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국가산단 '24년 4분기 업종별 총가동업체 335개 증가

URL복사

 

국가산업단지의 2024년 4분기와 3분기의 업종별 가동업체 현황을 비교한 결과, 업종별로 가동률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4분기 총가동업체 수는 59,050개로, 3분기의 58,715개에 비해 335개 증가하였다. 이는 전반적인 산업 활동의 회복세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가동업체는 입주 계약을 체결하여 조사 시점에 정상적인 생산활동을 영위하는 업체다.

 

업종별 증감 현황

 

음식료 : 4분기에는 755개로, 3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는 안정적인 수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섬유·의복 : 4분기에는 1,634개로, 3분기와 동일한 수치를 기록하였다. 이 업종은 계절적 요인에 따라 수요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나무 종이 : 4분기에는 1,462개로, 3분기의 1,440개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다. 이는 건축 및 가구 산업의 회복세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석유화학 : 4분기에는 4,097개로, 3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 업종은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변동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비금속 : 4분기에는 357개로, 3분기의 353개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다. 이는 건설 및 인프라 프로젝트의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철강 : 4분기에는 1,797개로, 3분기의 1,785개에 비해 증가하였다. 이는 글로벌 수요 증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계 : 4분기에는 19,743개로, 3분기의 19,650개에 비해 증가하였다. 이는 제조업의 전반적인 회복세를 반영한다.

 

전기·전자 : 4분기에는 12,110개로, 3분기의 12,031개에 비해 증가하였다. 이는 전자제품 수요의 증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운송장비 : 4분기에는 2,037개로, 3분기의 2,041개에 비해 소폭 감소하였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기타 및 비제조업 : 기타 업종과 비제조업의 가동업체 수는 각각 1,084개와 13,974개로,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였다.

 

조사 결과에 대해 산업계는 "결과적으로 2024년 4분기 업종별 가동업체 현황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특히 기계 및 전기·전자 업종에서 증가가 두드러졌다. 이는 제조업의 회복세와 함께 산업 전반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지표로 해석된다"고전했다. 그러나 "운송장비 업종의 소폭 감소는 물동량에 대한 공급망의 감소를 나타내는 지수이므로 향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부분이다"라는 견해를 밝혔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