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은 경제·사회 등 모든 분야에 응용되는 다목적 기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앤드류 응(Andrew Yan-Tak Ng) 스탠퍼드 대학교 컴퓨터과학부 교수를 초청해 국내 AI 연구자 및 스타트업과 AI 분야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대담회는 인공지능 분야 전망과 가능성에 대한 응 교수의 의견을 청취하고, 국내 AI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에 인사이트를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또 인공지능 위험성 대응 및 신뢰성 확보 방안 등을 공유하는 자리다.
이날 행사에는 앤드류 응 교수와 더불어 김세엽 셀렉트스타 대표, 오혜연 카이스트 교수, 박이안 한국투자공사 디렉터 등이 참석했다.
앤드류 응 교수는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인공지능은 전기와 같이 경제·사회 모든 분야에 응용되는 다목적 기술”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인공지능 글로벌 기술동향과 함께 금융·물류·교육·헬스케어 등 산업 분야 인공지능 응용 사례 및 전망에 대해 설명했다.
이와 함께 생성형 AI 기반 로우 코드 플랫폼을 통한 AI 응용 프로그램 개발과 생성형 AI가 데이터 확장을 이룩하면서 발생하는 기회와 가능성에 대해 발표를 이었다. 또 인공지능 위험성 대응과 더불어 이를 응용한 인공지능 활용 방향성 측면에서도 설명을 거듭했다.
이어진 대담회에서는 앤드류 응 교수가 국내 AI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및 글로벌 진출 전략, 생성형 AI 동향 및 전망, AI 위험성 및 대응방향, AI 윤리·신뢰성 확보 방안 등 주제에 대해 참석자와 의견을 공유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초거대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인공지능 일상화가 사회 전반으로 확장되고 있다”면서 “빅테크의 투자 확장 등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가 연이어 출시되는 등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에 지각 변동이 일어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국내 AI 스타트업이 가진 창의력 및 잠재력을 발휘해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하도록 지원을 지속할 것이며, 디지털 심화 시대를 주도하도록 AI 윤리·신뢰성 확보 방안을 마련해 사회적 수용성을 확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