇄망이나 저사양
디지털 청첩장 속 숨니봇 멀웨어 확산…앱 다운로드 경로·권한 설정 주의 필요 카스퍼스키가 한국 온라인 뱅킹 사용자를 노린 안드로이드 기반 악성코드 ‘숨니봇(SoumniBot)’이 결혼식 청첩장을 위장해 유포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해당 멀웨어는 결혼식 라이브 스트리밍 초대를 가장한 메시지로 피해자의 기기에 침투하고 설치 후 개인 정보를 은밀히 탈취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숨니봇은 작년 8월부터 활동을 시작한 것으로 분석돼 공격자는 약 400개 이상의 도메인을 활용해 유포 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 악성코드는 한국 내 온라인 뱅킹 사용자와 디지털 인증서 사용자들을 주요 표적으로 삼고 있다. 드미트리 칼리닌 카스퍼스키 위협 분석가는 “결혼이라는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메시지를 악용한 점이 이번 공격의 특징”이라며 “숨니봇은 Android 매니페스트 구조를 조작해 탐지를 회피하며, 감염된 기기에서 개인정보를 수집해 정기적으로 외부 서버로 전송한다”고 설명했다. 숨니봇은 앱 아이콘을 자동으로 숨겨 사용자 인식을 피해 연락처, 문자 메시지, 사진과 영상, 은행 디지털 인증서 등 민감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공격자의 명령에 따라 피해자의 기기에서 문자 메시지를 임의로 발송
클라우드플레어가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인프라 제품군 ‘클라우드플레어 리얼타임(Cloudflare Realtime)’과 개발자 도구 모음 ‘리얼타임키트(RealtimeKit)’를 출시했다. 이와 함께 대규모 분석 데이터를 위한 ‘R2 데이터 카탈로그(R2 Data Catalog)’의 오픈 베타 버전도 공개했다. 클라우드플레어 리얼타임은 기존의 SFU(Selective Forwarding Unit), STU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TURN(Traversal Using Relays around NAT) 기능을 통합한 제품군이다. 개발자들은 복잡한 통신 설정 없이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다. 클라우드플레어는 이 제품군으로 실시간 영상회의, 음성 채팅, 스트리밍 등 다양한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리얼타임키트는 클라우드플레어 리얼타임 인프라를 기반으로 구축된 개발자 도구 모음으로 모바일 및 웹 SDK, 녹화, 세션 조정, 음성 전사 등 서버 측 기능이 포함된다. 개발자는 리얼타임키트로 웹RTC 설정 없이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
“자알 죽고 내일 만나” 티모는 크레바스에 빠져 죽을 위기에 처한 미키를 구하기는커녕 얄궂은 말만 던진다. 미키는 그런 티모를 올려다보며 담담한 얼굴로 태연히 손까지 흔든다. 영화 도입부부터 잘 죽으라는 말에 덤덤한 미키의 모습이나, 분명 잘 죽으라면서 ‘내일 만나자’고 하는 티모의 대사 앞에 관객은 어리둥절하기만 하다. 생명체에게 가장 두려운 죽음을 앞두고 미키가 태연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가 대신 죽어주는 사람(익스펜더블)이기 때문이다. 미키는 티모와 마카롱 가게를 차렸다가 망한 뒤, 빚을 갚지 못하면 잔혹하게 죽이기로 악명 높은 사채업체에게 쫓긴다. 미키가 선택한 도주 방법은 기후변화로 망해가는 지구에서 얼음행성 니플하임으로 이주하는 우주선에 타는 것. 하지만 한정된 인원 안에 들기 위해서는 어필할 수 있는 직업이나 능력이 필요했다. 망한 마카롱집 사장님인 미키에겐 그런 능력 따윈 없었으므로 아무도 지원하지 않는 ‘익스펜더블’에 지원하게 된다. 미키가 하는 일은 간단했다. 방사능, 바이러스, 극한 기후를 비롯해 미지 행성을 개척할 때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모든 요소를 단 한 사람이 모두 떠안아 대신 죽어가는 실험체가 되는 것이다. 실험 중에 사망한 미키는
EDR·XDR·OT 보안 강화로 고도화된 사이버 위협 대응 체계 구축 KG ICT가 글로벌 사이버 보안 기업 카스퍼스키와 국내 총판 계약을 체결하면서 기업 보안 시장 확대에 본격 나선다. 이번 계약은 AI 발전과 초연결 사회로의 전환 속에서 급증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고 산업별 보안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협력의 일환이다. KG ICT는 카스퍼스키의 ‘위협 인텔리전스(Kaspersky Threat Intelligence)’, ‘산업용 보안(Kaspersky Industrial CyberSecurity)’, ‘EDR/XDR’, ‘표적 공격 대응 플랫폼(Kaspersky Anti Targeted Attack Platform)’, ‘클라우드 보안(Kaspersky Hybrid Cloud Security)’ 등 주요 솔루션을 국내에 공급할 예정이다. 특히 KG ICT는 IT 중심의 기존 보안 체계로는 커버하기 어려웠던 산업 환경의 OT(Operational Technology) 영역을 타깃으로 철강·에너지·공공기관 등에서 보안 수요를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이는 OT 특화 솔루션으로 보안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산업 현장에 적합한 위협 탐지 및 대응 체계를 제공한다는
