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 인도법인(LG Electronics India Limited)이 14일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 상장하며 세계 최대 인구대국 인도에서 ‘국민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본격 행보에 나섰다. 조주완 LG전자 CEO와 아쉬쉬 차우한 NSE CEO가 함께 타종식을 진행하며 거래 개시를 알렸다. 이번 상장은 인도를 LG전자의 글로벌 사우스 전략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려는 비전의 첫걸음이다.
LG전자는 인도법인 발행주식의 15%에 해당하는 1억여 주를 구주매출 형태로 처분했으며, 공모가는 주당 1,140루피(약 1만8천 원)로 확정됐다. 주식배정청약에는 공모 주식 수의 54배가 몰리며, 2008년 이후 인도 IPO 시장에서 최대 규모의 관심을 기록했다. 공모가 기준 인도법인 기업가치는 12조 원 이상으로 평가됐고, LG전자는 약 1.8조 원의 현금을 국내로 환수한다. 이는 차입금비율과 금융비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순수 현금 유입으로, 향후 재무건전성 강화와 미래 성장 투자 확대에 활용될 전망이다.
조주완 CEO는 “이번 상장은 인도를 글로벌 사우스 전략의 거점 국가로 삼는 중요한 계기”라며 “LG전자와 인도가 함께 성장하는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상장과 함께 인도 시장을 위한 3대 비전을 제시했다.
첫째, ‘Make for India’는 인도 고객의 생활환경과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제품 전략이다. LG전자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마이크로오븐 등 4종의 ‘국민가전’을 공개하고 내달부터 현지에서 순차 출시한다. 인도 전통복 ‘사리(Saree)’의 옷감을 보호하는 AI 세탁기, 모기 퇴치 기능을 갖춘 에어컨, 수질과 수압에 맞춘 정수기 등 현지 환경을 반영한 제품군이 대표적이다.
둘째, ‘Make in India’는 인도 정부의 제조 육성 정책에 발맞춰 생산부터 R&D, 서비스까지 현지 밸류체인을 강화하는 전략이다. LG전자는 노이다·푸네 공장에 이어 6억 달러를 투자해 스리시티 지역에 신공장을 건설 중이며, 약 2,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완공 후 인도 내 생산능력은 냉장고 360만 대, 세탁기 375만 대, 에어컨 470만 대로 확대된다.
셋째, ‘Make India Global’은 인도를 글로벌 사우스 전략의 핵심 거점으로 발전시켜 신흥시장 중심의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겠다는 비전이다. 인도의 중산층 확대와 내수시장 성장세를 발판 삼아 인도와 함께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상장을 계기로 인도 내 사회적 책임 활동도 강화한다. 인도법인은 글로벌 평가기관 GPTW(Great Place To Work)로부터 2년 연속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을 받았으며, 청소년 교육, 영양 지원, 헌혈 캠페인 등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지속해왔다. 대표적으로 ‘LG 희망기술학교’를 통해 소외계층 청소년에게 IT·전자제품 수리기술 교육을 제공하고, ‘라이프스굿 영양식단’ 캠페인을 통해 인도 전역 800여 공립학교 6만 명의 학생에게 영양식단을 지원한다.
또한 2019년부터는 전국 헌혈 캠페인을 전개하며 지역사회 참여를 확대하고 있다. LG전자는 “이번 상장은 이윤을 넘어 인도 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기업 시민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겠다는 선언”이라며 “인도 시장에서 국민기업으로서 신뢰와 존경을 받는 브랜드로 발전하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