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철강·시멘트 분야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 로드맵'도 발표
정부가 우리나라 지리적 여건과 산업 구조, 기술 수준 등을 고려한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을 확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서울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 제7회 회의를 열고 탄소중립 분야 기술개발 정책 방향이 될 100대 기술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은 산학연 전문가 233명이 참여해 국내외 탄소중립 세부 후보기술 450개 중 100개를 추린 것으로 좁은 국토 면적과 바람량이 적은 환경, 국내 자원 부족 등 지리적 여건과 고탄소 제조업 중심 산업 구조, 국내외 기술 수준을 고려해 선정됐다.
지난해 10월 수립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술혁신전략'에서 발표된 100대 핵심기술안의 후속으로 이후 기술 분류 체계를 정비하고 민간 의견을 추가 수렴해 최종 선정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기술 수준별로는 최고 수준 기술력을 갖추고 격차를 확대할 초격차 기술 9개, 세계적 기술 초기 단계로 신시장 선점이 가능한 신격차 기술 39개, 선도국가 기술 격차가 큰 감격차 기술 52개로 분류했고, 기간별로도 2030년까지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단기형과 2030년 이후를 목표로 한 중장기형 기술로 구분했다.
에너지 전환 부분은 초고효율 태양전지, 초대형 풍력 터빈, 선진 원자력 기술 등 고효율화·대형화와 관련한 8개 분야 35개 기술을 선정해 이전안보다 6개 늘었다. 태양광과 전력 저장 관련 기술은 초격차와 신격차 기술로 주로 배치했다.
원자력에서는 소형모듈원자로(SMR)를 2030년까지 상용화 가능한 초격차 기술로 분류했고, 선진 원자력 시스템과 원자력 폐기물 관리 기술은 장기 연구가 필요한 감격차 기술로 분류했다. 산업 부문에선 탈탄소화에 중점을 둬 공정 혁신 기술을 중심으로 한 5개 분야 44개 기술을 선정해 앞서 안보다 4개 줄었다.
주로 신격차와 중장기형 기술을 선정했으며,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분야는 국내 기술이 뒤처졌다고 평가해 감격차 기술로 선정하고 기술 추격을 지원하기로 했다. 수송·교통 부문은 친환경 자동차와 탄소중립 선박 등 2개 분야 13개 기술을 선정해 앞서 안보다 1개 줄었고, 건물·환경 부문은 2개 분야 8개 기술을 선정해 마찬가지로 1개 줄었다.
정부는 이번에 선정한 100대 핵심기술을 중심으로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고 범부처 예산 배분·조정을 추진하고, 100대 기술 중심으로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 로드맵도 수립하기로 했다.
이날 정부는 석유화학, 철강, 시멘트 분야 등 탈탄소화가 시급한 분야에서 정부 R&D 청사진이 될 기술혁신 전략 로드맵도 마련해 발표했다. 석유화학 분야에서는 ▲연료 대체 ▲원료 대체 ▲자원순환 ▲신공정 등 전 주기에 걸쳐 친환경 공정혁신 기술이 2030년 전후를 기점으로 상용기술로 안착하도록 하는 개발 전략을 수립했다.
연료 대체 분야에서는 고탄소 연료를 전기나 수소 등 무탄소 연료로 전환하는 기술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친환경 바이오매스 활용 기술, 폐플라스틱 공정 기술 개발에도 나서기로 했다. 철강 분야에서는 2030년 전후로 탄소 배출을 줄이는 상용기술을 확보하고, 장기적으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철강 생산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원료나 연료를 수소 가스, 대체 철원 등 저탄소로 대체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전기로 공정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안도 연구한다. 장기적으로는 기존 고로를 수소 및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사용하는 수소환원 제철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시멘트 분야에서는 생산에 쓰이는 원료와 연료를 저탄소로 전환하는 핵심기술을 2030년까지 상용화 수준으로 확보하는 기술 개발 전략을 수립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