양평군 시범운영 기반 서비스 개선… 다국어 지원·재난 대응 연계 기능도 순차 확대 예정 디케이테크인이 카카오톡 기반의 ‘스마트 마을방송’ 서비스를 정식 출시했다. 해당 서비스는 별도 장비나 앱 설치 없이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마을 주민에게 방송을 송출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스마트 마을방송은 기존의 마을회관이나 이장 자택 등 특정 장소에 설치된 방송 장비 없이 휴대폰만으로 공지사항과 재난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홍수, 산불 등 긴급 상황에서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며 모바일 접근성을 강화해 정보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다. 수신자는 카카오톡을 통해 방송 내용을 확인 가능하고 일정 시간 내 내용을 확인하지 않을 경우 자동 안부 전화가 걸려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도 탑재됐다. 이를 통해 고령자 등 디지털 소외 계층의 정보 접근성을 높였다. 더불어 마을 부녀회, 청년회 등 소규모 커뮤니티를 위한 ‘그룹 설정’ 기능과 사진·영상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해 주민 간 소통도 지원한다. 디케이테크인은 이번 서비스 출시에 앞서 약 3개월간 경기 양평군과 함께 시범 운영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디지털 기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도 무
박종흠·최영민 전 대표는 CCO로 신사업 전담 회화 학습과 해외 진출 본격화 예고 AI 영어 학습 앱 ‘말해보카’를 운영하는 이팝소프트가 김우준 최고제품책임자(CPO)를 신임 대표이사(CEO)로 선임했다. 이번 인사는 최근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확정됐으며 기존 공동 대표였던 박종흠, 최영민 전 CEO는 최고크리에이티브책임자(CCO)로 전환해 신사업 기획과 발굴에 집중할 예정이다. 김우준 대표는 2019년 1월 이팝소프트에 최고기술책임자(CTO)로 합류해 2023년 4월부터 CPO로 재직하며 제품 고도화와 빠른 실행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서울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재학 중 위젯스튜디오(현 넥슨)에서 개발자로 커리어를 시작해 입사 2년 만에 개발팀장을 역임했다. 이후 일렉트로닉아츠(EA), 파티게임즈 개발이사를 거쳐 게임·모바일 산업 전반에 대한 경험을 축적해 왔다. 이팝소프트에 합류한 이후 김 대표는 말해보카 제품 개발을 전담했다. 박종흠, 최영민 CCO와 함께 게이미피케이션과 교육 콘텐츠를 결합한 학습 설계로 사용자 몰입도를 높였다. 영단어 퀴즈 중심의 어휘 학습에서 출발해 리스닝과 문법 학습 기능을 순차적으로 도입하며 단계별 실력 향상에 중점을 둔 종합 학습
K-CTI 2025서 차세대 위협 대응 기술 발표… IoT 보안·해외 진출도 본격화 예정 씨큐비스타가 16일 서울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된 국내 최대 보안 컨퍼런스 K-CTI 2025에서 ‘네트워크 기반 공격자 TTP 탐지 대응기술’ 발표로 지능형 위협 대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씨큐비스타는 발표에서 정적 탐지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시간 위협 헌팅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반의 차세대 NDR 전략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에는 1200여 명의 보안 담당자 및 전문가가 참석해 인사이트를 나눴다. 전덕조 씨큐비스타 대표는 “기존 보안 솔루션으로는 파일리스 공격, 랜섬웨어, 암호화된 트래픽 내 제로데이 위협 등을 탐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공격자의 전술·기술·절차(TTP)를 기반으로 한 능동적 탐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씨큐비스타의 차세대 NDR 솔루션 ‘패킷사이버(PacketCYBER v2.0)’는 미국 NSA 내부 해커 조직 TAO의 공격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설계됐다. 이 플랫폼은 정찰, C&C 서버 접속, 내부망 이동, 정보 유출 등 네 단계의 ‘네트워크 탐지 및 대응(NDR)’ 기능과 초기 감염, 공격 도구 설치 등 두 단계의 ‘
AI 기반 AX 가속 위한 기술 협력 강화… 산업 맞춤형 AI 플랫폼으로 실질적 성과 도출 기대 S2W가 이노션과 AI 얼라이언스 업무협약을 체결해 기업의 비즈니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AI 전환(AX) 가속화에 협력한다. 이번 얼라이언스는 지난해 10월 1차 결성에 이은 두 번째 파트너십으로, S2W를 포함해 한국마이크로소프트·한국IBM·딜로이트컨설팅·노션 등 국내외 9개사가 참여했다. 이노션은 ‘AX의 점진적 확장’을 기조로, AI 솔루션 도입 방향성을 검증하고 기반 사례를 반복적으로 만들어가는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참여 기업 간 기술 및 자원 공유 체계도 강화해 협업 기반을 공고히 할 방침이다. S2W는 이번 협력에서 ‘AX 플랫폼’ 부문 주요 파트너로 참여해 광고·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한 AI 플랫폼 개발을 지원한다. S2W는 자사 산업용 생성형 AI 플랫폼 ‘SAIP(S2W AI Platform)’을 기반으로 현대제철 사내 지식정보 플랫폼, 롯데멤버스 트렌드 분석 AI 서비스 등 고도화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AI 솔루션을 공급해 왔다. S2W는 ‘산업 특화 AI’, ‘지식그래프’, ‘비정형 빅데이터 처리’, ‘고도의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