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모든 산업의 경쟁력을 재정의하는 시대 데이터의 생성과 처리가 일어나는 ‘엣지(Edge)’는 디지털 전환의 핵심 무대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Everything Comes Back to Edge 웨비나’는 어드밴텍이 주최하고 글로벌 기술 리더들이 참여해 피지컬 AI(Physical AI)부터 생성형 AI까지 산업 현장에서 구현되는 최신 트렌드와 전략을 심도 있게 다룬다. 어드밴텍은 엣지 컴퓨팅과 Edge AI의 발전 로드맵을 제시하며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AI 전환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첫 세션에서 Steve Chang 어드밴텍 부사장은 ‘Everything comes back to Edge - Advantech Edge computing and Edge AI program’을 주제로 엣지 생태계의 글로벌 확산 전략을 공유한다. 이어 안동환 어드밴텍 부사장은 ‘Edge AI Powered Industry in Action’을 통해 현장의 AI 활용성과 산업별 도입 전략을 발표한다. 권순현 인텔 상무는 ‘인텔의 Edge AI 전략과 다양한 적용사례들’을 통해 반도체 기반 인프라의 역할을 짚고 조경민 퀄컴 부장은 ‘Qualcomm E
AI가 모든 산업의 경쟁력을 재정의하는 시대 데이터의 생성과 처리가 일어나는 ‘엣지(Edge)’는 디지털 전환의 핵심 무대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Everything Comes Back to Edge 웨비나’는 어드밴텍이 주최하고 글로벌 기술 리더들이 참여해 피지컬 AI(Physical AI)부터 생성형 AI까지 산업 현장에서 구현되는 최신 트렌드와 전략을 심도 있게 다룬다. 어드밴텍은 엣지 컴퓨팅과 Edge AI의 발전 로드맵을 제시하며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AI 전환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첫 세션에서 Steve Chang 어드밴텍 부사장은 ‘Everything comes back to Edge - Advantech Edge computing and Edge AI program’을 주제로 엣지 생태계의 글로벌 확산 전략을 공유한다. 이어 안동환 어드밴텍 부사장은 ‘Edge AI Powered Industry in Action’을 통해 현장의 AI 활용성과 산업별 도입 전략을 발표한다. 권순현 인텔 상무는 ‘인텔의 Edge AI 전략과 다양한 적용사례들’을 통해 반도체 기반 인프라의 역할을 짚고 조경민 퀄컴 부장은 ‘Qualcomm E
셀렉트스타가 국내 최초로 유럽연합(EU) 개인정보 벤치마크 데이터 구축에 나섰다. 이번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2025년도 초거대 AI 확산 생태계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셀렉트스타가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프로젝트 전반을 총괄한다. 셀렉트스타는 EU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과 인공지능법(AI Act)을 기반으로 초거대 언어모델(LLM)의 개인정보보호 준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오픈소스 벤치마크 데이터셋을 구축한다. 이번 사업은 EU 규제가 사실상 글로벌 표준으로 확산되는 ‘브뤼셀 효과(Brussels Effect)’에 대응해 국내 AI 기업들이 국제 규제 환경에 맞춰 기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프로젝트는 EU 주요 법령과 공공 보고서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정제한 후 개인정보 보호 관련 핵심 항목을 세분화해 평가 기준을 마련한다. 또한 질의응답 데이터와 다국어 평가 자료를 제작해 AI가 개인정보보호 규정을 얼마나 정확히 이해하고 준수하는지 검증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번 과제에는 플리토와 BHSN이 참여기관으로 함께한다. 플리토는 글로벌 AI 언어 데이터
소프트프릭이 AI 기반 통합 API 보안 플랫폼 ‘파핌 시큐리티(F-APIm Security)’를 출시했다. 이번 플랫폼은 API의 탐색부터 위협 탐지·차단, 보안 검증에 이르는 전체 생애주기를 통합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특징이다. 소프트프릭 김동철 대표는 “API는 디지털 혁신의 핵심 엔진인 동시에 사이버 공격의 주요 표적”이라며 “API 보안은 생애 전 주기와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확장돼야 한다”고 말했다. 파핌 시큐리티는 적응형 AI(Adaptive AI) 기술을 기반으로 API 환경 내 모든 행위와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실시간 위협을 탐지한다. 이를 통해 API 구조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차단할 수 있다. 플랫폼은 ‘API 이상 행위 및 이벤트 시각화’, ‘개인·민감 데이터 탐지 및 분류’, ‘로그 기반 이상 징후 탐지’, ‘사고 분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개발·배포 단계에서 자동화된 보안 테스트를 수행해 API 운영의 안정성을 높였다. 특히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성능 테스트 결과, API 로그 이상 징후 탐지 및 개인식별정보(PII) 탐지 정확도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공공기관과 커머스 기업을 중심으로 Po
