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데이터 센터 건설 협장 중단 및 일정 연기 결정돼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과 해외 주요 지역에서 데이터 센터 확장 계획을 전면 재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 통신은 3일(현지시간), MS가 최근 미국 내 여러 주와 인도네시아, 영국, 호주 등에서 데이터센터 건설 협상을 중단하거나 일정 연기를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전 세계적으로 AI 인프라 투자 열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MS가 투자 속도 조절에 나선 신호로 해석된다. MS는 클라우드 시장에서 아마존웹서비스(AWS)에 이어 세계 2위 사업자로, 오픈AI와의 협업을 바탕으로 AI 서비스 상용화를 선도해 왔다. 그러나 최근 일부 지역에서의 프로젝트 중단은 향후 AI 수요 예측과 비용 구조에 대한 전략적 재검토 가능성을 시사한다.
실제 보도에 따르면, MS는 영국 런던과 케임브리지 사이 부지 임대 협상을 철회했고, 시카고 인근 프로젝트도 진행을 멈췄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예정됐던 데이터 센터는 건설이 연기됐으며, 위스콘신주 마운트 플레전트와 노스다코타, 일리노이주 등에서도 계획이 보류되거나 협상이 중단됐다.
MS로부터 클라우드 용량을 임대하는 인프라 기업 코어위브의 CEO는 MS가 추가 용량 확보 요청을 취소했다고 밝혔으며, 어플라이드 디지털 역시 노스다코타 데이터 센터 부지 관련 협상이 중단된 사실을 전했다. 이미 지난 2월, 투자은행 TD 코웬은 MS가 미국과 유럽에서 2기가와트(GW) 규모의 신규 프로젝트를 중단했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이번 축소 결정의 배경에 대해 MS는 “AI 수요는 여전히 증가하며, 이번 변경은 전략적 유연성을 반영한 조정”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내놓았지만, 시장에서는 AI 투자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에 대한 재평가, 전력 및 자재 공급 차질, 혹은 향후 규제 리스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강력한 상호관세 정책이 다시 도입될 수 있다는 우려도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로이터는 관세가 AI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장비 수입에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 내 데이터 센터 건설 프로젝트에 지연이 발생할 가능성을 지적했다.
시장조사기관 번스타인과 에베레스트 그룹은 스마트폰과 PC, 서버 장비 등 데이터 처리 관련 장비 대부분이 멕시코, 대만, 중국, 베트남 등에서 수입된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공급망 불안과 함께 자본 지출 계획 역시 재조정될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 1월 발표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또한 이런 흐름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오픈AI, 소프트뱅크, 오라클 등이 참여해 향후 4년간 20개 데이터 센터를 미국 전역에 건설하고 최대 5천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DA 데이비슨의 애널리스트는 관세 인상으로 장비 가격이 상승하면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추진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MS의 행보는 AI 기반 데이터 센터 구축 경쟁이 일시적으로 조정 국면에 접어들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업계는 투자 전략의 유연성을 확보하면서도, 중장기적으로는 AI 인프라 확장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한 치열한 수 싸움에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