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김용석, 이하 대광위)는 11월 13일(목) 오후 서울에서 "모두가 편리하게 누리는 2030 환승센터 혁신 방안"을 주제로 "제3차 환승 혁신 포럼"을 개최한다.
올해로 세 번째를 맞이하는 이번 포럼은 빠르고 편리한 환승을 위한 인식 제고 및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목표로 진행된다. 대한교통학회,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국토연구원, 한국도로공사,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 100여 명의 산·학·연·관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이전 포럼에서는 1차로 '모빌리티 연계 미래 환승 정책'을, 2차로 '데이터를 활용한 환승 정책'을 다룬 바 있다.
이날 포럼에서는 5개의 발제 안건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복합환승센터 사업 구조 다각화 방안, 교통광장 개발 방향, 인공지능(AI) 활용 방안, Ex-Hub 활용 방안, 환승센터 기본계획을 주제로 다룰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국토연구원 서민호 박사와 대한교통학회 차동득 명예회장이 규제 개선 및 절차 단축, 복합환승센터 민관 협의체 구성 등 환승센터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및 사업 구조 다각화 방안을 발표하며, 핵심 거점으로서의 도시 개발 선도 역할 필요성도 강조한다.
이어서 철도 기술 연구원 유소영 박사와 한국도로공사 박재완 차장은 디지털 트윈, AI 등을 이용한 환승 시간 단축 및 혼잡 완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승·하차 시간 단축이 가능한 태그리스 시스템과 고속도로에서 시내 교통 및 시외·광역버스 환승이 가능한 Ex-Hub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발표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한국교통연구원 박태윤 박사는 기존 제3차 환승센터 기본계획(2021~2025)의 성과와 시사점을 공유하고, 2026년 상반기 발표 예정인 제4차 환승센터 기본계획(2026~2030)의 비전 및 목표, 그리고 수도권·지방권 환승센터 구축 계획을 발표한다. 이 발표 이후에는 지자체와 전문가 등의 의견을 듣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김용석 대광의원장은 "광역 교통망이 복잡해지면서 교통수단 간 환승은 일상이 되었지만, 그에 비해 환승 체계 고도화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라고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또한 "앞으로 환승 혁신 포럼이 광역 교통에서 환승 체계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는 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이번 포럼의 결과는 제4차 교통광장 기본계획 등 환승 정책에 충실히 반영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