로옴(ROHM)이 2012 사이즈(2.0×1.25mm) 금속 소결 션트 저항기 ‘UCR10C 시리즈’를 개발했다. 이번 신제품은 알루미나 기판 위에 구리계 저항체를 소결 방식으로 형성하고 방열 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후막 타입과 금속판 타입 동등 사이즈 제품 대비 2배 높은 1.0W~1.25W 정격전력을 달성했다. 이를 통해 장변 전극 구조 제품이나 한 사이즈 큰 제품을 대체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소형화와 부품 수 절감이 가능하다. UCR10C 시리즈는 금속 저항체를 채용해 저항 온도 계수(TCR)를 0~+60ppm/℃ 수준으로 낮췄고 온도 변화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해 고정밀 전류 센싱을 실현한다. 또한 -55℃~+155℃의 온도 사이클 1000회 시험에서도 금속판 타입과 동등한 내구성을 확보했다. 이로써 자동차와 같이 급격한 온도 변화 환경에서도 높은 접합 신뢰성을 유지하며 장기적인 안정성을 보장한다. 로옴은 이번 신제품을 완전 납(Pb)-프리 제품으로 설계해 환경 부하를 줄였다. RoHS 규제의 예외 항목에서도 납 재료를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 요건을 충족하며 샘플 신청이 가능하다. 로옴 관계자는 “자동차 및 산업기기 시장에서 전류 검출용 션트 저항기의 고전
AI 확산과 함께 사이버 공격이 정교해지는 가운데, 하드웨어 보안키 전문기업 유비코(Yubico)가 발표한 연례 ‘글로벌 인증 현황 설문조사(Global State of Authentication survey)’ 결과, Z세대가 다른 세대보다 피싱 공격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토커 리서치(Talker Research)가 호주, 프랑스, 독일, 인도, 일본, 싱가포르, 스웨덴, 영국, 미국 등 9개국 직장인 1만8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유비코 브랜드 총괄 책임자 로니 매닝(Ronnie Manning)은 “보안에 대한 인식과 실제 행동 사이의 괴리가 여전히 크다”며 “응답자의 44%가 지난 1년간 피싱 메시지에 반응했다고 답했으며 이는 해커들에게 여전히 피싱이 가장 손쉬운 공격 경로임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강력한 피싱 방지 인증 기술과 체계적인 보안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사 결과, Z세대 응답자의 62%가 지난 1년간 피싱 사기에 반응(링크 클릭, 첨부파일 열기 등)한 경험이 있다고 답해 다른 세대보다 현저히 높은 취약성을 보였다. 응답자의 70%는 AI로 인해 피싱 공격 성공률
플래티어가 자사 AI 플랫폼 ‘XGEN(엑스젠)’을 중심으로 한 에이전틱 AI(Agentic AI) 혁신 전략을 공개했다. 플래티어 남덕현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지난 1일 서울 서초구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AI Synergy Link(AI 솔루션 데이)’ 세미나에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Agentic AI 소개 및 사례’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인공지능협회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공동 주최한 행사로 산업계와 학계 전문가들이 최신 AI 기술과 산업 적용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남덕현 CTO는 이날 발표에서 ‘Agent AI 시장 동향’, ‘AI 아키텍처 및 구현 방식’, ‘산업별 PoC(Proof of Concept) 성과’, ‘플래티어 XGEN 기반 혁신 로드맵’을 중심으로 기업의 AI 도입 전략을 제시했다. 남덕현 CTO는 “AI는 이제 단순한 실험 단계를 넘어 기업 운영 모델을 혁신하는 핵심 전략 도구로 자리잡았다”며 “성공적인 AI 도입을 위해서는 데이터 보안과 거버넌스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산업별로 특화된 맞춤형 에이전트가 향후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
엔비디아가 한국에서의 지포스(GeForce) 25주년을 기념해 오는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GeForce Gamer Festival, GGF)’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한국 게이머와 파트너, 업계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지포스의 혁신과 게이밍 문화를 함께 기념하는 축제의 장이 될 전망이다. 한국은 e스포츠와 PC방 문화의 발상지로, 글로벌 게이밍 생태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이번 행사를 통해 지난 25년간 한국 게이머 및 국내 파트너사와 함께 만들어온 혁신의 여정을 되돌아보고, 최신 지포스 RTX 기술과 차세대 게임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엔비디아 지포스 마케팅 부사장 매트 위블링(Matt Wuebbling)은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은 한국의 역동적인 게이밍 생태계를 기념하는 축제의 장으로 게이머와 파트너, 그리고 업계 전체를 하나로 연결한다. 