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파괴적 변화지수 1위는 자동차 산업...AI 영향력 더욱 커질듯

URL복사

 

전 세계 주요 기업 경영진들이 올해 가장 큰 '파괴적 변화'(disruptive)를 겪을 산업으로 자동차를 꼽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중국 저비용 인공지능(AI) '딥시크'가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경영진 10명 중 8명은 AI가 자신들이 영위하는 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알릭스파트너스는 2일 '2025 파괴적 변화 지수'(2025 Disruption Index)를 발표했다. 알릭스파트너스는 2020년부터 자동차, 정보기술(IT), 미디어, 소비재 등 10개 분야 기업 임원진 3천200명을 대상으로 해당 연도의 경영환경 변화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이러한 결과에 기반해 파괴적 변화 지수를 매년 발표한다.

 

파괴적 변화지수는 0∼100의 척도로 발표되며 100에 가까울수록 경영환경에 큰 변화를 맞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자동차산업의 파괴적 변화 지수는 작년 대비 4.7포인트 오른 76.7을 기록하며 모든 산업 중 가장 높았다.

 

지난 6년간 발표된 지수 순위에서 자동차가 1위에 오른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자동차기업 경영진들은 전동화, 자율주행, 공급망 불안정성 등의 요인으로 올해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 64%는 이중 어떤 변화 요인을 먼저 해결해야 하는지 혼란스럽다고 밝혔고, 40%는 이러한 요인으로 올해 비즈니스 모델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른 공급망 혼란은 자동차 업계에 가장 큰 우려로 지목됐다. 이에 따라 70%에 가까운 자동차기업 경영진들은 이러한 변화 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전환적인 인수합병(M&A) 기회를 꾀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미국과 중국 간 패권 경쟁이 강화되고, 중국 전기차 브랜드들이 부상하면서 자동차기업 경영진 65%는 중국 내 제조 및 공급전략을 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알릭스파트너스의 댄 허쉬는 "공급망 불투명성은 여전히 큰 문제이며 경영진이 행동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어렵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한편, 저비용 고성능 AI 중국 딥시크의 등장으로 전 세계가 큰 충격에 빠진 가운데 알릭스파트너스가 조사를 진행한 글로벌 기업 경영진 80%는 AI가 자신들의 사업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으로 본 것으로 나타났다. 또 61%는 AI를 통해 수익성을 높이는 데 기본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중 39%는 비용 감소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경영진들은 제조공정을 자동화하는 것이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봤는데 응답자 72%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5년 이내에 생산 현장에 배치될 것으로 전망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