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도개법 하위법령 시행, 도심복합개발 사업 본격화 예정

URL복사

7일 '도심복합개발법' 시행에 맞춰 시행령·시행규칙 제정

민간 전문기관의 사업 참여로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창의적 개발 활성화 기대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도심 복합개발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도심 복합 개발법’)의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제정안을 공포하고 시행함에 따라 복합개발 사업을 추진할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법률은 2024년 2월 6일 공포, 7일 시행되었다. 도심복합개발은 하위법령 제정안을 40일간 입법예고(24.10.23.~12.2.)했었다. 복합개발 사업은 도시 경쟁력 강화와 주거 안정을 위해 성장 거점을 조성하거나 주택을 신속하게 공급하는 사업으로, 민간의 전문성과 창의적 역량을 활용하여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신탁 및 리츠 등 민간 전문 기관도 사업 시행자로 참여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복합개발 사업은 크게 성장거점형과 주거중심형으로 분류되며, 각 사업유형별 시행 가능한 지역이 시행령에서 구체화하였다. 성장거점형은 노후도와 관계없이 도심, 부도심 또는 생활권의 중심 지역, 대중교통 결절지로부터 500미터 이내에 위치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대중교통 결절지는 지하철, 철도, 고속버스, 공항 등 2개 이상의 노선이 교차하는 지역을 말한다.

 

주거중심형은 부지 면적의 과반이 역 승강장 경계로부터 500미터 이내에 위치하거나, 준공업지역으로 20년 이상 지난 노후 건축물 비율이 40% 이상인 지역에서 시행할 수 있다. 신탁 및 리츠 등 민간 시행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복합개발 사업 시행 시 건폐율 및 용적률 등 건축 규제 완화 특례가 부여된다. 성장거점형은 국토계획법상 ‘도시 혁신 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복합개발 사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시행령에 따라 건폐율은 용도지역별 법적 상한까지 완화할 수 있으며, 준주거지역은 용적률 법적 상한의 140%까지 완화할 수 있다.

 

사업 시행자는 규제 특례로 인해 취득하는 개발 이익의 일부를 공공주택, 기반 시설, 생활 SOC 등으로 공공에 제공해야 하며, 복합개발 사업으로 건설되는 주택의 일정 비율(성장거점형은 50% 이하, 주거중심형은 30~50% 범위에서 시·도 조례로 정하는 비율)은 공공주택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도심 내 공공주택의 공급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김배성 공공주택추진단장은 “도심 복합 개발법 시행으로 복합개발 사업이 본격 활성화됨에 따라 민간의 창의적 역량이 발휘되어 도시 경쟁력 강화 및 주거 안정이라는 목표가 달성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국토부는 법 시행 이후 지자체, 신탁업자·리츠 등 사업 시행자 등 관계기관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하며 복합개발 사업이 차질 없이 시행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