우리는 최초의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을 서울에서 개최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지난 수십 년간 한국의 게이머, 파트너와 함께한 혁신을 되새기며 앞으로도 함께 미래를 만들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행사 현장에서는 ‘아이온 2(AION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가 수자원환경연맹(WEF),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워터센터(WCP), 세계 선도 수도 공기업 협의체(Leading Utilities of the World)와 함께 ‘워터-AI 넥서스 센터(Water-AI Nexus Center of Excellence, 이하 워터-AI 넥서스)’를 설립했다. 이번 협력은 AI 인프라의 물 사용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전 세계 물 부족 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한 글로벌 협력체 구축을 목표로 한다. 워터-AI 넥서스는 미국 뉴욕에서 열린 ‘클라이밋 위크 NYC(Climate Week NYC)’에서 공식 출범했다. 센터는 ‘Water for AI’를 통해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 운영 과정의 물 사용을 최소화하고 ‘AI for Water’를 통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물 관리와 수자원 보존 혁신을 추진한다. 또한 글로벌 물 산업, 기술기업, 연구자, 정책 담당자가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허브로 운영되며 산업 간 공동 프로젝트를 촉진하는 협력 플랫폼 역할을 수행한다. 주요 활동으로는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디지털 인프라 전반의 물 사용 표준과 모범 사례
핑거와 마이크레딧체인이 글로벌 양자보안 기업 BTQ 테크놀로지(BTQ Technologies)와 손잡고 스테이블코인 기반의 양자보안 네트워크 사업에 나선다. 세 기업은 ‘크립토 기반 양자보안 네트워크 실증 및 사업화 협력’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세계 최초 수준의 양자보안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협력은 급성장 중인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핑거와 마이크레딧체인은 BTQ의 양자보안 스테이블코인 결제 네트워크 ‘QSSN(Quantum Safe Security Network)’을 자사 스테이블코인 결제·운용 인프라에 접목한다. 이를 통해 양자 내성암호(PQC)를 활용한 보안성을 확보하고 디지털 자산의 거래 및 결제 과정 전반에 강화된 보호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핑거와 마이크레딧체인은 이미 탄소크레딧, ESG, 증권형 토큰(STO), 스테이블코인 등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번 협력으로 스테이블코인 사업 영역을 글로벌 결제·송금 시장, 금융기관 대상 B2B 서비스, ESG·탄소크레딧 결제 인프라 등으로 확대하며 실질적 사업 확장을 추진한다. BTQ
구글 클라우드 보안 자회사 맨디언트(Mandiant)가 랜섬웨어 그룹 클롭(Clop)과 연관된 것으로 보이는 위협 행위자의 활동을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해당 공격자들이 오라클 E-비즈니스(E-Business Suite)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탈취했다고 주장하며 일부 오라클 고객을 대상으로 몸값을 요구하는 사례가 보고됐다. 찰스 카르마칼 구글 클라우드 맨디언트 컨설팅 CTO는 “맨디언트와 구글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GTIG)은 최근 랜섬웨어 그룹 클롭과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위협 행위자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맨디언트와 GTIG는 현재 수백 개의 해킹된 계정을 이용한 대규모 이메일 캠페인을 포착했으며 초기 분석 결과 이 중 최소 한 개의 계정이 금전적 이익을 목적으로 활동하는 ‘FIN11’ 그룹과 관련된 것으로 확인됐다. FIN11은 오랜 기간 랜섬웨어 배포 및 갈취 활동을 이어온 사이버 범죄 조직으로 알려져 있다. 악성 이메일에는 공격자의 연락처가 포함돼 있었으며, 맨디언트와 GTIG는 해당 연락처가 클롭 데이터 유출 사이트(DLS)에도 공개된 사실을 확인했다. 카르마칼 CTO는 “이러한 행보는 FIN11이 최근 클롭 데이터 유출
모두솔루션이 2025 AMXPO(아시아 기계 & 제조 산업전)에 참가해 자사의 대표 CAD 솔루션과 최신 기술을 선보이며 업계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이번 전시에서는 지스타캐드(GstarCAD), PTC Creo 12와 PLM 솔루션, 자체 도면배포시스템(MDDS)을 전격 공개하며 디지털 전환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 AMXPO는 기계·제조 산업 관계자들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공유하는 대표적인 전시회로 올해도 다수의 기업과 전문가들이 참가해 성황리에 진행됐다. 모두솔루션 부스에서는 제품 시연과 함께 다트 행사, 퀴즈 이벤트 등 관람객 참여형 프로그램이 마련돼 현장을 찾은 방문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지스타캐드와 PTC 솔루션, 도면배포시스템의 기능을 직접 확인하고 퀴즈를 통해 이해도를 높이는 경험은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장에서 진행된 ‘지스타캐드를 알고 있습니까?’ 앙케이트 조사 결과, 여전히 많은 업계 관계자가 기존 CAD를 사용 중이지만 지스타캐드에 대한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스타캐드의 브랜드 인지도를 확장하고 시장 점유율을 높일 기회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새롭게 공개된 지스타캐드
공공·기업용 시각지능 AI 통합 솔루션 업체 한국딥러닝이 100억 원대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에 나섰다. 이번 투자는 트랜스링크인베스트먼트가 리드하고 SV인베스트먼트가 주요 공동 투자자로 참여했으며 IBK기업은행 등도 함께했다. 이는 설립 5년 만에 처음으로 유치한 VC 투자다. 한국딥러닝은 그간 외부 자금 없이 자체 매출로만 성장해왔으며 연평균 400% 성장률을 기록해 누적 매출 100억 원, 고객사 80곳 이상을 확보했다. 한국딥러닝은 Vision-LLM(Vision-Language Model) 기반 문서 AI 기술을 앞세워 공공기관, 의료, 금융 등 다양한 산업에서 문서 자동화, 구조화, 검색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올해 3월 출시한 문서 기반 AI 에이전트 ‘딥 에이전트(Deep Agent)’는 문서의 시각적 구조와 언어 의미를 동시에 해석해 기존 OCR의 한계를 넘어서는 차세대 솔루션이다. 계약서를 업로드하면 핵심 조항을 자동 추출하고 리스크를 분석해 담당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며, 도입까지 2주 이내로 가능하다. 정확도는 97~99%에 달하며 문서 처리 시간을 80% 이상 단축해 출시 두 달 만에 11억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한국딥러닝은 이번
데이터브릭스가 AI 기반 사이버 보안 솔루션 ‘Data Intelligence for Cybersecurity’를 출시했다. 이 솔루션은 기업이 보유한 기존 보안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통합돼 데이터를 하나로 모으고 개방형 파트너 생태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보안팀은 위협을 조기에 포착하고 공격의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거버넌스가 보장된 유연한 방식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최근 사이버 공격은 AI를 활용한 방식으로 고도화되고 있지만 많은 기업들은 범용 모델과 단절된 데이터로 인해 효과적인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데이터브릭스는 레이크하우스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이 솔루션을 통해 조직 전반에 걸친 폭넓은 가시성과 실시간 인텔리전스를 제공하며 숨겨진 위협까지 탐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Data Intelligence for Cybersecurity’의 핵심 기능은 크게 세 가지다. 먼저 ‘에이전트 브릭스(Agent Bricks)’를 통해 보안팀은 실제 운영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직접 구축하고 배포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보안 인사이트 기능을 통해 보안 전문가뿐만 아니라 비기술 직군 리더들도 자연어 검색과 직관적
원더스랩이 숏폼 콘텐츠 특화 AI 에이전트 ‘원더스토리(WonderStory)’를 앞세워 일본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원더스토리는 콘텐츠 기획부터 시나리오 작성과 수정까지 스토리텔링 전 과정을 지원하는 솔루션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숏폼 드라마 산업을 겨냥해 개발됐다. 원더스랩은 이번 일본 진출을 위해 현지 AI 전문기업 플랜잇AI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현지화, 마케팅, 유통을 강화하고 있다. 원더스토리는 제작사의 IP와 브랜드 가이드를 반영해 효율적 콘텐츠 제작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제작 비용은 약 40% 절감하고 제작 기간은 최대 90% 단축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일본 시장에서는 영상 콘텐츠 플랫폼 기업과 숏폼 분야 기술 및 사업성 검증(POC)을 함께 진행 중이다. 원더스랩은 이를 통해 숏폼 외에도 다양한 콘텐츠 제작 형태로의 확장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 숏폼 드라마 시장은 2029년 약 47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현지 제작사의 AI 도입률은 아직 낮아 제작 효율화를 위한 AI 솔루션 수요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원더스랩은 원더스토리의 성공적 안착을 기반으로 일본을 시작으로 글로벌 AI 에이전트 시장 진출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